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항목 항목설명
과제명신청 및 협약 과제를 기준으로 국문 세부과제명의 정식명칭(국문과제명과 영문과제명 구분)
연구책임자명연구책임자명
과제관리기관명해당 사업의 과제 및 성과정보를 등록·관리하는 기관의 정식 명칭
과제수행기관연구개발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 명칭
과제수행기관
사업자등록번호
과제수행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
※ 공백없이 '-'를 포함(예: 123-45-67890)
※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는 외국기업의 경우 전문기관에서 관리하는 기관 ID값을 입력
부처명연구개발사업의 기획, 평가 및 관리에 관한 제반사항을 주관하는 중앙행정기관의 명칭 예)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명세부사업명
(기관)세부과제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세부과제번호
과제고유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과제번호
한글키워드한글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영문키워드영문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연구목표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목표에 대한 요약
연구내용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내용에 대한 요약
기대효과과제 수행 시 기대효과요약
※ 연구개발 결과의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등에 대한 요약
※ 관련 산업의 공정 과정 개선, 사업화 및 파급효과, 응용분야에서 거두게 될 경제적 가치 등을 기술
  • 검색건수

    • 1189건

과제

검색옵션

건수 :

도움말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기준연도 / 예산사업명 / 연구책임자 / 과제수행기관 / 부처명 / 정부투자연구비(총연구비) 연구개발성과 연구내용 계속과제 묶어보기란? 보안과제(국방 비밀과제 포함)는 검색목록에서 제외됩니다.

동일한 과제가 연도별로 중복되어 나와서 불편하시나요?
해당 기능을 클릭해보세요!

건수 :

  • 시공 3D 모델 및 빅데이터 기반의 실시간 건설 플랜트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2420006610)

    2024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윤종규

    휴엔시스템

    중소벤처기업부

    80000000 (106670000)

    ○ 국내 첨단 플랜트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업무 혁신을 위한 시공 3D 모델 및 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1) 국제 경쟁력 강화: 첨단 플랜트 공사의 업무 혁신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2) 3D 변환 알고리즘 및 시각화 기술 개발: 설계 BIM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시공 3D 변환 알고리즘 및 시각화 기술 개발(3) 실시간 데이터 반영: 설계, 자재, 시공, 품질, 시운전 DB를 연동한 실시간 데이터 반영 기술 개발(4) 각 단계별 3D 시각화 기술: 각 단계별 3D 시각화, 공정률 현황 및 객체 네비게이션 기술 개발

    ○ 목표달성을 위한 주요연구내용(1) 설계 마스터 정보 추출 및 가공: 설계 솔루션 API를 활용하여 설계 마스터 정보를 추출 및 가공(2) Work Front 산출: 설계, 자재, 시공 DB를 연계한 공종별 작업 우선순위 결정 알고리즘 개발 및 Work Front 산출 기능 구현(3) 4D Visualization: 시공 3D 변환 알고리즘 및 시각화 기능을 통해 4D Visualization 기능 구현(4) 데이터 연동 및 보안: 오프라인 방식의 데이터 연동 방식을 적용하여 폐쇄환경 내에서 데이터 I/F 개발 및 파일 암호화 기능 구현(5) 통합 관리 환경 구축: 설계, 자재, 시공, 품질, 시운전 단계를 연계한 EPC 통합 관리 환경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스템 구축 ○ 최종연구결과물(1) EPC 통합관리 디지털 트윈 플랫폼(솔루션) 1식(2) 3D 변환 알고리즘 및 시각화 솔루션 1식(3) Work Front 산출 및 빅데이터 분석 도구 1식○ 주요 성능지표 및 검증방법(1) 개요: 선행연구 및 개발경험을 활용하여 연구과제의 목표 달성(2) 성능지표: 데이터 정확성, 처리 속도, 시각화 품질, 실시간 반영 속도, 데이터 통합성, 시스템 호환성(3) 검증방법: TTA 등 S/W 공인기관을 통하여 시험인증을 진행하여 검증○ 연구팀 구성 및 운영(1) 주관기관과 참여기관이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팀을 조직하며, 과제 총괄 책임자(Project Manager) 외 각 분야별 책임자(Project Leader)를 운영(2)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연구개발기관간의 지속적 협업을 통해 최종 성과품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애자일 방식을 채택하여 프로젝트를 관리○ 주관연구개발기관: ㈜휴엔시스템(1) 2008년 설립한 플랜트 EPC 분야의 IT시스템 개발 및 제공하는 기업(2)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최고 수준의 IT 솔루션 기업 (3) 클라우드 기반의 설계데이터 통합관리 솔루션 개발 및 운영.(4) 과제의 주도적인 기술 개발 및 프로젝트 관리.○ 공동연구개발기관: ㈜마요네즈랩(1) 2018년 설립한 응용 S/W 및 관련 H/W R&D 역량 보유 벤처기업(2) UI/UX 기획 및 디자인을 담당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플랫폼 구현.(3) AI 및 Vision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기능 개발 및 연구.

    ○ 과학/기술적 측면(1) 빅데이터 활용: 플랜트 EPC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정교한 Workfront 산출 및 빅데이터 기반 공사 예측 기술로써, 프로젝트의 정확성과 효율성 증대(2) 디지털 전환 촉진: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정확성과 활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플랜트 EPC 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3) 안전 관리 기술의 혁신: 품질 데이터의 디지털 분석 및 직접적인 활용을 통해 플랜트 공사에서의 안전 관리 역량 강화 ○ 산업적·사회적 측면(1)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성 향상: Work Front 산출 기술과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EPC 통합 데이터 관리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 기대(2) 안전성 및 품질 향상: 안전 및 품질 관리를 강화함으로써 현장 근로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며, 시공의 품질을 보증 가능(3) 글로벌 경쟁력 및 시장 확장: 최신 IT 기술 도입을 통해 플랜트 EPC 업체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시장 확장을 촉진(4) 고용창출 및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 트윈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관련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이는 산업 전반의 기술력 향상으로 이어져 관련 분야에 대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음.○ 경제적 측면(1) 최적 자원 활용을 통한 프로젝트 비용 감소: 자재, 인력, 장비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불필요한 비용 낭비를 줄여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에 기여 및 빅데이터 분석과 디지털 트윈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통한 설계, 시공 단계에서의 오류를 사전에 발견하고 수정하여 시행착오와 재작업 비용을 절감 가능(2) 효율적 일정 진행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한 프로젝트 일정 단축: 작업 우선순위 결정의 정확성이 높아짐에 따라, 공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일정 지연을 방지하여 프로젝트 완료 시점을 앞당길 수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은 프로젝트 진행 속도를 높이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일정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 시공 3D 모델 및 빅데이터 기반의 실시간 건설 플랜트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2420019443)

