• 검색건수

    • 236건

전체

  • 노화 촉진 circular RNA를 제거하는 ribonuclease κ의 발굴 및 장수 유도 기전 규명

    (1345359260)

    2022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김시은

    한국과학기술원

    교육부

    20000000 (20000000)

    1단계에서는 예쁜꼬마선충과 인간세포주를 이용하여, Aim 1) ribonuclease κ의 catalytic residue를 확인하고, Aim2) ribonuclease κ와 복합체를 이루는 결합단백질을 발굴, Aim3) 서열 특이적 방식으로 circRNA를 인식 및 분해하는지 ribonuclease κ의 circRNA 분해 기작을 파악할 것임. 1단계 연구를 통해 진화적으로 보존된 ribonuclease κ가 어떻게 노화 관련 circRNA를 조절하는지 그 기전을 이해하여 다음 단계 연구의 기반이 마련됨.2단계에는 노화에 따른 ribonuclease κ의 기능 감소가 circRNA 축적을 유도하는지 노화 연구 최적 모델 중 하나인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하여 Aim4) ribonuclease κ mRNA 혹은 protein level이 노화에 따라 감소하는지, Aim5) 기능감소된 ribonuclease κ가 circRNA 축적을 유도하는지 검증. 본 단계에서 제안한 연구는 circRNA가 ribonuclease κ의 수명 조절 인자임을 밝힘.3단계는 예쁜꼬마선충에서부터 인간세포까지 circRNA 축적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Aim6) circRNA 축적에 의한 수명 조절 연구 기반을 구축, 개체의 수명을 조절하는 기작을 규명하여, Aim7) 이러한 circRNA 축적의 감소가 장수를 유도하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것임. 3단계 연구를 통해 circRNA 축적 감소에 의한 건강 수명 연장을 예쁜꼬마선충과 포유동물세포주까지 포함하여 연구함으로서 노화와 노인성 질환 예방과 치료의 가능성을 기대.

  • 노화 촉진 circular RNA를 제거하는 ribonuclease κ의 발굴 및 장수 유도 기전 규명

    (1345334007)

    2021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김시은

    한국과학기술원

    교육부

    20000000 (20000000)

    1단계에서는 예쁜꼬마선충과 인간세포주를 이용하여, Aim 1) ribonuclease κ의 catalytic residue를 확인하고, Aim2) ribonuclease κ와 복합체를 이루는 결합단백질을 발굴, Aim3) 서열 특이적 방식으로 circRNA를 인식 및 분해하는지 ribonuclease κ의 circRNA 분해 기작을 파악할 것임. 1단계 연구를 통해 진화적으로 보존된 ribonuclease κ가 어떻게 노화 관련 circRNA를 조절하는지 그 기전을 이해하여 다음 단계 연구의 기반이 마련됨.2단계에는 노화에 따른 ribonuclease κ의 기능 감소가 circRNA 축적을 유도하는지 노화 연구 최적 모델 중 하나인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하여 Aim4) ribonuclease κ mRNA 혹은 protein level이 노화에 따라 감소하는지, Aim5) 기능감소된 ribonuclease κ가 circRNA 축적을 유도하는지 검증. 본 단계에서 제안한 연구는 circRNA가 ribonuclease κ의 수명 조절 인자임을 밝힘.3단계는 예쁜꼬마선충에서부터 인간세포까지 circRNA 축적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Aim6) circRNA 축적에 의한 수명 조절 연구 기반을 구축, 개체의 수명을 조절하는 기작을 규명하여, Aim7) 이러한 circRNA 축적의 감소가 장수를 유도하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것임. 3단계 연구를 통해 circRNA 축적 감소에 의한 건강 수명 연장을 예쁜꼬마선충과 포유동물세포주까지 포함하여 연구함으로서 노화와 노인성 질환 예방과 치료의 가능성을 기대.

