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항목 항목설명
과제명신청 및 협약 과제를 기준으로 국문 세부과제명의 정식명칭(국문과제명과 영문과제명 구분)
연구책임자명연구책임자명
과제관리기관명해당 사업의 과제 및 성과정보를 등록·관리하는 기관의 정식 명칭
과제수행기관연구개발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 명칭
과제수행기관
사업자등록번호
과제수행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
※ 공백없이 '-'를 포함(예: 123-45-67890)
※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는 외국기업의 경우 전문기관에서 관리하는 기관 ID값을 입력
부처명연구개발사업의 기획, 평가 및 관리에 관한 제반사항을 주관하는 중앙행정기관의 명칭 예)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명세부사업명
(기관)세부과제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세부과제번호
과제고유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과제번호
한글키워드한글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영문키워드영문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연구목표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목표에 대한 요약
연구내용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내용에 대한 요약
기대효과과제 수행 시 기대효과요약
※ 연구개발 결과의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등에 대한 요약
※ 관련 산업의 공정 과정 개선, 사업화 및 파급효과, 응용분야에서 거두게 될 경제적 가치 등을 기술
  • 검색건수

    • 43건

과제

검색옵션

건수 :

도움말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기준연도 / 예산사업명 / 연구책임자 / 과제수행기관 / 부처명 / 정부투자연구비(총연구비) 연구개발성과 연구내용 계속과제 묶어보기란? 보안과제(국방 비밀과제 포함)는 검색목록에서 제외됩니다.

동일한 과제가 연도별로 중복되어 나와서 불편하시나요?
해당 기능을 클릭해보세요!

건수 :

  • 실시간 Streaming data를 반영하여 지속 발전하는 딜러닝 기반 interest 추천 알고리즘 개발

    (1425120562)

    2018

    창업성장기술개발(R&D)

    공대선

    페달링 주식회사

    중소벤처기업부

    150000000 (1875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4.1-1] Interest 기반 Class subject type classificationClass101에서 만들고자 하는 기술은 Class subject type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저희는 모든 클래스를 기존 Category에서 제외하여 새롭게 재구성할 예정이다. 클래스/취미/Skill을 사용자들의 Interest를 기반하여 새롭게 Classification되고 재정의 될 예정이다.*관련 논문 1 : Herlocker, J, Konstan, J., Terveen, L., and Riedl, J. Evaluating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er Systems.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Systems 22 (2004), ACM Press, 5-53. *관련 논문 2 : Resnick, P. Varian, H.R., Recommender Systems, Communications of the ACM 40 (1997), 56-58. [4.1-2] Interest 기반 데이터 수집을 통한 User type 분석 및 재정의그 다음에 진행되는 방식은 Class101 User type을 새롭게 재정의 하게 될 예정입니다. Netflix recommendation algorithm에서 보여준 것처럼, User type을 새롭게 Classification을 하여 새로운 User들 간의 Relation을 만들 예정이다.*관련 논문 1 : Frankowski, D., Crosley, D, Sen, S., Terveen, L., Riedl, J. You Are What You Say, Proceedings of SIGIR, 2006. *관련 논문 2 : Salakhutdinov, R., Mnih, A. Hinton, G, Restricted Boltzman Machines for Collaborative Filtering, To appear in Proceedings of the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2007. *관련 논문 3 : J.B. Schafer, J.A. Konstan, and J. Reidl, E-Commerce Rec- ommendation Applications,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Kluwer Academic, 2001, pp. 115-153. [4.1-3] 실시간 Streaming data 딥러닝 추천알고리즘을 통한 데이터분석 및 예측 분석 기본 설계 구축Feed forward network Neural network 활용을 통한 딥러닝 기초 설계 및 Decision tree를 활용한 Classification 검증 기술 설계할 예정이다.*관련 논문 1 : P. Resnick et al., GroupLens: An Open Architecture for Collaborative Filtering of Netnews, Proc. ACM 1994 Conf.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ACM Press, 1994, pp. 175-186. *관련 논문 2 : J. Breese, D. Heckerman, and C. Kadie, Empirical Analy- sis of Predictive Algorithms for Collaborative Filtering, Proc. 14th Conf. Uncertainty in Artificial Intelligence, Mor- gan Kaufmann, 1998, pp. 43-52. *관련 논문 3 : B.M. Sarwarm et al., Analysis of Recommendation Algo- rithms for E-Commerce, ACM Conf. Electronic Commerce, ACM Press, 2000, pp.158-167. *관련 논문 4 : K. Goldberg et al., Eigentaste: A Constant Time Collabo- rative Filtering Algorithm, Information Retrieval J., vol. 4, no. 2, July 2001, pp. 133-151. [4.1-4] 파이프라인 구현데이터 플로우를 이용한 개인 식별 불가 처리를 통해 GDPR에 맞춘 개인정보보호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및 알고리즘 데이터 플로우 시스템 구축Netflix, Amazon, Google Deepmind 머신러닝/딥러닝 파이프라인을 참고하여 만든 Class101 데이터 파이프라인이다. Class101에서 구축하고자하는 딥러닝 추천 알고리즘은 총 3단계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지속적으로 웹 플랫폼 / 앱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실시간 Streaming data를 반영하여 계속 추천 정확도가 올라가게 된다. DB는 몽고DB를 활용하여 안정성을 높였으며, Back-end 부분에서는 AWS 아시아 홍콩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하여 Model이 지속적으로 Training 된다. Class101은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서 pedaling.gears 알고리즘과 pedaling.hub 알고리즘을 개발할 예정이다. 두 알고리즘을 통해서 Class101 유저들은 실시간 사용 데이터를 만들어내게 되고, 그렇게 만들어진 데이터와 User type, Class subject type 들 사이에서 relation을 통해 두 알고리즘은 지속적으로 정확도가 올라게 된다.*관련 논문 1 : .M. Balabanovic and Y. Shoham, Content-Based Collabora- tive Recommendation, Comm. ACM, Mar. 1997, pp. 66-72.*관련 논문 2 : .G.D. Linden, J.A. Jacobi, and E.A. Benson, Collaborative Recommendations Using Item-to-Item Similarity Mappings, US Patent 6,266,649 (to Amazon.com), Patent and Trade- mark Office, Washington, D.C., 2001.