    2025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R&D)

    윤종규

    휴엔시스템

    중소벤처기업부

    160000000 (213340000)

    ○ 국내 첨단 플랜트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업무 혁신을 위한 시공 3D 모델 및 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1) 국제 경쟁력 강화: 첨단 플랜트 공사의 업무 혁신 및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2) 3D 변환 알고리즘 및 시각화 기술 개발: 설계 BIM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시공 3D 변환 알고리즘 및 시각화 기술 개발(3) 실시간 데이터 반영: 설계, 자재, 시공, 품질, 시운전 DB를 연동한 실시간 데이터 반영 기술 개발(4) 각 단계별 3D 시각화 기술: 각 단계별 3D 시각화, 공정률 현황 및 객체 네비게이션 기술 개발

    ○ 목표달성을 위한 주요연구내용(1) 설계 마스터 정보 추출 및 가공: 설계 솔루션 API를 활용하여 설계 마스터 정보를 추출 및 가공(2) Work Front 산출: 설계, 자재, 시공 DB를 연계한 공종별 작업 우선순위 결정 알고리즘 개발 및 Work Front 산출 기능 구현(3) 4D Visualization: 시공 3D 변환 알고리즘 및 시각화 기능을 통해 4D Visualization 기능 구현(4) 데이터 연동 및 보안: 오프라인 방식의 데이터 연동 방식을 적용하여 폐쇄환경 내에서 데이터 I/F 개발 및 파일 암호화 기능 구현(5) 통합 관리 환경 구축: 설계, 자재, 시공, 품질, 시운전 단계를 연계한 EPC 통합 관리 환경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스템 구축 ○ 최종연구결과물(1) EPC 통합관리 디지털 트윈 플랫폼(솔루션) 1식(2) 3D 변환 알고리즘 및 시각화 솔루션 1식(3) Work Front 산출 및 빅데이터 분석 도구 1식○ 주요 성능지표 및 검증방법(1) 개요: 선행연구 및 개발경험을 활용하여 연구과제의 목표 달성(2) 성능지표: 데이터 정확성, 처리 속도, 시각화 품질, 실시간 반영 속도, 데이터 통합성, 시스템 호환성(3) 검증방법: TTA 등 S/W 공인기관을 통하여 시험인증을 진행하여 검증○ 연구팀 구성 및 운영(1) 주관기관과 참여기관이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팀을 조직하며, 과제 총괄 책임자(Project Manager) 외 각 분야별 책임자(Project Leader)를 운영(2)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연구개발기관간의 지속적 협업을 통해 최종 성과품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애자일 방식을 채택하여 프로젝트를 관리○ 주관연구개발기관: ㈜휴엔시스템(1) 2008년 설립한 플랜트 EPC 분야의 IT시스템 개발 및 제공하는 기업(2)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최고 수준의 IT 솔루션 기업 (3) 클라우드 기반의 설계데이터 통합관리 솔루션 개발 및 운영.(4) 과제의 주도적인 기술 개발 및 프로젝트 관리.○ 공동연구개발기관: ㈜마요네즈랩(1) 2018년 설립한 응용 S/W 및 관련 H/W R&D 역량 보유 벤처기업(2) UI/UX 기획 및 디자인을 담당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플랫폼 구현.(3) AI 및 Vision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기능 개발 및 연구.

    ○ 과학/기술적 측면(1) 빅데이터 활용: 플랜트 EPC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정교한 Workfront 산출 및 빅데이터 기반 공사 예측 기술로써, 프로젝트의 정확성과 효율성 증대(2) 디지털 전환 촉진: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정확성과 활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플랜트 EPC 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3) 안전 관리 기술의 혁신: 품질 데이터의 디지털 분석 및 직접적인 활용을 통해 플랜트 공사에서의 안전 관리 역량 강화 ○ 산업적·사회적 측면(1)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성 향상: Work Front 산출 기술과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EPC 통합 데이터 관리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 기대(2) 안전성 및 품질 향상: 안전 및 품질 관리를 강화함으로써 현장 근로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며, 시공의 품질을 보증 가능(3) 글로벌 경쟁력 및 시장 확장: 최신 IT 기술 도입을 통해 플랜트 EPC 업체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한국 건설 산업의 글로벌 시장 확장을 촉진(4) 고용창출 및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 트윈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관련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이는 산업 전반의 기술력 향상으로 이어져 관련 분야에 대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음.○ 경제적 측면(1) 최적 자원 활용을 통한 프로젝트 비용 감소: 자재, 인력, 장비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불필요한 비용 낭비를 줄여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에 기여 및 빅데이터 분석과 디지털 트윈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통한 설계, 시공 단계에서의 오류를 사전에 발견하고 수정하여 시행착오와 재작업 비용을 절감 가능(2) 효율적 일정 진행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한 프로젝트 일정 단축: 작업 우선순위 결정의 정확성이 높아짐에 따라, 공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일정 지연을 방지하여 프로젝트 완료 시점을 앞당길 수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은 프로젝트 진행 속도를 높이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일정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 빅데이터 상황 인지 분석 기술 기반 통합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1425126814)

    2018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R&D)

    고의열

    (주)아크릴

    중소벤처기업부

    39000000 (600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최종목표 : 빅데이터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 기반의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구축단계별 목표 : 수요 기업과의 협력 기획 및 플랫폼 설계 / 수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시장의 니즈를 파악하고, 기술적 보완할 점을 고려하여 플랫폼 설계기존 마케팅 서비스와의 연계 플랫폼 구축 / 기존에 웹 페이지 광고를 집행 중인 미디어랩사나 애드네트워크와의 연계를 통한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구축상용화를 위한 UI/UX 고도화 / 빅데이터가 데이터 분석가와 같은 전문가의 전유물로 여겨지지 않도록 사용자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UI/UX 고도화플랫폼 사용자 테스트 / 플랫폼에 대한 테스트 진행 및 지속적인 고객 피드백을 통한 업데이트

