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신육성 품종인 루비에스(Ruby S; Malus pumila Mill.) 사과껍질의 항산화, 건강 기능성 및 미용식품 활성
등록번호 | RPMS-2019-0090725389 | SCI 구분
?
※구분 : SCI(SCIE포함), 비SCI |
비SCI |
---|---|---|---|
저자명 (주·공동저자) | Lee Eun-Ho; Kim Ye-Jin; Kwon Soon-Il; Kim Jeong-Hee; Kang In-Kyu; Jung Hee-Young; Park Kyeung-Il; Cho Young-Je | ||
논문구분 | 국내전문학술지 | 학술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ISSN | 1226-3311 | 학술지 출판일자 | 2018-11-05 |
학술지 볼륨번호 | 47 | 논문페이지 | 1093 ~ 1102 |
학술지 임팩트팩터 | 0.0 | 기여율 | 0 % |
DOI | 10.3746/jkfn.2018.47.11.1093 | ||
초록 | 식육성 품종 루비에스 껍질의 water와 ethanol 추출물들의 항산화, 건강 기능성 및 미용식품 활성을 살펴보았다. 신육성 품종 루비에스 껍질로부터 water와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 각각 5.29, 8.76 mg/g의 비교적 높은 phenolic 함량을 나타내었다. 루비에스 껍질 추출물의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water와 ethanol 추출물 $1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1.87, 1.77 PF를 나타내었으며, TBARS는 $1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water 추출물은 80.17%, ethanol 추출물은 38.72%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루비에스 사과 껍질 추출물의 경우 노화방지를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루비에스 껍질 추출물의 항염증(hyaluronidase 저해) 효과는 water 및 ethanol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5.61, 31.87%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통풍을 유발하는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ethanol 추출물에서만 $100{\mu}g/mL$의 phenolic 농도에서 28.66%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대조구로 사용된 후지 품종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루비에스 껍질 추출물의 ${\alpha}$-amylase 저해 효과는 water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비교적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alpha}$-glucosidase 활성저해의 경우 $200{\mu}g/mL$의 phenolic 농도에서 water와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94.93%와 100.00%의 매우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를 측정하는 tyrosinase 저해 효과는 $200{\mu}g/mL$의 phenolic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에서만 17.50%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 효과는 $200{\mu}g/mL$ phenolics 농도의 water 추출물에서 각각 6.70, 69.85%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41.95, 80.73%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루비에스 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통풍 억제, 항당뇨,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 및 항당뇨, 통풍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고, 기존의 후지 품종과 비교해서 기능성이 더 우수함이 밝혀져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논문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l : 042)716-7066, https://curation.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논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출판사 또는 논문 정보 제공 사이트(Scienceon, RIS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논문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