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디지털 치료제로서의 iEMDR 효과성 측정 연구
(A study o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iEMDR as a digital therapeutic)
상세데이터 조회
등록번호
TRKO202500005724
발행년월
2024-08
발행기관명
연세대학교
발행국가/사용언어
대한민국
/국문
발주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키워드
-
초록
Ⅰ. 연구 목적 및 방법
1. 당초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연구목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상담이 확대되고 디지털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자가 관리(self-help) EMDR 치료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EMDR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 분노를 비롯한 비롯한 다양한 증상에 대한 잠재적 효과가 연구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 자가 관리 EMDR 치료와 관련된 소규모 연구는 해외에서 소수의 연구(Spence, et al., 2013)가 발견되었다. 결과는 치료 전과 3개월의 추후 조사 사이에 우울증, 불안, 고통, 장애 및 PTSD 증상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음으로 나타났고 심각한 부작용은 보이지 않으며, 자가 관리(self-help) 심리 치료는 안전하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자가 관리 EMDR 치료의 안전성과 잠재적 효능에 대해서는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Waterman, & Cooper. 2020).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배정도; 2021; 이나현, 2015; 이해원, 2008; 최윤경, 2014; 최윤경, 권순덕, 2014)를 기반으로 동영상 자극물을 제작하여 줌(Zoom)에서 실시간으로 자극동영상(iEM군: 동그라미가 수평으로 좌우 움직이는 동영상)과 비자극동영상(iEF군: 동그라미가 중앙에 멈춰있는 동영상)으로 실험을 진행하려 한다.
기존 해외연구(Strelchuk, Turner, Smith, Bisson, Wiles, Zammit, 2023)와 다른 점은 통증, PTSD, PTG위주의 연구에서 벗어나 여러 다른 척도들인 지각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삶이 만족도, 정서조절곤란, 친밀관계경험 등을 추가하여 좀더 폭넓은 연구와 연구참여자 나이대를 다양하게 구상하여 진행한다는 점이다. 해외연구는 iEMDR을 온라인 사이트에서만 진행하거나 실제 EMDR치료사들이 온라인에서 본인이 치료한 사례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험대조군을 구성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한 사례도 부족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 3회 회기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해원(2018)의 공포 자극 장면에 노출된 성인 여성의 심박수 변이도에 수평적 안구운동이 미치는 영향 논문에서 좌우 왕복 30회(45초 소요), 휴식(15초), 10회반복, 총 3회의 EMDR치료 과정이 효과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출처 : 본문Ⅰ. 연구 목적 및 방법 2p)
NTIS에서 제공하는 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한 연구보고서를 과제관리(전문)기관을 통해 연구성과 전담기관(KISTI)에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구보고서 정보 공개/비공개 여부, 연구보고서 원문 활용 여부 등은 해당 과제관리(전문)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