    주요 내용 :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나온 마케팅 활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광고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애드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퍼블리싱 지원- DSP와 기술적 제휴를 통한 데이터 공급이 원활하도록 프로토콜 정의 및 개발 상황 인지 플랫폼에 대한 외부 사용자 접근을 위한 API 개방 광고 집행 실시간 처리를 위한 서버 설계 및 구성

    [산업적측면]미디어 랩과 애드 네트워크의 협업을 통한 국내 마케팅 분야의 새로운 분야 형성 기대.수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시장의 새로운 니즈를 파악 후 새로운 산업 분야의 형성 기대 가능.마케팅 분야 특화 빅데이터 전문가의 양성 가능.쉬운 UI/UX 개발을 통한 빅데이터 사용자의 다양화, 대량화를 통한 시장의 새로운 니즈를 파악할 수있음.Ad-Exchange, RTB의 최적화된 분배를 위한 고도화 산업 발생.[경제적측면]미디어랩, 애드 네트웍과의 협업을 통한 새로운 수익 모델 창출.수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발생한 새로운 시장의 니즈에 대응함으로서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에 대한기대.쉬운 UI/UX 개발을 통한 대중 빅데이터 사용 사업화 모델의 수익.Ad-Exchange,RTB의 최적화된 분배를 통한 시장 선도 이미지를 통한 수익 창출.

  • 빅데이터 상황 인지 분석 기술 기반 통합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1425112293)

    2017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고의열

    (주)아크릴

    중소벤처기업부

    234000000 (3390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최종목표 : 빅데이터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 기반의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구축단계별 목표 : 수요 기업과의 협력 기획 및 플랫폼 설계 / 수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시장의 니즈를 파악하고, 기술적 보완할 점을 고려하여 플랫폼 설계기존 마케팅 서비스와의 연계 플랫폼 구축 / 기존에 웹 페이지 광고를 집행 중인 미디어랩사나 애드네트워크와의 연계를 통한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구축상용화를 위한 UI/UX 고도화 / 빅데이터가 데이터 분석가와 같은 전문가의 전유물로 여겨지지 않도록 사용자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UI/UX 고도화플랫폼 사용자 테스트 / 플랫폼에 대한 테스트 진행 및 지속적인 고객 피드백을 통한 업데이트

    주요 내용 :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나온 마케팅 활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광고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애드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퍼블리싱 지원- DSP와 기술적 제휴를 통한 데이터 공급이 원활하도록 프로토콜 정의 및 개발 상황 인지 플랫폼에 대한 외부 사용자 접근을 위한 API 개방 광고 집행 실시간 처리를 위한 서버 설계 및 구성

    [산업적측면]미디어 랩과 애드 네트워크의 협업을 통한 국내 마케팅 분야의 새로운 분야 형성 기대.수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시장의 새로운 니즈를 파악 후 새로운 산업 분야의 형성 기대 가능.마케팅 분야 특화 빅데이터 전문가의 양성 가능.쉬운 UI/UX 개발을 통한 빅데이터 사용자의 다양화, 대량화를 통한 시장의 새로운 니즈를 파악할 수있음.Ad-Exchange, RTB의 최적화된 분배를 위한 고도화 산업 발생.[경제적측면]미디어랩, 애드 네트웍과의 협업을 통한 새로운 수익 모델 창출.수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발생한 새로운 시장의 니즈에 대응함으로서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에 대한기대.쉬운 UI/UX 개발을 통한 대중 빅데이터 사용 사업화 모델의 수익.Ad-Exchange,RTB의 최적화된 분배를 통한 시장 선도 이미지를 통한 수익 창출.

  • 빅데이터 상황 인지 분석 기술 기반 통합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1425104175)

    2016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채종훈

    (주)아크릴

    중소기업청

    195000000 (321000000)

    최종목표 : 소비자 수요 기반의 디지털 마케팅을 위한 빅데이터 상황 인지 분석 알고리즘 개발단계별 목표 : 기획 및 자료조사 / 소비자 수요 기반의 효율적인 디지털 마케팅을 위한 분석 요소(광고 선택 근거가 될 수 있는 데이터 요소) 발굴 및 리서치를 진행한다시스템 설계 및 구성 /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고, 서버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데이터 수집기 개발 / 다양한 온라인 채널(뉴스, 커뮤니티 웹 사이트, 블로그, 포털, SNS, 유튜브 등)에서 분석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각 채널별 데이터 수집기를 개발한다문장 형태소 분석 기술 개발 / 문장의 구성 요소들을 잘 분할하여, 각 단어들이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한다상황 인지 분석 기술 개발 / ㈜아크릴에서 보유하고 있는 국내 최고 수준의 감성 인식 기술과 문장 형태소 분석 기술을 조합하여 상황을 인지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주요 내용 : 여러 온라인 채널(뉴스, 커뮤니티 웹 사이트, 블로그, 포털, SNS, 유튜브 등)의 데이터 수집을 통해 쌓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키워드 및 브랜드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마케팅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분석 데이터를 결과로 보여주는 방법기획 및 자료 조사 / 상황 인지 타겟팅을 위해서는 광고가 있는 웹 페이지의 문장 구성 요소를 파악하여 광고를 선정하게 된다. 본 기술에서는 관련 키워드가 가장 언급이 많이된 웹 사이트 정보, 키워드가 언급된 뉴스나 댓글 및 컨텐츠 페이지 정보, 컨텐츠에 대한 긍정 및 부정 분석 정보를 분석 결과로 언급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연관어 중 높은 빈도 수를 가진 단어, 문장 요소 분석을 통한 사용자 계층 판단 등 다양한 방향으로 상황 인지를 진행할 수 있기에 수요기업의 니즈에 맞추어 기획 및 자료조사를 진행하는 것을 1단계 목표로 잡고 있다.데이터 수집기 개발 / 다양한 채널에서 데이터를 수집. 각 채널 별로 별도로 데이터 수집기를 만들어야 되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고, 웹 페이지 구성 변화에 따라 수집이 안될 수도 있어, 데이터 수집 관리를 위한 시스템 매니저도 필요문장 형태소 분석 기술 개발 / 형태소 분석 이란 형태소를 비롯하여, 어근, 접두사/접미사, 품사 등 다양한 언어적 속성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으로 기술 개발은 현재 ㈜아크릴이 보유하고 있는 형태소 분석 기술을 고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크릴은 세계최고수준의 텍스트 감성 인식 기술과 지식 연산 기술, 유사어 수집 기술 등에 대해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 본 과제의 효과적인 개발 달성에 대한 당위성을 보여주고 있음.

