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최종목표]
●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은 지원자의 질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임신과 관련된 질내 균주를 발굴하고 착상개선에 미치는 기전을 규명함과 동시에 이들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여 난임 환자 개별맞춤형 균주제품화
[1차년도 목표]
● 시험관아기 시술자 자궁내 검체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 후보균주를 사용한 동물모델 확인
[2차년도 목표]
● 임상 검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방법 정립을 위한 자궁 및 질 내 검체 수집을 통한 예비시험 실시
● 자궁, 질, 분변에서 분리된 균주를 효능 지표를 이용하여 in vitro screening 진행
● in vitro screening을 통해 선정된 균주의 효능을 동물모델에 적용
[3차년도 목표]
● 착상율 향상 효능 균주 선정 및 효능 기전 연구
● 착상기능 향상 대사체 및 유전체 정보 분석 및 바이오마커 발굴
● 바이오마커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진단법 개발
● 임상시험용 마이크로바이옴 샘플 제작
● ND 신청
○ 전체 내용
[1차년도 개발내용]
● 시험관아기 시술자 자궁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contaminant taxa로 알려진 Psedomonas 검출되어 질내 미생물 분석으로 변경
● 자연 Mating 방식을 포함하여,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In vitro fertiliz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재현성 확인 실험을 진행하였지만, 실험 테크닉적인 문제로 인하여 일관된 재현성 확인 및 효능 유효성의 확인 불가
[2차년도 개발내용]
● 예비적으로 시험관아기 시술자의 질에서 면봉 및 거즈를 통해 채취한 검체와 카테터를 이용한 자궁내막 검체를 16S rRNA sequencing 진행, 카테터로 채취한 샘플에서 contaminant taxa로 알려진 Pseudomonas가 발견되었지만, 동일한 환자에게서 분리한 질 샘플에서는 Lactobacillus가 우점임을 확인하였음. 이에 IRB를 변경하여 질 검체로 변경
● 후보균주들 lactate 분비능, 질염 유발 유해균 억제능, 착상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rophoblast 조절 가능한 균주용 in vitro screening
● LPS투여를 통해 면역불균형을 유도하여 착상 저하 모델 구축
[3차년도 개발내용]
● In vitro screening으로 선정된 균주 중 GEN-004 균주가 LPS처리로 착상률이 저하된 난임모델을 유발하였을 때, 착상률을 개선시킴을 확인하였음
● 강남차병원에서 254개 샘픔 수령하여 QC 거친후 207개 샘플 시퀀싱 후 KOBIC DB에 업로드함
● 미생물 cell 및 배양상등액을 전처리 후 LC-MS/QToF 검출, Untargeted metabolomics 수행하여 putative fiture 다수 확인
● 임상정보 기반 16S rRNA seq 데이터 분석 후 Machine Learning 적용하여 예측 진단법 개발
● 임상 시료 생산을 위한 소형 발효조 공정 및 원말화 연구, 700L 규모의 약효 및 독성 평가용 원료의약품 생산, 원료의약품/완제의약품의 안정성 평가, 완제의약품 제조
● MFDA IND 신청
(출처 : 요약문 2p)
NTIS에서 제공하는 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한 연구보고서를 과제관리(전문)기관을 통해 연구성과 전담기관(KISTI)에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구보고서 정보 공개/비공개 여부, 연구보고서 원문 활용 여부 등은 해당 과제관리(전문)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EW
관련 정보
과제
남성난임 원인 마이크로바이옴 동정 및 임상 적용
2021/차의과학대학 /50.00 백만원
논문
다낭성난소증후군을 가진 불임 여성에서 신선주기와 동결-융해 배아이식주기의 임신율과 착상률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