    ♣ 현재 Class101이 가지고 있는 한계 및 딥러닝 추천 알고리즘 기술 개발을 통한 극복 필요 ♣ - 이미 Class101은 한국 사회에 새로운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제안함.- 현재 한달에 200~300% 이상 유저가 늘어나고 그에 따라 수많은 클래스들이 개설되고 있음.- 하지만 Class101 자체 분석에 따르면 자신이 구매/수강 하고 싶은 클래스를 45초 이내에 찾지 못하면 Bounce(떠나가게)됨.- 플랫폼 초반에는 클래스가 많지 않아 45초 이내에 원하는 모든 클래스를 볼 수 있었지만, 현재는 5분이상의 시간이 걸림.- 그래서 Bounce rate이 점점 높아지고 있고, 그래서 Class101에서 이번에 개발할 딥러닝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45초 이내에 자신에게 맞는 클래스를 발견하고 구매할 수 있게 해줄 예정.- Class101은 단순한 플랫폼을 넘어 자신에게 맞는 클래스를 발견하고 듣고 배우는 추천 알고리즘을 핵심 기술로 개발할 예정- 이러한 45초 Rule에 다른 핵심 기술은 미국의 Masterclass, Skillshare.com, Udemy, 그리고 중국의 텐센트, 알리바바, 진르터우탸오 등이 한국에 진출하기 전에 한국만의 플랫폼 파워를 구축 하는 것은 물론, 한국에서 성공한 플랫폼을 가지고 아시아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보여짐.- 이와 같이 세계로 뻗어나갈 Class101의 핵심 추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 이번 과제의 목표