    [산업적측면]다양한 온라인 채널의 데이터 수집을 통해 데이터 제공 방식의 새로운 산업 분야 창출 기대.상황 인지 기술과 텍스트 마이닝 기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산업 분야 창출 기대.한국어 구문 분석의 성능 향상을 통한 빅데이터 활용도의 실질적 상승 기대.개체 명 인식 기술의 향상을 통한 타겟 마케팅 효과의 증대.지식 수집과 개체 명 인식 기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시장 분석 데이터의 확보 및 통찰력 증대.[경제적측면]다양한 온라인 채널의 데이터수집, 마이닝, 가공된 데이터 제공을 통한 경제적 효과 기대.상승하는 상황인지 기술의 수요에 부응함으로서 누릴 수 있는 경제적 효과 기대.정체되어 있는 한국어 분석 기술의 향상을 통한 시장 에서의 독보적인 위치 차지.마케팅 관련 개체명 인식 기술 확보를 통한 시장 내 선점 효과를 통한 경제적 이익 기대.

  • AI과 디지털트윈 기반 설비 예지보전 산업데이터플랫폼 개발 및 사업화

    (1711152435)

    2022

    ICTR&D혁신바우처지원사업(예타)

    이영규

    (주)아이티공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00000000 (5000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 소프트웨어(2)

    o AI 및 디지털트윈 기반 설비 예지보전 산업데이터플랫폼 개발 및 사업화o 데이터 수집 - (중소*중견 제조기업) 중소*중견 기업 설비(모터, 송풍기, 로봇, 데이터 - (빌딩)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 (도시) 상하수도 펌프o 서비스 활용 -(제품) 설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제품 및 서비스 개발 - (서비스) 설비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제공, 데이터 분석가 및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중개, 정비 서비스 제공

    o 주요 기능(또는 규격) - 이상 감지를 위한 디지털 트윈의 구동부 장비 상태 모니터링 기능 - 보다 빠른 의사 결정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 및 알람 서비스 기능 - 혼합현실에서 현장 장비 인식하여 상태 및 이상 정보 제공 및 조작 - 예측 모델 정확성 및 Auto ML기능 - 클라우드 시스템을 위한 운영 환경 o 주요 성능치 - 인터페이스: 디지털 트윈 IoT 3종(대상 공정 설비/센서/사용자 중 핵심 관리 대상 3종 이상 적용) - 알고리즘 성능: 디지털 트윈의 논리 모델에 해당하는 activity 기반의 블록 조립공정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에 대한 성능지표로 1,000개 activities에 대한 시뮬레이션 시간을 의미함 - 예측 정확도: 취득한 설비 데이터 정보에 대한 학습을 통해 개발된 기계학습 모델에 대한 평가지표로, 새로운 설비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의 정확도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 처리속도 : 이상 발생후 이상 상황 알람때까지 소요시간을 30초 이내 o 핵심 기술 - 디지털 트윈기반의 구동부 장비 상태 모니터링 기술 - 홀로렌즈로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기술 - 빅데이터 머신러닝/AI AutoML 기술 - 클라우드 기술 - 산업데이터 플랫폼 기술

    ○ 사업 분야별 효과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면 디지털 세계를 통해 설비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유지 보수 시점 또한 파악할 수 있음. - 가동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예측해 안전 검증이나 돌발 사고를 예방하여 위험을 줄일 수 있음. - 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력 사용량의 이상 징후를 파악하거나 유지 보수 효율화에 전력 소비량 예측 및 소비 패턴 분석에 사용될 수 있음. - 수많은 제조 기업에 데이터를 이용한 설비 관리와 공정 관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면 울산 경쟁력, 국가의 경쟁력이 강화되며 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됨. -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조업 전반에 걸쳐 산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국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임. - 현재 현장 작업자 마다 다른 작업방법으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업 표준화, 정비 표준화를 수립하고 AI 분석 기술로 표준에서 멀어지는 경우 다시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여 “다른 작업자 - 같은 생산력”을 유지한다면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 - 혁신 측면에서 정부 지원을 받게 되면 기업은 자체 R&D 투자를 확대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제품의 품질과 서비스가 타 기업들과 경쟁력에서 우위를 선점하여 회사 매출과 고용 인원을 증가함. ○ 경제적 효과(사업화 측면) - 설비 예지보전 관련 계약 건수 2개 이상 기대 및 매출액 3억 이상 기대 - 산업데이터플랫폼 이용 사용자 30 가입 기대 및 수익 1백만원 이상 기대 - 고객 인지도도 국내 4위권 이내 진입 목표 - 투자 유치금액도 1억원 이상 목표

  • AI과 디지털트윈 기반 설비 예지보전 산업데이터플랫폼 개발 및 사업화

    (1711134114)

    2021

    ICTR&D혁신바우처지원(R&D)

    이영규

    (주)아이티공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00000000 (375372000)

    「연구개발성과」 : 소프트웨어(2)

    o AI 및 디지털트윈 기반 설비 예지보전 산업데이터플랫폼 개발 및 사업화o 데이터 수집 - (중소*중견 제조기업) 중소*중견 기업 설비(모터, 송풍기, 로봇, 데이터 - (빌딩)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 (도시) 상하수도 펌프o 서비스 활용 -(제품) 설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제품 및 서비스 개발 - (서비스) 설비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제공, 데이터 분석가 및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중개, 정비 서비스 제공

    o 주요 기능(또는 규격) - 이상 감지를 위한 디지털 트윈의 구동부 장비 상태 모니터링 기능 - 보다 빠른 의사 결정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 및 알람 서비스 기능 - 혼합현실에서 현장 장비 인식하여 상태 및 이상 정보 제공 및 조작 - 예측 모델 정확성 및 Auto ML기능 - 클라우드 시스템을 위한 운영 환경 o 주요 성능치 - 인터페이스: 디지털 트윈 IoT 3종(대상 공정 설비/센서/사용자 중 핵심 관리 대상 3종 이상 적용) - 알고리즘 성능: 디지털 트윈의 논리 모델에 해당하는 activity 기반의 블록 조립공정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에 대한 성능지표로 1,000개 activities에 대한 시뮬레이션 시간을 의미함 - 예측 정확도: 취득한 설비 데이터 정보에 대한 학습을 통해 개발된 기계학습 모델에 대한 평가지표로, 새로운 설비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의 정확도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 처리속도 : 이상 발생후 이상 상황 알람때까지 소요시간을 30초 이내 o 핵심 기술 - 디지털 트윈기반의 구동부 장비 상태 모니터링 기술 - 홀로렌즈로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기술 - 빅데이터 머신러닝/AI AutoML 기술 - 클라우드 기술 - 산업데이터 플랫폼 기술

