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중북부지역 재배 콩나물 콩의 파종시기에 따른 품질 및 이화학 특성
등록번호 | RPMS-2019-0190808853 | SCI 구분
?
※구분 : SCI(SCIE포함), 비SCI |
비SCI |
---|---|---|---|
저자명 (주·공동저자) | Jung Gun Ho; Kim Hyun-Joo; Lee Ji Hae; Lee Byong Won; Lee Yu Young; Kim Sung Kook; Lee Byoung Kyu; Woo Koan Sik | ||
논문구분 | 국내전문학술지 | 학술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ISSN | 1226-3311 | 학술지 출판일자 | 2018-12-31 |
학술지 볼륨번호 | 47 | 논문페이지 | 1301 ~ 1311 |
학술지 임팩트팩터 | 1.0335 | 기여율 | 100 % |
DOI | https://doi.org/10.3746/jkfn.2018.47.12.1301 | ||
초록 | 콩나물 콩의 생산지역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중북부지역에서 생산된 콩나물 콩의 품질과 이화학 특성을 검토하였다. 콩나물 콩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5.45~6.49, 5.19~6.24, 15.62~19.06, 33.32~40.53 및 32.46~38.04 g/100 g으로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나물 콩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각각 57.20~67.01, 0.72~7.56 및 20.43~28.59로 나타났고, 수분결합력, 용해도 및 팽윤력은 각각 73.28~149.15, 41.83~55.33 및 26.88~35.90%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나물 콩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차, 2차 및 3차 파종한 시료에서 각각 7.75~10.89, 7.26~11.82 및 8.48~11.05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44~5.33, 4.43~4.86 및 4.37~4.78 mg CE/g으로 품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0.60~2.10, 0.85~1.95 및 0.56~2.18 mg TE/g,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6.45~11.24, 6.42~9.15 및 6.14~9.56 mg TE/g으로 품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페놀 성분은 풍산나물콩, 소명콩, 호서 품종은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라디칼 소거 활성은 풍산나물콩, 소진, 호서, 해원 품종은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풍원, 소강, 소백, 서남, 조양1호, 한남콩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품종 및 파종시기에 따라 페놀 성분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이 달라지므로 재배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알맞은 품종과 적정 파종시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논문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l : 042)716-7066, https://curation.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논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출판사 또는 논문 정보 제공 사이트(Scienceon, RIS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논문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