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과
-
연구보고서
신장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ethyl pyruvate의 신기능 보호 기전과 세포밖 소포체의 상관성 연구
(Role of extracellular vesicles in ethyl pyruvate-mediated renoprotection against re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등록번호 | TRKO202300006668 | 발행년월 | 2022-06 |
---|---|---|---|
발행기관명 | 연세대학교 | 발행국가/사용언어 | 대한민국 /국문 |
발주기관 | 한국연구재단 | 과제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
키워드 |
급성 신손상;허혈 재관류;세포밖 소포체;
Acute kidney injury;Ischemia Reperfusion;Ethyl pyruvate;Exosome;microRNAs; |
- 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허혈-재관류 손상에 특이적인 세포밖 소포체 (extracellular vesicles, EV)의 특성 및 ethyl pyruvate와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새로운 치료 목표물질을 제시
○ 전체 내용
ischemia(45min)-reperfusion(24h) 모델에서 유래된 혈중 EV를 분리/정제하여 특성을 비교/분석, ethyl pyruvate 후처치에 따른 혈중 EV 변화를 수집 및 분석
○ 1단계
● 목표
허혈-재관류 손상에 특이적인 세포밖 소포체 (extracellular vesicles, EV)의 특성 및 ethyl pyruvate와의 상관성을 연구
● 내용
허혈-재관류 손상 및 ethyl pyruvate 후처치에 따른 혈중 EV 변화를 수집 및 분석, 특정 microRNAs를 타겟팅함.
□ 연구개발성과
쥐 신장의 정상 및 global ischemia-reperfusion 모델을 통한 허혈/재관류 손상 상태와 Ethyl pyruvate 후처치 후, 유래된 혈중 EV를 분리/정제하여 비교/분석.
Transcriptome (mRNA array & microRNA array)을 통해 EV 은행 구축. mRNA와 miRNA 발현을 서로 비교하여 profiling. 특이적인 mRNA와 miRNA의 타겟 단백질을 탐구.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ethyl pyruvate 후처치와 EV 조절 기전의 연관성을 밝혀내어, 다양한 임상 상황의 환자들에게 유사한 신보호 치료가 적용 가능해진다. 또한, 자기 세포 유래 EV를 이용한 새롭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EV는 질병의 진단, 진행수준, 예후 예측인자로 사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신장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특이적인 EV 은행 구축을 통한 새로운 치료 후보 물질 개발, biomarker 및 진단 키트 개발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출처 : 요약문 2p)
- 목차
-
연구보고서 원문 열람 문의는 ScienceON 고객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ScienceON 고객센터 Tel : 080-969-4114, E-mail : helpdesk@kisti.re.kr
- NTIS 관련 이용문의는 NTIS 콜센터(042-869-1115)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NTIS의 연구보고서 정보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을 통해 발생된 연구보고서를 과제관리(전문)기관을 통해 연구개발성과전담기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에 등록된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있으며, 보고서 비공개/공개 여부, 비공개 원문 활용 여부 등은 해당 과제관리(전문)기관에 확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