    ○ 사업 분야별 효과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면 디지털 세계를 통해 설비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유지 보수 시점 또한 파악할 수 있음. - 가동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예측해 안전 검증이나 돌발 사고를 예방하여 위험을 줄일 수 있음. - 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력 사용량의 이상 징후를 파악하거나 유지 보수 효율화에 전력 소비량 예측 및 소비 패턴 분석에 사용될 수 있음. - 수많은 제조 기업에 데이터를 이용한 설비 관리와 공정 관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면 울산 경쟁력, 국가의 경쟁력이 강화되며 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됨. -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조업 전반에 걸쳐 산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국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임. - 현재 현장 작업자 마다 다른 작업방법으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업 표준화, 정비 표준화를 수립하고 AI 분석 기술로 표준에서 멀어지는 경우 다시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여 “다른 작업자 - 같은 생산력”을 유지한다면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 - 혁신 측면에서 정부 지원을 받게 되면 기업은 자체 R&D 투자를 확대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제품의 품질과 서비스가 타 기업들과 경쟁력에서 우위를 선점하여 회사 매출과 고용 인원을 증가함. ○ 경제적 효과(사업화 측면) - 설비 예지보전 관련 계약 건수 2개 이상 기대 및 매출액 3억 이상 기대 - 산업데이터플랫폼 이용 사용자 30 가입 기대 및 수익 1백만원 이상 기대 - 고객 인지도도 국내 4위권 이내 진입 목표 - 투자 유치금액도 1억원 이상 목표

  • 디지털 플랫폼시장에서의 경쟁정책: 혁신유인,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획득을 위한 기업합병

    (1345360253)

    2022

    인문사회기초연구

    최재필

    연세대학교

    교육부

    25322000 (25322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

    디지털 플랫폼시장은 인터넷에 기반한 정보통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산업 및 SNS (Social Network Services)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서비스 산업에 있어서의 기본 사업모델로 부각되었다. 하지만 플랫폼 시장은 네트워크 효과 및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과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소위 FAANG (Facebook, Amazon, Apple, Netflix, Google)으로 대표되듯이, 소수의 국제적 대기업들에 의하여 독점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소비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이 거대 플랫폼의 시장지배력과 시장집중(market concentration)에 대해 더 큰 우려를 가지게 되었다 (Kahn, 2016). 이 연구과제는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시장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경제모형의 패러다임을 개발하고, 이에 기반하여 올바른 경쟁정책 수립을 위한 경제학적 분석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플랫폼 시장의 경쟁정책분석에서 가장 큰 난제는 대다수의 양면 플랫폼(two-sided platform)들이 시장의 한 면인 소비자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반대 면에 존재하는 광고주들이나 앱 개발자들에게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Rochet and Tirole, 2006; Amelio and Jullien, 2012; Choi and Jeon, forthcoming). 양면 플랫폼에서 서비스가 무료일 때는 기업의 시장지배력의 행사를 통한 소비자의 손실은 가격 상승이 아니라 품질 저하, 광고 증가, 개인정보보호 감소, 혁신 감소 등의 형태를 통해 실현될 확률이 높다(Newman, 2015, 2016).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연구과제의 주요 목표는 비음가격제약 (non-negative price constraint)이 적용되는지에 따라 경쟁정책의 방향성이 매우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비음가격제약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플랫폼시장에서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 (policy implications)를 찾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이 연구과제는 영의 가격이 적정가격이 되는 상황을 외생적으로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내생적으로 도출되는 모델을 개발하고, 그러한 기본모형에 기반하여 비음가격제약이 경쟁정책에 가지는 함의를 도출한다. 특히 디지털 플랫폼 시장은 혁신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역동적인 시장이다. 따라서 시장지배력이 어떻게 디지털 플랫폼들의 혁신 유인을 형성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대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발표된 일련의 보고서들은 공통적으로 플랫폼 시장에서 시장집중이 초래하는 중대한 해악 중 하나로 혁신유인의 왜곡을 지목한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플랫폼 시장지배력과 혁신 유인 사이에 대한 엄밀한 분석은 체계적으로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 연구과제는 또한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와 경쟁정책간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이 분석에서도 비음가격제약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개인정보보호가 하나의 서비스 측면으로 간주할 때, 가격이 양일 때에는 개인정보보호의 정도가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이 가격에 반영되어 플랫폼에 의해서 내재화 (internalize)될 수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의 결과가 사회후생을 극대화하고, 정부의 개입 여지가 없을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이 영이 되면 가격은 그러한 기능을 상실하고 정부의 정책규제가 사회후생을 증진 시킬 여지가 생긴다. 이들 뿐만 아니라, 이 과제는 플랫폼시장에서의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기업합병의 주요 목표가 새로운 데이터의 획득과 합성을 위한 것일 경우 합병의 경쟁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경쟁정책의 시사점을 찾는다. 이러한 연구에 근거하여 이 프로젝트는 최상위 저널 및 SSCI 급저널에 최소한 논문 게재 6편 (평균 매해 2편)을 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 연구와 동행하여 해외 유수학자를 초청하여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피드백을 받는 계기로 사용한다. 이는 후속학자를 양성하는 데 또한 크게 기여하고 신진학자들이 외국학자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디지털 플랫폼시장은 여러부류의 이질적 집단이 서로 교류하고 거래를 하는 장을 마련하는 사업모델의 특성상 양면성 (좀 더 일반적으로는 다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통적인 단면적 시장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다양한 경쟁이슈들이 존재한다. 특히 대다수의 양면 플랫폼(two-sided platform)들은 광고등 다른 수익 원천을 위한 수단으로서 소비자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시장지배력으로 인한 경쟁효과는 가격이 아니라 기술혁신 등 다른 행태로서 나타나게 된다. 그러한 특성상 플랫폼시장에서의 경쟁에 관련한 이슈들은 혁신유인, 빅테이터를 취합하기 위한 정보수집, 이와 관련된 사생활(privacy) 보호, 국제간 데이터이동에 대한 규제 및 이로 인한 국제경쟁 함의, 데이터에 기반한 경쟁우위를 위한 기업결합등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이들은 또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있다. 특히 플랫폼시장 경쟁의 특성상 영의 가격에 제공되는 서비스가 만연한 상황에서 가격이외의 측면에서 소비자 후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행위에 대한 분석이 절실하다. 특히 소비자의 일거수 일투족이 스마트폰등 모바일 기기와 인터넷을 통해 기록되는 데이터및 이에 기반한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과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산업의 급속한 기술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기술혁신과 개인정보보호가 주요한 경쟁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연구자는 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분석의 틀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경제학에서의 관행처럼 각각 다른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슈들을 다루기 위해서 이슈에 따라 적합한 다양한 경제 모델을 개발하는 접근법을 사용할 계획이다.좀 더 구체적으로, 전통적인 단면시장에서는 기업이 이윤을 가질 수 있는 수익의 근원이 하나이기 때문에 음의 가격이 적정가격이 될 가능성이 없다. 하지만 양면 혹은 좀 더 일반적으로 다면시장 (multi-sided markets)에서는 수익의 근원이 다양하기 때문에 한면에서는 음의 이윤을 갖더라도 다른 면에서의 수익이 이러한 손해를 만회하고도 남는 경우에는 음의 가격이 적정가격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주요한 이론적 결과이다. 하지만 Amelio and Jullien (2012)논문과 Choi and Jeon (forthcoming)이 지적하였듯이 음의 가격의 설정은 소비자들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유발한다 (Farrell and Gallini, 1988). 예를 들어, 만약 Google이 search engine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일정량의 금액을 지불한다면 일부 사람들은 돈을 벌기 위해 자신과 전혀 상관없는 무작위의 검색 (random search)을 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구글 검색의 비즈니스 모델 그 자체가 위협을 받게 된다. 왜냐하면 구글 검색의 비즈니스 모델은 검색 단어들이 검색하는 사용자의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서 검색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색자체가 구글로부터 금액을 받기위한 무작위의 검색이라면 검색 사용자층이나 검색 횟수 그 자체가 늘어나도 사용자의 검색이 사용자의 필요성에 대한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광고주의 수익은 늘어나지 않게 되어 광고주의 광고 유인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음의 가격이 적정가격이라 하더라도 사용될 수 없으며 비음가격제약(non-negative pricing constraint)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의 가격은 내생적으로 영 (zero)이 되며 가격이 더 이상 시장상황에 따라 반응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시장지배적 기업의 소비자 후생에 대한 효과는 다른 측면에서 일어나게된다. 이 연구과제는 비음가격제약이 적용되는지에 따라 경쟁정책의 방향성이 매우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비음가격제약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플랫폼시장에서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 (policy implications)를 찾는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이 연구과제는 영의 가격이 적정가격이 되는 상황을 외생적으로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내생적으로 도출되는 모델을 개발하고, 그러한 기본모형에 기반하여 비음가격제약이 경쟁정책에 가지는 함의를 도출한다. 특히 이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은 경쟁정책 이슈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1) 플랫폼시장에서의 기술혁신 유인의 편향성(2) 경쟁정책과 개인정보 규제와의 연관성(3) 플랫폼 시장에서의 기업합병과 데이터의 중요성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과제는 시장의 양면성 및 비음가격제한, 플랫폼시장의 생태계, 데이터의 중요성등 플랫폼시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이론모형의 수립을 통하여 경쟁정책에 대한 함의점을 도출하고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데 공헌할 것이다.

