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출원)
이종 리간드와 전이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나선형 초거대분자 및 그 합성방법
출원번호 | 10-2018-0123010 | 출원일 | 2018-10-16 |
---|---|---|---|
출원인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속기관 사업자등록번호 | ***-**-**28* |
해외출원 여부 | 국내출원 | 출원/등록 국가 | 대한민국 |
우선권 주장번호 | - | 기여율 | 50 % |
등록번호 | 10-2170382-0000 | 등록일 | 20201021 |
---|---|---|---|
발명자 |
유효종
;
래 띠 감 반
;
메이 두이 히엔
;
강필재
※ 과제 참여정보와 일치하는 연구자 상세정보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IPC 코드 |
C07F 19/00
C07F 15/04
|
||
CPC 코드 |
C07F 19/00
C07F 15/04
|
||
법적상태 | 등록 | ||
요약 | 이종 (heteroleptic) 리간드와 금속 이온을 효율적으로 배위결합 기반으로 조립하여 얻어내는 무기초분자는 구조적 복잡성과 독특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구조 내에 담지할 수 있다. 특히 분자대칭성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기능적 초분자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분자대칭성의 중요성은 다양한 금속이온을 변화시켜 얻어지는 초분자의 제조 여부로 확인 가능하다. DMF 내에서 MeOH 또는 H2SO4와 같은 소량의 첨가물 존재하에 H2PDA (2,6-pyridinedicarboxylic acid) 와 H2AIP (5-aminoisophthalic acid) 두 종류의 리간드와 금속이온 전구체 M(CH3COO)2·4H2O (M = Ni (1), Co (2) 및 Mn (3))를 고온에서 반응시켜[M(PDA)6(AIP)3(DMF)6-x(H2O)x] (M = Ni (1), Co (2) 및 Mn (3); 1에서는 x=0, 그리고 2 및 3에서는 x=4)로 표현되는 금속 클러스터 기반 이종 초거대분자를 합성할 수 있다. 각각의 금속이온의 독특한 이온반지름이나 배위구조 선호도에도 불구하고 세 개의 리간드 가닥으로 연결된 나선형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분자대칭성이 효율적으로 이용됨을 알 수 있다. 형성된 초분자 구조체는 금속이온의 종류에 따라 정도가 다른 높은 자기적 성질을 보인다.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특허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특허전략개발원 Tel : 02)3287-4332, E-mail : ripis@kista.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특허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특허정보 제공 사이트(특허청, KIPRI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특허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