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국가연구개발성과

성과
연구보고서 편도주위 농양의 치료를 위한 절개 배농법과 바늘 흡입법의 비교
(Randomized control trial comparing incision and drainage to needle aspiration in peritonsillar abscess)
상세데이터 조회
등록번호 TRKO202200019415 발행년월 2022-03
발행기관명 원광대학교 발행국가/사용언어 대한민국 /국문
발주기관 한국연구재단 과제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키워드 편도주위농양;절개배농;바늘흡인;
Peritonsillar abscess;Insision & drainage;needle aspiration;
초록
□ 연구개요
편도 주위 농양은 응급실을 내원하여 이비인후과에 입원하게 되는 급성 염증 질환이다. 치료로는 적극적으로 절개배농 하는 방법과, 바늘 흡인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두 방법 중 어느 방법이 더 우위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들이 있으며, 실제 임상에서는 절개 배농이 더 흔하게 사용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편도 주위 농양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방법에 따른 통증 수치, 회복률, 합병증에 대해 Randomized control trial을 시행해 객관적 수치로 치료 방법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절개 배농한 그룹과 바늘 흡인한 그룹은 각각 20명과 18명 이었으며 두 그룹간 성별, BMI, 고혈압, 당뇨, 흡연, 음주, 농양 크기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병원 입원 기간은 바늘 흡인 치료한 그룹에서 약간 더 길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농양 크기는 절개 배농한 그룹이 약간 컸으나, 이도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통증을 측정하는 VAS score, 염증수치인 WBC, CRP 수치도 시술전, 시술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바늘흡인 한 그룹 중 10% (n=2)가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추가적인 절개배농이 필요 하였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편도 주위 농양의 치료로 사용되는 절개 배농법과 바늘 흡인법에 대해, 내원한 환자분들을 무작위 배정하여 전향적으로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치료 결과 두 그룹간 치료 성공률의 차이는 없었다. 다만 바늘 흡인법에서 치료 후 3일에도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런 경우 2차적인 절개배농이 필요하였다.
절개 배농법과 바늘 흡인법의 치료 결과는 대등하며, 치료 후 조기 경과 관찰을 시행한다면 입원 치료와 같은 불필요한 병원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것으로 사료 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목차
표지 ... 1
연구결과 요약문 ... 2
목차 ... 3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6
1) 환자의 선택 ... 6
2) 시술자 ... 6
3) 측정항목 ... 6
4) 연도별 수행 과정 및 내용 ... 7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수준 ... 7
1) 정성적 연구 개발 성과 ... 7
2) 정량적 연구개발 성과 ... 7
3) 목표 달성 수준. ... 7
4.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8
5.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9
6.참고문헌 ... 10
붙임1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 성과 ... 12
붙임2 연구책임자 대표적 연구실적 및 증빙(요약문 및 사본) ... 14
끝페이지 ... 23

※ 연구개발성과 비공개원문 및 활용 문의는 과제관리(전문)기관을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연구보고서 원문 열람 문의는 ScienceON 고객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ScienceON 고객센터 Tel : 080-969-4114, E-mail : helpdesk@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