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밀원수종 팥배나무의 선발집단 간 꽃의 형태적특성비교와 유연관계
등록번호 | RPMS-2019-0190774698 | SCI 구분
?
※구분 : SCI(SCIE포함), 비SCI |
비SCI |
---|---|---|---|
저자명 (주·공동저자) | Ki m Young; Hyun Kim Sea; Sup Kim Moon; Young Yun A; Hyeop Park In; Seok Go Young | ||
논문구분 | 국내전문학술지 | 학술지명 | Journal of Apiculture |
ISSN | 1225-0252 | 학술지 출판일자 | - |
학술지 볼륨번호 | 33 | 논문페이지 | 157 ~ 163 |
학술지 임팩트팩터 | 0.0 | 기여율 | 100 % |
DOI | 10.17519/apiculture.2018.09.33.3.157 | ||
초록 | 본 연구는 팥배나무 밀원수종 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 선발된 9개 집단에서 꽃의 형162 김영기·김세현·김문섭·윤아영·박인협·고영석Fig. 3. Scatter diagram of 9 populations of S. alnifolia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2 and 3. Fig. 4. Cluster dendrogram of 9 populations S. alnifola. 1.0 0.8 0.6 0.4 0.2 0.0 -0.2 -0.4 -0.6 -0.8 -1.0 2.5 2.0 1.5 1.0 0.5 -0.1 -0.8 -0.6 -0.4 -0.2 0.0 0.2 0.4 0.6 0.8 1.0 Mt. Deogyu Mt. Duryun Mt. Geumo Mt. Worak Anmyundo Mt. Gaji Mt. Chukryung Mt. Gwangyo Prin. 2 Prin. 3 Mt. Mani Average Distance Between Clusters Mt. Gwangyo Anmyundo Mt. Chukryung Mt. Duryun Mt. Deogyu Mt. Mani Mt. Gaji Mt. Worak 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꽃의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축령산 집단에서 총 9개의 꽃 특성 중 6개 특성이 상위 그룹에 속하여 큰 경향을 나타낸 반면, 덕유산 집단은 6개 특성이 하위 그룹에 속하여 비교적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1 주성분은 32.9%의 설명력이 있으며 화폭, 화판길이, 화판폭 순으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집단 간 꽃의 형태적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형질로 나타났다. 소화경수와높은 상관을 보인 제2주성분과, 꽃받침 폭과 높은 상관을 보인 제3 주성분을 2차원 공간상에 배열해 본 결과 마니산, 축령산, 광교산 집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3 주성분까지 누적 설명력은 64.4%로 나타났다. 제3주성분까지의 득점치를 새로운 변량으로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1그룹인 광교산 등 3 집단, 제2그룹인 금오산 등 3집단, 제3그룹인 마니산등 3집단 등 총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지리적으로 인접 집단 간의 구분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논문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l : 042)716-7066, https://curation.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논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출판사 또는 논문 정보 제공 사이트(Scienceon, RIS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논문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