    이 연구과제의 주된 연구 성과물은 플랫폼시장에서의 경쟁정책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고 그것에 기초한 정책입안을 도우는 것이다. 특히 정책 측면에서 이 과제는 규제 및 반독점 기관들을 위해 비음가격제한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서 많은 서비스가 영의 가격에 제공되는 플랫폼시장에서의 경쟁정책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과제는 최고의 국제 학술지에 여러 논문을 발행함으로써 한국의 국제 연구 평판을 강화 시킬 것이라 기대된다. 연구 접근 방식의 참신함을 고려할 때 대학원생들을 훈련시키거나 여러 연구원들과의 새로운 협력을 통한 많은 수의 파생 프로젝트와 논문을 기대 할 수 있다. 이 연구과제로 개발된 연구의 틀이 플랫폼 경쟁과 규제에 관련한 다양한 주제들의 전통적 분석 재조명에 적합할 가능성이 높다.이 연구과제는 또한 디지털플랫폼시장의 국제성을 고려할 때,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플랫폼 시장의 경쟁정책 및 규제정책과 실행에 새로운 중요한 이해를 가져다 줄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이동통신 및 인터넷 사업에서 퀄컴(Qualcomm)과 구글 (Google)등 다국적기업에 의한 반독점행위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사에 도움이 될수 있는 이론적 틀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시장은 여러부류의 이질적 집단이 서로 교류하고 거래를 하는 장을 마련하는 사업모델의 특성상 다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양한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나의 예로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딜리버리히어로(요기요, 배달통)-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배달앱 간 기업결합 같은 경우에는 소비자, 자영업자(음식점주), 그리고 라이더들(배달 인력)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다. 그동안 경제학적 관점에서 양면시장에 대한 논의가 많이 진행되긴 했지만, 실제 국내 결합 사례에 적용된 적이 없으며, 또한 기존의 이론은 주로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나 기업결합이 소비자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졌다. 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비음가격제한으로 인하여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되는 시장상황에서는 경쟁의 효과가 기술혁신 및 서비스의 질등 다른 면에서 나타나게 되어있음으로, 이를 위한 새로운 분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과제는 공정위와 같은 규제 및 반독점 기관들이 그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플랫폼시장에서의 경쟁을 촉진시키는 정책을 설립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실제 경쟁사건 심사에 유용하게 쓰여질 수 있는 분석의 틀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취득을 위한 기업결합등 데이터에 기반한 경쟁으로 인한 여러 가지 이슈들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국제적 경쟁을 위한 전략적 무역정책 (strategic trade policy)에 대한 시사점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과제는 정책입안을 위한 보고서도 생성할 것으로 기대된다.학계에 대한 기대효과로는 이 연구과제의 중요한 요소로서 차세대 연구자의 육성을 위하여 정기적인 세미나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대학원생들이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새로운 연구동향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 멀티 플랫폼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합 디지털 콘텐츠 시스템 개발

