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단일 세포 RNA시퀀싱 분석을 통한 황색 인대 비대증의 섬유아세포 다양성과 근섬유아세포 전환
등록번호 | - | SCI 구분
?
※구분 : SCI(SCIE포함), 비SCI |
SCI |
---|---|---|---|
저자명 (주·공동저자) | 함창화; 김주한; 김현정 ※ 과제 참여정보와 일치하는 연구자 상세정보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논문구분 | 국외전문학술지 | 학술지명 | The Spine Journal |
ISSN | 1529-9430 | 학술지 출판일자 | 2024-12-07 |
학술지 볼륨번호 | 9430(24) | 논문페이지 | 01175 ~ 01176 |
학술지 임팩트팩터 | 4.166 | 기여율 | 25 % |
DOI | https://doi.org/10.1016/j.spinee.2024.12.001 | ||
초록 | 이 연구는 단일 세포 RNA 시퀀싱을 사용하여 비대 황색 인대 조직 내의 세포 간 상호작용과 전사체 특징을 조사하여 요추관 협착증의 병리 기전을 분자학적으로 분석하였다. 황색 인대 비대는 물리적 자극, 노화, 비만, 당뇨병과 같은 전신 질환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염증과 섬유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MRI를 통해 확인된 다양한 정도의 요추관 협착증을 가진 세 명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황색 인대를 분석하였다. 단일 세포 RNA 시퀀싱을 활용하여 황색 인대 내 다양한 세포 아형을 밝혀내었으며, 이에는 섬유아세포, 내피세포, T세포, 대식세포, B세포가 포함한다. 본 연구는 특히 섬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섬유아세포의 세포 다양성을 확립하였으며 연골 섬유아세포, 분비형 및 증식형 섬유아세포와 근섬유아세포의 아형을 확인했으며, 이는 황색 인대 비대의 복잡한 특성을 강조한다.
 추가 분석을 통해 특히 황색 인대 비대에서 분화한 대식세포 아형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면역 환경의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CellChat 분석을 통해 복잡한 세포 간 상호작용을 발견하고 TGF-β, PDGF, VEGF, CXCL 및 ANGPTL 신호 전달과 같은 황색 인대 비대에 필수적인 신호 경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 황색 인대의 포괄적인 세포 지도를 제공하며, 황색 인대 비대를 야기하는 분자 기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색 인대 비대를 늦추기 위한 표적 치료 전략의 기반을 마련한다.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논문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l : 042)716-7066, https://curation.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논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출판사 또는 논문 정보 제공 사이트(Scienceon, RIS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논문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