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감염병 격리 치료 시설 확충을 위한 기존 의료시설 긴급 전환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emergency remodeling technology for medical facilities to quarantine infectious diseases)
◉ 최종 목표
본 연구는 감염병 위기 발생 시 감염병 격리 병동을 확충하기 위하여 일반병동을 감염병 격리 병동으로 긴급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과제이며, 최종 목표는 긴급 전환 기술 · 지침 및 긴급 전환 기술의 안정성 평가 지침을 개발하는 것임. 각 연구개발기관별 최종목표는 아래와 같음.
- 주 관 :
1)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을 위한 공조시스템 기술 성능 평가
2) 요소 기술들의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을 통한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안전성 평가 지침 개발
- 공동-1 :
1) 국내 의료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기술 및 지침 개발
2) 요소 기술들의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을 통한 간이형 긴급 전환 기술(이동형 음압기)의 표준 모델 개발
- 공동-2 :
1) 감염병 대응 의료시설 오염방지 위생설비 기술 및 지침 개발
2) 감염병 치료시 의료진 보호를 위한 국부환기정화 유닛 개발 및 Mock-up 실험 평가
- 공동-3 :
1) 리모델링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표준건축설계지침 개발
2)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표준건축설계지침 개발
- 공동-4 :
1)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내 공간 유형별 표준설계도서 작성
2) 표준설계 제품화 아이템 개발 및 특허출원
- 공동-5 :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의료기능과 시설 취약점 분석을 통한 개선 요구사항 도출
- 공동-6 :
1) 긴급 전환 기술 적용을 위한 시제품 개발
2)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실증
- 위 탁 : 공간구획기술의 음압유지 및 감염원 확산 차단성능 수치해석 시뮬레이션 성능 평가
◉ 전체 내용
본 연구내용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음. 첫째, 기존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사례 조사를 통해 분석함. 둘째, 긴급 전환 기술 · 지침과 긴급 전환 기술의 안정성 평가 지침, 표준설계도서 및 시제품을 개발함. 셋째, 요소 기술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 평가를 통한 긴급 전환 기술 · 지침을 보완함. 각 연구내용별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음.
연구내용 1. 기존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사례 조사 및 분석
- 코로나19로 인한 기존 의료시설 병동의 긴급 전환 사례 조사 및 분석(전체기관, 1차년도)
- 기존 의료시설 병동의 구조적, 설비적 특성 분석(주관, 1차년도)
- 기존 긴급 전환 병동의 환경·설비적 특성 분석(공동-1, 1차년도)
- 감염 전파방지 위생설비/국부환기정화 기초조사(공동-2, 1차년도)
- 의료시설의 병동부 건축유형 및 특성과 운영 중인 감염병 의료시설의 병동부 공간구조 특성 분석(공동-3, 1차년도)
- 중증환자 긴급치료 병동 설계현황조사 (공동-4, 1차년도)
- 해외 주요 감염관리지침 및 국내 코로나19 대응 병동 긴급 전환 사례 분석 (공동-5, 1차년도)
-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용 기존 기술 현황 조사 (공동-6, 1차년도)
- 기존 감염병 격리 병동 공간구획기술 관련 국내외 문헌 및 사례 검토 (위탁, 1차년도)
연구내용 2. 긴급 전환 기술 · 지침과 긴급 전환 기술의 안정성 평가 지침, 표준설계도서 및 시제품 개발
- 감염병 위기 단계 및 위중 정도에 따른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시설 기준 및 긴급 전환 지침 도출(주관, 1차년도)
-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지침 개발(공동-1, 1차년도)
- 긴급 전환 위생설비 표준모델 도출(공동-2, 1차년도)
- 표준 병동 유형의 도출 및 감염병 격리 병동 리모델링을 위한 건축기본설계지침 작성(공동-3, 1차년도)
- 표준설계도서 기본안 작성(공동-4, 1차년도)
- 리모델링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공조시스템 개발 및 음압격리병실 실험챔버를 활용한 병동 안전 기준과 공사 시 안전 기준 개발(주관, 2차년도)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간이 전환 기술 성능평가 및 지침 개발(공동-1, 2차년도)
- 긴급 전환/감염전파 방지 위생설비/국부환기정화 상세설계, 성능해석 및 가이드라인 개발(공동-2, 2차년도)
- 리모델링형 및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건축상세설계지침 작성(공동-3, 2차년도)
- 표준설계도서 및 실시설계도서 작성(공동-4, 2차년도)
- 긴급 전환 기술 적용을 위한 시제품 개발(공동-6, 2차년도)
연구내용 3. 요소 기술들의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 평가를 통한 긴급 전환 기술 · 지침 보완
- 요소 기술들의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 평가, 최종 감염병 위기 단계에 따른 설비 긴급 전환 지침 및 긴급 전환 안전 기준 개발(주관, 3차년도)
- 간이 전환 기술의 적용 목업 실증 평가 및 표준 모델 개발(공동-1, 3차년도)
- 긴급 전환/감염전파 방지 위생설비/국부환기정화 목업 실험평가 및 위생설비 표준모델 지침서 개발(공동-2, 3차년도)
- 리모델링형 및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목업 실증 모니터링(공동-3, 3차년도)
- 완료 보고서 및 표준설계도서 수정 보완(공동-4, 3차년도)
- 긴급 전환 기술 및 지침을 요소 기술 적용 목업에 적용 및 평가(공동-5, 3차년도)
-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요소 기술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공동-6, 3차년도)
-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표준모델의 공간구획기술 및 지침 적용에 따른 성능평가(위탁, 3차년도)
(출처 : 요약문 4p)
NTIS에서 제공하는 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한 연구보고서를 과제관리(전문)기관을 통해 연구성과 전담기관(KISTI)에 등록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구보고서 정보 공개/비공개 여부, 연구보고서 원문 활용 여부 등은 해당 과제관리(전문)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