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지)
조직 검사에서 림프 여포성 위염 소견을 보인 환자에서의 결절성 위염 진단
등록번호 | RPMS-2019-0190756270 | SCI 구분
?
※구분 : SCI(SCIE포함), 비SCI |
비SCI |
---|---|---|---|
저자명 (주·공동저자) | Kim Young Jung; Lee Sun-Young; Lee Sang Pyo; Kim Jeong Hwan; Sung In-Kyung; Park Hyung Seok; Shim Chan Sup; Han Hye Seung | ||
논문구분 | 국내전문학술지 | 학술지명 | 대한소화기학회지 |
ISSN | 1598-9992 | 학술지 출판일자 | 2018-03-01 |
학술지 볼륨번호 | 71 | 논문페이지 | 143 ~ - |
학술지 임팩트팩터 | 0.0 | 기여율 | 100 % |
DOI | https://doi.org/10.4166/kjg.2018.71.3.143 | ||
초록 | 목적: 결절성 위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 시 보이는 내시경 소견으로 위암과의 연관성이 알려져 있다. 림프 여포성 위염은 림프 여포의 형성과 림프 혈장계 세포의 응집으로 구성된 위염으로, 소아에서 흔하며 위암과의 연관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위점막의 조직 검사 소견에서 림프 여포성 위염의 특징인 림프 여포의 형성과 림프 혈장계 세포의 응집을 보인 환자들 중에서 위 내시경 시 결절성 위염 소견을 보이는 환자들의 특징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 내시경 검사와 혈청 펩시노겐 검사를 같은 날 받은 성인 중에서 조직검사 소견이 림프 여포의 형성과 림프 혈장계 세포의 응집으로 보고된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절성 위염은 위 내시경 검사에서 균일한 크기의 무색 점막하 결절들이 무수히 많이 보일 때 진단하였다. 결과: 혈청 펩시노겐 검사와 내시경 조직 검사를 동시에 받은 수진자 중에서 림프 여포의 형성과 림프 혈장계 세포의 응집 소견을 보인 사람은 108명이었으며, 13명(12%)이 결절성 위염으로 진단되었다. 결절성 위염군은 다른 군에 비해 어렸고(p |
연구개발성과 등록 또는 활용에 대한 문의는 논문 연구개발성과 담당자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l : 042)716-7066, https://curation.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NTIS의 논문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성과로, 조사분석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어, 출판사 또는 논문 정보 제공 사이트(Scienceon, RISS 등)에서 일괄 제공하는 논문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