    (1425105640)

    2016

    창업성장기술개발

    황현동

    페이브

    중소기업청

    200000000 (2500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페이브가 목표로 하는 과제는 모바일 콘텐츠에 최적화된 디지털콘텐츠 제작 솔루션 구축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콘텐츠가 플랫폼 별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구축한 확산 기술이 접목된 통합 디지털 콘텐츠 시스템 'FAVE Contents System (이하 FCS)'의 도입이다. 1) 디지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통해 모바일 더 나아가 온라인상에 유통되는 콘텐츠를 만드는 국내 수백 만 명의 일반 콘텐츠 창작자, 기업, 팀들이 더욱 편리하게 양질의 모바일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2) 그렇게 생산된 콘텐츠가 다수의 멀티플랫폼 소셜 빅테이터를 바탕으로 한 추천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최고의 효율로 많은 사람에게 전해질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국내 디지털 콘텐츠 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함이다.FCS (Fave Contents System: 통합 디지털 콘텐츠 시스템)는 디지털 콘텐츠 제작에 핵심적으로 필요한,1) 이미지, 영상 등 콘텐츠 소스를 클라우드 기반의 콘텐츠 웨어하우스(Content Warehouse) 에 구축하여 콘텐츠 창작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맞는 최적의 이미지 또는 영상 소스들을 추천하여 원천적으로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문제를 해결한 콘텐츠 제작기반을 마련해준다.2) 그 기반을 통해 현재의 스마트 디바이스 혹은 모바일 플랫폼 더 나아가 모든 디지털 플랫폼에 적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솔루션을 제공한다.3) FCS의 이미지 매칭 기술과 콘텐츠 제작 솔루션을 통해 제작된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슬라이드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멀티포맷을 지원하는 자체 모바일 콘텐츠 웹 플랫폼에서 구현되고,4) 이후 해당 콘텐츠가 최적의 타겟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플랫폼별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 후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의 소셜 트랜드 혹은 플랫폼별 성향을 판단하여 현재 시점에서 최상의 효율로 콘텐츠를 최적의 플랫폼으로 도달시킴에 있다.즉, 모바일 트랜드에 맞는 최적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 솔루션을 제공하고 개별 플랫폼의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맞게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함이 본 과제의 핵심 목표이다.본 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① 스마트기기 콘텐츠 소비자에게 보다 혁신적인 콘텐츠 시장을 제공하고, ② 콘텐츠 제작 솔루션을 통해 다수의 콘텐츠 창작자가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③ 더 나아가 대형 플랫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기 위해 소수 혹은 개인 콘텐츠 제작자가 효율적이고 올바른 정보를 수집하여 스스로의 콘텐츠 질을 향상시킴으로 거시적으로 모바일 콘텐츠 시장 자체를 더욱 긍정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게 한다.

    통합 콘텐츠 시스템 (FAVE Contents System)1) 콘텐츠 제작 솔루션 구축 a) 콘텐츠 제작자가 만들고자 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솔루션 b) 콘텐츠 제작자별 계정 분류 및 콘텐츠 제작 툴 개발 c) 콘텐츠 종류별 지원 포맷 개발 (카드형, 텍스트형, 외부동영상 구동지원) d) 제작 콘텐츠별 분류 및 관리, 승인 개발2) FAVE LAND (콘텐츠가 게시되는 모바일 웹 서비스) a) 콘텐츠 제작 솔루션에서 CP가 제작한 콘텐츠를 디지털 상에 보여줄 수 있는 모바일 웹서비스 b) 해당 콘텐츠의 유저 반응을 볼 수 있는 댓글, 좋아요, 공유 기능 추가 c) 서비스 가입 유저별 회원가입 기능 분류 d) 콘텐츠 제작자별 에디터 운영 페이지 구현3) 콘텐츠 소스 웨어하우스 a) 자체적으로 누적되는 콘텐츠 제작 소스의 구축 b) 콘텐츠 소스별 카테고리 혹은 주요 키워드별 분류 기능 추가 c) 콘텐츠 제작 시 관 련있는 소스의 추천 기능세부 개발내용1) 멀티플랫폼 소셜 트랜딩 시스템 개발 다양한 플랫폼별 다수의 콘텐츠 빅데이터 수집 후 분석한 소셜 트랜드를 제작된 콘텐츠에 적용 ① FAVE LAND(자체 콘텐츠 웹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게시 및 확산이 가능한 서비스 ② 플랫폼별 콘텐츠의 트랜드를 보여주는 기능 제공 ③ 각 플랫폼에 유통되는 FAVE의 자체 콘텐츠로 플랫폼 소셜 반응을 데이터화 시키는 기술 구현. - 개별 콘텐츠 플랫폼 별 포스팅(콘텐츠) 데이터 수집 ·개별 플랫폼별 방대한 콘텐츠들의 빅데이터를 모집하여, FCS만의 Topic modeling을 해 플랫폼별 콘텐츠의 텍스트를 분석한 후 군집화 된 콘텐츠 그룹의 고유 특성을 부여하면 현재 많은 콘텐츠 창작자가 인지하지 못한 포스팅 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 ·또한 분류된 콘텐츠의 특성에 따른 소셜 반응도에 Ranking을 주어 현재의 핫키워드, 타임라인 에 따른 실시간 키워드 등으로 대략적인 콘텐츠의 반응 지수를 설정하면 콘텐츠에 대한 유저 반응을 나눌 수 있음. 그 후 제작된 콘텐츠의 반응들을 정형화 하면, 콘텐츠 제작자에게 필요한 플랫폼의 콘텐츠 트렌드를 제시 가능.2) 플랫폼 콘텐츠 제공자 데이터 ·위 1)번(개별 플랫폼 별 포스팅 데이터 수집)은 오픈된 콘텐츠 자체의 텍스트 및 댓글, 좋아요 등의 반응도를 분석하였다면, 플랫폼 내 활성화 계정에만 비공개로 제공되고 있는(도달, 공유, 조회수, 비공개 Outlink 반응도) FAVE의 실제 포스팅된 콘텐츠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1)번의 방대한 콘텐츠 빅데이터와 실제 자체 인사이트를 결합하면 더욱 질적으로 인사이트가 높은 데이터 분석이 가능함. 즉 현재 존재하지 않는 다른 형태의 콘텐츠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음. ·① 콘텐츠 창작자에게는 더 높은 포스팅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② 각 플랫폼 사용자에게 올바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면 ③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공급과 수요의 양방향에서 더욱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3) 멀티플랫폼 적용 가능한 콘텐츠 제작 솔루션 a) 디지털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오픈형 제작 솔루션 개발 b) 제작된 콘텐츠의 멀티포맷으로의 전환 기능 개발 관련 개발기능4) 콘텐츠 소스 데이터웨어하우스 a) 무수한 이미지와 영상형태의 소스를 모아서 구축한 이미지 웨어하우스 구축 b) 제작 콘텐츠의 포맷 별 소스를(image, GIF, video) 추천해주는 기술