  • 구리황화물로부터 양이온교환을 통해 합성한 CuMS (M=V,Cr,Mn,Fe,Co,Ni) 나노입자에 대한 연구

    (1711188651)

    2023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김상욱

    아주대학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96170000 (9617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 양이온교환을 통한 CuFeS 합성 및 최적화 구리 칼코겐화물 나노입자가 양이온교환에 활용되는 이유는 구리 칼코겐화물이 유지할 수 있는 구리 vacancies가 많기 때문에 vacancies 확산에 의해 빠르고 효율적인 이온 교환을 할 수 있기 때문임. 따라서 구리황화물 나노입자로부터 3d 전이금속 양이온 교환을 통한 CuMS 반도체 나노입자 합성을 성공적으로 이룰 것임.- CuMS(M=V,Cr,Mn,Fe,Co,Ni) 나노입자 중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된 것은 CuFeS임.-구리황화물(Cu2-xS)에 Fe 전구체를 이용하여 양이온교환을 통해 CuFeS나노입자를 합성할 것임. 대표적으로 CuFeS2, Cu5FeS4 구조가 있지만, 양이온교환의 특성으로 준평형상태의 Doped, Metastable, heterostructure 나노입자가 합성될 것음.-이에 따라 구리황화물에 교환되는 Fe비율, Cu:Fe 양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임.-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Precursor양 조절, 양이온교환 매개체 양 조절, 온도와 반응시간 조절 등이 있으며 특히 매개체로 사용하여 Cu 및 vacancy를 활성화시켜 반응을 유도함으로 매개체 선정 및 양조절이 중요함.-본 연구팀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구리황화물(Cu2-xS)에 Fe precusor를 양이온교환을 이용하여 CuFeS2 나노입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음. Cu:Fe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양이온교환 매개체인 1-Dodecanethiol의 양을 조절한 결과 Fe의 양이 Cu에 대비하여 0-100%까지 미세하게 조절되었고, 중간비율에선 Cu2-xS와 CuFeS2의 준평형상태 Metastable물질이 생성되었음.■ 열전소자 측정- 열전재료는 폐열을 전기로 변환할 수 있으며 유망한 대체 에너지원임. 열전재료의 상업적 채택은 합성 방법의 복잡성이나 비싸고 위험한 화학 물질의 사용으로 인해 방해를 받고 있음. 따라서 저렴한 화학 물질로부터 무독성 열전재료를 만드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수적임. -벌크 재료의 경우 Seebeck 계수가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도가 감소하여 Wiedemann-Franz 법칙(κ/σ = LT, σ 및 κ는 각각 전기 및 열 전도도, L=로렌츠 상수)에 표시된 대로 열전도율이 감소하고, 이는 열전 재료의 실제 적용을 위한 장벽을 생성함. 그러나 물질의 크기가 나노미터 규모로 줄어들면 양자 구속 효과가 도입되어 전자 구조가 변경되기 때문에, 전자 상태 밀도의 극적인 차이가 발생하여 S, σ와 κ는 준독립적임. 따라서 전자 상태 밀도의 급격한 변화는 높은 Power factor과 높은 ZT를 얻을 수 있음.-따라서 양자점 재료에서 열전분야는 중요한 응용분야이고, 그 중 CuFeS 나노입자는 열전분야의 재료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 하지만 앞서 기술하였듯이, 직접합성법은 안정적인 비율로 합성이 제한되어, 최적의 열전효율을 얻기 제한적임. 양이온교환을 이용해 합성한다면 Cu:Fe비율에 따라 열전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최적의 열전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임.■ 양이온교환으로 합성된 비평형상태 Cu-Fe-S 나노입자 DFT, DOS Calculation-고려대 계산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준평형 Metastable 상태 양자점 구조와 DFT, DOS 계산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얻을 것임.■ Cu-Fe-S 의 이온배터리 적용-유망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CuFeS2 은 Sodium과 Lithium 이온배터리에서도 응용되고있음. 열전분야에서 가능성을 보이는 이 물질로 이온배터리에 적용해볼 것임. ■ 양이온교환을 통한 CuMS(M=V,Cr,Mn,Co,Ni)나노입자 합성 및 응용-다른 3d 전이금속을 양이온교환을 이용하여 CuMS을 합성하고 위에서 언급한 목표에 따라 연구가 진행될 것임.

  • 반도체 미세공정 한계 돌파 가능한 신소재개발

    2021

    신현석

    울산과학기술원

    순수기초인프라

    ...COH)으로 유전율이 2.5 수준이다. 하지만 향상되는 집적화만큼 산업적으로 2.0 이하의 저유전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다공성 재료를 사용하면 재료의 유전상수는 공기층의 낮은 유전율 (κ= ~1.0)로 인해 감소할 수 있지만, 기계적 물성의 약화로 인하여 산업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본 연구팀이 발견한 비정질 질화붕소는 낮은 유전율뿐만 아니라 기존에 보고된 물질과 비교했을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