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간척지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적합한 포플러 클론 선발
등록번호 | RPMS-2019-0190774956 | SCI 구분
?
※구분 : SCI(SCIE포함), 비SCI |
비SCI |
---|---|---|---|
저자명 (주·공동저자) | Lee Hyunseok; Kim Hyun-Chul; Kang Jun-Won; Lee Wi-Young; Lim Hyemin; Jang Kyunghwan | ||
논문구분 | 국내전문학술지 | 학술지명 | 농업생명과학연구 |
ISSN | 1598-5504 | 학술지 출판일자 | - |
학술지 볼륨번호 | 52 | 논문페이지 | 21 ~ 32 |
학술지 임팩트팩터 | 0.0 | 기여율 | 100 % |
DOI | 10.14397/jals.2018.52.2.21 | ||
초록 | 수도권매립지 내 간척지에서 단벌기 목재에너지림 조성에 적합한 우수수종 및 클론을 선발하기 위하여 이태리포플러, 미류나무, 현사시나무의 각 3개 클론을 1년, 2년 및 3년 수확구별로 목재에너지림을 조성하였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추정하였고, 염분 흡수력, 활착율, 조기낙엽, 천공충 및 병 해충에 의한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클론별 연평균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1년 수확구에서는 미류나무 97-18클론이 $5.97ton\;ha^{-1}year^{-1}$의 수확량을 나타내어 우수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2년 및 3년 수확구에서는 미류나무 97-19클론이 각각 $9.33ton\;ha^{-1}year^{-1}$과 $13.73ton\;ha^{-1}year^{-1}$으로 나타나 우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클론별 염분 흡수량은 미류나무 클론(Ay48, 97-18, 97-19)의 체내 $Na^+$ 함량이 타 수종과 비교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개 수종 및 클론간의 평균 활착율뿐만 아니라 조기낙엽, 식엽충 및 천공충의 피해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바이오매스 생산능력과 활착율 등을 토대로 적응능력을 추정하였을 때, 미류나무 클론 97-18과 97-19의 적응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간척지에 적응능력이 우수한 수종은 미류나무, 이태리포플러 및 현사시나무 순으로 나타났고 모든 수종 및 클론에서 3년 수확구가 바이오매스 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논문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l : 042)716-7066, https://curation.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논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출판사 또는 논문 정보 제공 사이트(Scienceon, RIS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논문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