    본 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① 스마트기기 콘텐츠 소비자에게 보다 혁신적인 콘텐츠 시장을 제공하고, ② 콘텐츠 제작 솔루션을 통해 다수의 콘텐츠 창작자가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③ 더 나아가 대형 플랫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기 위해 소수 혹은 개인 콘텐츠 제작자가 효율적이고 올바른 정보를 수집하여 스스로의 콘텐츠 질을 향상시킴으로 거시적으로 모바일 콘텐츠 시장 자체를 더욱 긍정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게 한다. 1)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양적 향상뿐만 아니라 질적 향상을 도모 - 모바일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스마트 폰을 비롯한 스마트기기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였음. - 모바일 트래픽은 향후 5년간 세계인구 증가보다 2배 이상 빠를 것으로 전망되고 비디오를 포함한 콘텐츠를 위한 주요 소비기기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시스코 VNI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 - 모바일 트래픽 증가에 발맞춰 모바일(디지털)콘텐츠의 양이 급증하였고, 그만큼 더 많은 사람에게 스스로의 콘텐츠를 전달하려는 콘텐츠 창작자와 이에 관련된 뉴미디어 플랫폼이 증가하였음. - 모바일 트랙픽과 콘텐츠 시장의 성장 속에 콘텐츠의 양은 증가하였지만,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수 많은 창작자는 디지털 트렌드와 제작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실제 유통되는 신규 디지털 콘텐츠들이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동반하지 못함. - 따라서 다수의 콘텐츠 창작자에게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콘텐츠 제작 솔루션을 제공하여 질적 성장의 발판을 마련해 주어야 함. 이는 미래 주요산업 중 하나인 모바일 콘텐츠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모바일 콘텐츠 생태계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함. 2) 국내 대형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이 지닌 한계성을 보완하고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더 큰 가치를 추구 - 네이버포스트, 카카오 1boon, 페이스북, 빙글, 피키캐스트, 카카오스토리 등 국내에도 모바일 콘텐츠의 유통이 급증하면서 1,0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대형 플랫폼들이 두각을 보이고 있음. - 창작자가 직접 콘텐츠를 올릴 수 있는 오픈형 플랫폼은 빠른 추세로 증가하지만 실제로 창작자 에게 필요한 유용한 소셜정보들이 공개적으로 제공되지 않고(플랫폼 내부 자료용이 대부분), 창작자들은 콘텐즈 제작 및 활용 방향성에 한계를 느낌. a) 플랫폼 이용자에 대한 기본 특성정보 b) 플랫폼 콘텐츠 소비자의 소비 패턴정보 c) 전체 콘텐츠의 최신 핵심 트렌드 지표 - 국내 다수의 디지털 콘텐츠 창작자는 플랫폼에서 콘텐츠가 어떠한 반응을 일으킬지 미리 예측하기 어려워 경험과 감에 의존하게 되고 명확한 판단의 기준이 없음. 또한 증가하는 플랫폼 수에 비해 개별 플랫폼들은 유저 특성과 그에 따른 반응도가 상이함. - 따라서 FCS에서 제공하는 멀티 플랫폼 별 정보를 통해 창작자의 콘텐츠가 올바른 유저와 적합한 플랫폼으로 콘텐츠를 유통할 수 있게 안내하여 콘텐츠 소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생명력을 연장하고자 함.

  • 자동차 부품 사출 산업디지털 혁신을 위한 AI 기반 사출 공정 DX 플랫폼 개발

    (1415189134)

    2023

    DX한걸음프로젝트

    이종수

    (주)에스에이치아이엔티

    산업통상자원부

    375000000 (469000000)

    ● 자동차 부품 사출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AI 기반 사출 공정 DX 플랫폼 개발 - 노동 집약적이고, 경험에 의존하는 자동차 부품 사출 산업의 디지털 전환(DX한걸음)을 위한 기술 개발

    1단계 1연차 : 사출기 데이터 수집 및 정형화, AI기반 분석 알고리즘 모델 개발 ● IP사출설비 대상 사출 공정 데이터 수집(설비(PLC), 기록지,사운드) 데이터 수집 ● 전처리 및 데이터셋 생성 ● AI기반 분석 알고리즘 모델 개발1단계 2연차 : 사출 공정/품질 이상상황 분석을 위한 AI 기반 지능형 사출공정 DX 플랫폼 개발 ● AI 학습 및 파라미터 최적화 ● 이상 알람 모니터링 기술 개발 ● 사출공정 DX 플랫폼 개발 및 검증 ● 적용확산- 도어트림 사출설비, 사출조립

    ● 연구개발 성과 - 단기간의 교육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보급 - 동종업계 사출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AI 기반 DX 플랫폼 개발·보급 - 사출공정 뿐 아니라 타 자동차부품 제조업체까지 확산 가능한 플랫폼 확보 기반 마련 - 단일 설비에 대한 데이터 분석 서비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벤더들에 의해 공급되는 생산설비-공정-서비스를 연계한 통합 생산관리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 자동차 산업의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 제고를 위해 맞춤형 AI 빅데이터 연구 환경 및 분석 기술 개발·보급 - AI 모델 및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등 ICT 기술의 연계를 통한 신규 비즈니스 창출 기반 마련 - 제조기업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기대효과 - 생산성향상 2.8% - 신규채용 : 4명 - 특허 1건 - 논문 1건 - GS인증 1건 - DX 확산 수준 달성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 기본폴더

  • 스크랩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