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자포니카 장립종 장원형 벼 계통 개발 및 특성분석
등록번호 | RPMS-2019-0190690034 | SCI 구분
?
※구분 : SCI(SCIE포함), 비SCI |
비SCI |
---|---|---|---|
저자명 (주·공동저자) | Park Hyun-Su; Baek Man-Kee; Nam Jeong-Kwon; Shin Woon-Cheol; Lee Gun-Mi; Park Seul-Gi; Lee Chang-Min; Kim Choon-Song; Cho Young-Chan | ||
논문구분 | 국내전문학술지 | 학술지명 | 한국육종학회지 |
ISSN | 0250-3360 | 학술지 출판일자 | - |
학술지 볼륨번호 | 50 | 논문페이지 | 116 ~ 130 |
학술지 임팩트팩터 | 0.6032 | 기여율 | 100 % |
DOI | 10.9787/KJBS.2018.50.2.116 | ||
초록 | 우리나라 자포니카 벼의 수량성 향상 및 품질 다변화를 위해서 자포니카 장립종 장원형 벼를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자포니카 벼는 중단립종 단원형의 협소한 입형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다양화하기 위해 입형 다양화 육종소재 중 초장립종 장원형인 'DSG79'를 자포니카 초다수성 품종으로 중단립종 단원형인 '보람찬'과 인공교배하여 계통 육종법과 집단육종법을 병행수행하여 장립종 장원형 입형 특성의 우량계통 '전주625호'를 개발하였다. 전주625호는 입형 관련 GW2gs3qSW5+qGL3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었으며 현미 길이 7.06 mm의 초장립종에 장폭비 2.72의 장원형 입형 특성을 나타냈다. DGS79가 매우 늦은 출수기, 장간, 긴 까락, 쳐진 지엽, 도복에 약한 특성 등 열악형질을 수반하고 있었으나, 전주625호는 포장육종에 중점을 둔 강한 선발압으로 이를 개선하였다. 전주625호의 백미 수량성은 559 kg/10a로 자포니카 초다수 품종인 보람찬(552 kg/10a)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DGS79 (435 kg/10a)에 비해서는 29%로 향상되었다. 전주625호는 보람찬과 '한아름2호'에 비해 1차 지경 관련 형질이 2차 지경 관련 형질에 비해 많은 특성을 나타냈으며, 등숙률은 낮았다. 전주625호는 정상립률이 86.9%로 보람찬(91.1%)보다 낮았으나 한아름2호(78.0%)보다 높았다. 전주625호의 호화점도 특성은 자포니카인 보람찬과 통일형인 한아름2호에 비해 최고점도는 낮고 최저점도와 최종점도는 높아 강하점도가 낮고 치반첨도가 높은 특성을 나타냈다. 전주625호는 보람찬과 한아름2호에 비해 단백질 함량은 낮고 밥의 윤기치는 높았으며 식미 관능검정에서 높은 특성을 나타내 밥쌀용 쌀로서 그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발된 전주625호는 농업형질과 품질이 양호한 자포니카 장립종 장원형 벼로 실질적인 재배품종과 육종사업의 교배모본으로 활용되어 우리나라 자포니카 품종의 입형 특성 다양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논문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l : 042)716-7066, https://curation.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논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출판사 또는 논문 정보 제공 사이트(Scienceon, RIS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논문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