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덩굴쪼김병 저항성 고구마 품종 ‘예스미’
등록번호 | RPMS-2019-0190690505 | SCI 구분
?
※구분 : SCI(SCIE포함), 비SCI |
비SCI |
---|---|---|---|
저자명 (주·공동저자) | Lee Hyeong-Un; Chung Mi-Nam; Lee Joon-Seol; Ahn Seung-Hyun; Kim Jae-Myung; Han Seon-Kyeong; Yang Jung-Wook; Song Yeon-Sang; Shin Hyun-Man; Moon Jin-Young; Choi Kyu-Hwan; Lim Sang-Hyun; Choi In-Hu | ||
논문구분 | 국내전문학술지 | 학술지명 | 한국육종학회지 |
ISSN | 0250-3360 | 학술지 출판일자 | 2018-06-01 |
학술지 볼륨번호 | 50 | 논문페이지 | 131 ~ 138 |
학술지 임팩트팩터 | 0.6032 | 기여율 | 100 % |
DOI | https://doi.org/10.9787/kjbs.2018.50.2.131 | ||
초록 | ‘예스미’는 식미가 우수한 덩굴쪼김병 저항성 고구마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5년에 ‘목포34호’를 모본, 덩굴쪼김병 저항성인 ‘신건미(Ahn et al. 2002)’ 품종을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실생개체선발시험과 계통선발시험,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을 수행하여 괴근 육색이 담주황색이고 괴근 모양, 수량성, 식미가 양호한 ‘MI2005-15-01’ 계통을 ‘목포79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지역적응시험에 공시하였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한 결과, 수량성, 품질특성, 병해충저항성 등이 대비품종인 ‘율미’보다 우수하여(RDA 2012a, 2013a, 2014) 2013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심의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예스미’라 명명하였다. ‘예스미’는 잎의 결각이 3개이고, 결각의 깊이는 얕으며 잎, 잎자루, 줄기, 마디는 녹색이다. 괴근의 껍질색은 홍색, 육색은 담주황색이며 괴근 모양은 방추형이다. ‘예스미’는 덩굴쪼김병에 저항성이며 고구마뿌리혹선충에 감수성이다. ‘예스미’는 건물률이 25.4%로 ‘율미’보다 낮고 찐고구마의 육질이 중간질이다. ‘예스미’의 생고구마와 찐고구마의 유리당 함량은 ‘율미’보다 높다. ‘예스미’ 괴근의 베타카로틴 함량은 15.7 mg/100 g DW이다. ‘예스미’는 조기재배시 상품괴근수량이 32.5 MT/ha으로 ‘율미’의 16.5 MT/ha보다 97% 많았다. 적기 및 만기재배시 ‘예스미’의 주당상품괴근수는 2.8 개/주, 상품괴근평균중은 143 g/개였으며 상품괴근수량은 23.9 MT/ha으로 ‘율미’보다 42% 많았다(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5848호, 2016. 01. 12).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논문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l : 042)716-7066, https://curation.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논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출판사 또는 논문 정보 제공 사이트(Scienceon, RIS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논문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