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제안 연구의 최종목표는 새로운 전압인가-광촉매 기술을 활용하여 목질 폐기물인 리그닌으로부터 화학합성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고부가 가치 물질을 공급하는 것임. 새로운 전압인가-광촉매 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리그닌의 고부가 가치 물질 전환의 선택성을 향상시키고자 함. 전환 대상 물질은 크게 페놀류, 벤조퀴논류, 다이카르복실류로 해당 물질들은 모두 각종 레진, 나일론, 에폭시, 고분자, 약재 등의 합성 주원료 물질임.
리그닌은 목질을 구성하는 주성분 중 하나로 아직까지는 그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대부분 폐기되고 있으나 최근에 다양한 화학합성 원료의 공급원으로 주목받고 있음. 리그닌은 페놀류들이 서로 교차-결합된 고분자로 본 연구책임자 그룹을 포함한 몇몇 연구 그룹에서의 최근 연구결과를 통해 광촉매를 이용한 리그닌의 전환 가능성이 확인됨.
하지만 광촉매를 이용한 리그닌의 전환의 메커니즘은 아직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으며, 전환 선택성에 획기적인 향상이 필요한 상황임. 본 제안 연구에서는 광촉매에 전압을 인가해서 빛 흡수로 생성된 광촉매 내 정공의 위치 에너지를 조절하여 광촉매 활성을 조절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리그닌 전환의 선택성을 조절 및 향상 시키고자 함. 이와 더불어 액상 조건에서의 라디칼 종 분석과 분자-광촉매 표면 분석을 통해 리그닌의 광분해 메커니즘을 자세히 규명하고자 함. 이를 통해 새로운 전압인가-광촉매 시스템에 대한 선제적인 기술을 확보하는 동시에 광촉매를 이용한 리그닌 전환 메커니즘 이해, 그리고 전환 선택성 향상 기술을 도출하고자 하며, 이는 인류의 화석원유 의존성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과학적 연구결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전압인가-광촉매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리그닌 전환 선택성 조절에 대해 연구하며, 동시에 리그닌의 광전환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함. 리그닌내의 페놀류는 대부분 에테르 교차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크게 3가지 형태 (베타-O-4, 알파-O-4, 4-O-5)로 본 연구에서는 각 에테르 교차결합 형태에 대한 모델 물질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2-페닐에틸 페닐 에테르, 벤질 페닐 에테르, 다이페닐 에테르).
전체 연구기간은 총 3년으로 각 연차별 주요 연구 내용은 아래와 같음.
<1차년도>
[전압인가-광촉매 시스템 구축 및 최적화]
전극형태의 광촉매 제조 (상용화 이산화티탄, 알루미늄 기판 활용)
광촉매 전극의 광촉매 활성과 전기적 특성 평가 (유기염료 광분해) 및 제조 조건 최적화
[구축 전압인가-광촉매 시스템을 활용한 리그닌 모델 물질 전환 연구 (페놀류 전환)]
리그닌 모델 물질 3종에 대한 전환 연구
전환 물질 분석 (MS-GC, GC, LC/IC, FT-IR 활용)
전자 제거제 (electron scavenger, 예; potassium dichromate) 첨가 후, 전압 인가를 통한 전환 선택성 조절 연구 (페놀류 전환 연구)
<2차년도>
[리그닌 모델 물질 전환 연구 (벤조퀴논류, 다이카르복실류 전환)]
리그닌 모델 물질 3종에 대한 전환 연구
자외선 조사조건에서 구축 시스템을 이용한 전환 연구
전자 제거제 (electron scavenger, 예; potassium dichromate) 첨가 후, 전압 인가를 통한 전환 선택성 조절 연구 (벤조퀴논류, 다이카르복실류 전환 연구)
[리그닌 모델 물질의 페놀 전환 메커니즘 규명]
1차년도에서 도출한 페놀 전환 인가 전압 조건에서 반응 관여 라디칼에 대한 연구
전자 상자기성 공명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과 스핀 트래핑 물질 (spin trapping agent, 예; DMPO, TEMP)을 이용한 연구
리그닌 모델 분자를 도포한 광촉매 전극 표면 연구를 통한 메커니즘 연구
유량 조절기 (MFC)를 이용한 고습도 조건 (50RH% 이상) 제어
operando FT-IR 장비를 이용한 광촉매 전극표면 연구 (고분자-광촉매 표면/계면 연구)
1차년도에서 도출한 페놀에 고선택성을 보이는 인가 전압조건에서의 표면 연구
엑스레이 흡수 분석법 (XAS)를 활용한 연구 (가속기 활용)
엑스레이 광전자 분광법 (XPS)를 활용한 연구 (반응 전/후 분석)
<3차년도>
[리그닌 모델 물질의 벤조퀴논류, 다이카르복실류 전환 메커니즘 규명]
벤조퀴논류, 다이카르복실류 전환 인가 전압 조건에서 반응 관여 라디칼에 대한 연구
전자 상자기성 공명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과
스핀 트래핑 물질 (spin trapping agent, 예; DMPO, TEMP)을 이용한 연구
리그닌 모델 분자를 도포한 광촉매 전극 표면 연구를 통한 메커니즘 연구
유량 조절기 (MFC)를 이용한 고습도 조건 (50RH% 이상) 제어
operando FT-IR 장비를 이용한 광촉매 전극표면 연구 (고분자-광촉매 표면/계면 연구)
1차년도에서 도출한 페놀에 고선택성을 보이는 인가 전압조건에서의 표면 연구
엑스레이 흡수 분석법 (XAS)를 활용한 연구 (가속기 활용)
엑스레이 광전자 분광법 (XPS)를 활용한 연구 (반응 전/후 분석)
[실제 폐기 리그닌의 전환 연구]
실제 제지/펄프 공정에서 방출되는 리그닌의 전환 연구 (크래프트 리그닌)
전압인가를 통한 광촉매 활성 조절을 통한 실제 폐기 리그닌 전환 선택성 조절 연구
펄프 공정에서 리그닌 분리 등의 공정에서 첨가되는 이온종의 영향을 분석 및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