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벼 품종별 현미와 백미의 항산화력,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 E
등록번호 | RPMS-2019-0190809304 | SCI 구분
?
※구분 : SCI(SCIE포함), 비SCI |
비SCI |
---|---|---|---|
저자명 (주·공동저자) | Choi Induck; Woo Koan-Sik; Choi Hye-Sun; Lee Seuk-Ki; Park Jiyoung; Chun Areum; Han Sang-Ik; Choi Dong-Soo; Chun Jiyeon | ||
논문구분 | 국내전문학술지 | 학술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ISSN | 1226-3311 | 학술지 출판일자 | 2018-12-31 |
학술지 볼륨번호 | 47 | 논문페이지 | 1259 ~ 1267 |
학술지 임팩트팩터 | 1.0335 | 기여율 | 100 % |
DOI | https://doi.org/10.3746/jkfn.2018.47.12.1259 | ||
초록 | 본 연구는 15개 벼 품종별 현미와 백미의 항산화력 및 비타민 E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벼 특성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인 아밀로스 함량은 찰벼 6.55~6.81 g/100 g, 반찰성벼 10.06 g/100 g, 일반 메벼에서는 자포니카 품종 14.91~18.41 g/100 g, 인디카 품종 22.54~23.11 g/100 g 범위를 보였다. 항산화 성분인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현미가 백미보다 2~4배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흑미 품종인 흑진주, 조생흑찰, 조은흑찰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고, 배아가 일반 현미보다 약 2~3배 정도 큰 거대배아 품종인 눈큰흑찰과 큰눈 품종이 일반 현미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성분 함량이 높은 시료에서는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흑미 품종인 흑진주, 조은흑찰, 조생흑찰현미의 $DPPH{\cdot}$ 및 $ABTS{\cdot}^+$ 라디칼 소거능은 같은 품종의 백미보다 약 10~15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흑미의 우수한 $DPPH{\cdot}$ 및 $ABTS{\cdot}^+$ 라디칼을 이용한 전자공여능은 흑미 미강층에 다량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과 매우 높은 정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타민 A의 전구체인 베타 카로틴은 곡류에는 비교적 적은 양으로 함유되는데, 흑미와 거대배아미를 제외하고는 낮은 함량을 보였고, 특히 백미 품종에서는 흑미 4개 품종에서만 매우 적은 양이 검출되었다. 총 15개 벼 품종 현미와 백미의 주요 비타민 E는 ${\alpha}-T$, ${\alpha}-T3$, ${\gamma}-T3$이고, 비타민 E의 생체 활성을 나타내는 ${\alpha}-TE$ 범위는 흑미 및 거대배아미> 일반벼> 다수확 및 인디카 품종의 순서를 보였다.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논문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l : 042)716-7066, https://curation.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논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출판사 또는 논문 정보 제공 사이트(Scienceon, RIS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논문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