    한국사회에서 1인가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고 점점 오랫동안 혼자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 - 연합뉴스에 따르면, 2006년 14.4%의 1인 가구 비율이 2016년 27.2%까지 2배 가까이 늘어나고 있다.- 그 결과 2020년 1인 가구 숫자는 580만 세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혼자서 10년 이상 사는 세대의 비율이 26.3%나 차지하고 있다. 한국사회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Work-Life 밸런스가 중요해진다. 그래서 현대인들의 여가시간이 늘어나고 있음. - 1인당 명목 국민총소득은 2016년 약 3만불(통계청)- 2030 세대의 44%가 스스로 YOLO족이라고 생각하고 있다.(잡코리아/알바몬 공동조사, YOLO족은 You Only Live Once로써 현재의 행복을 중시하는 신세대 신조어 )- YOLO족의 주 소비품목의 2번째가 취미생활(악기연주, 공방 등, 42.1%가 선호)이다. (첫번째는 해외여행)- 2017년도 인스타그램에서 #취미 해시태그 게시글 숫자가 2016년에 비해서 95%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트렌드 모니터의 2017년 6월 조사에 따르면 나만의 시간에 진정한 취미생활을 즐기고 싶어하는 현대인들이 늘어나면서 원데이 클래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2040의 35.5%가 최근 1년간 취미활동비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이러한 사회적인 추세에 많은 업체들이 투자 유치 성공 - 미국 온라인 취미 클래스* Skillshare.com : 누적 200억 이상 투자 유치* Cratsy.com : 누적 1200억 이상 투자 유치 , NBCuniversal에 인수- 한국 오프라인 취미 클래스 중개 업체* TLX : 오프라인 취미/운동 학원 중개 누적 50억원 이상* 프립 : 오프라인 취미/운동 학원, 당일여행 중개 누적 20억원 이상* 마일로 : 오프라인 취미/운동 학원 중개 누적 20억원 이상* 기타 10억 미만으로 투자 받은 곳들은 탈잉, 펀라이프, WENZI 등등 현재 한국 시장 형태의 문제이자 Class101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한국 시장의 문제는 아직 오프라인 클래스만 있고, 온라인 클래스가 없음. 실제로 투자받은 업체들을 보면 모두 오프라인 클래스 중개 업체들임- 하지만 통계청 2014년 자료에 의하면 15-19세의 73.3%, 20대의 71.1%가 혼자서 여가를 즐기고 싶어함. 30~60대에서 40-50%정도만 혼자 여가를 즐기고 싶어하는 비율보다 훨씬 높은 수치임- 그래서 Class101에서는 이렇게 취미를 배우고 싶지만, 혼자서 편하고 쉽게 배우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집에서 편하게 배울 수 있는 Class101 온라인 클래스를 만듦

  • 「관능검사해설서」현대화 연구(1)

    (1475012073)

    2020

    의약품등안전관리(R&D)

    이영종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의약품안전처

    55000000 (55000000)

    1) 1차연도(2020)● 「관능검사해설서」 1차 개정(안), 관능검사 부적합 사례집(안), 자주 하는 관능검사 Q&A집(안) 마련 2) 2차연도(2021)● 「관능검사해설서」 최종 개정판, 관능검사 부적합 사례집, 자주 하는 관능검사 Q&A집 마련

    1) '기원·성상 자문단' 운영하여 「관능검사해설서」 개정 전반에 걸친 자문 실시 가) 기원·성상 자문단 구성: 본초학, 한약학, 생약학, 한약자원학, 약용작물학, 식물분류학 등 관련분야 전문가 및 한약재 관능검사위원과 관련업계 오피니언 리더 위주로 자문단 구성 나) 현행 해설서에서 수정·보완할 내용, 추가할 품목, 학술적 검토, 구성·편집상 개선할 점 등 전반적 자문 실시 2) 해설서 개정을 위한 문헌자료 등 조사·검토 가) 각국 공정서 기준규격 비교 검토: 한약재 주요 사용국인 한국·중국·대만·홍콩·북한·일본의 공정서 성상 규정 비교, 관능시험 지침 개정(안) 근거자료로 활용 나) 국내외 한약(생약) 관련 도감 및 자료 비교를 통해 편집·구성 측면에서 채택할 수 있는 요소 검토 다) 본초학, 한약학, 생약학, 한약자원학, 약용작물학, 식물분류학계의 관련 연구결과 검토: 해설서 개정안에 반영할 수 있는 학술적 근거 확충 3) 「대한민국약전」 등 공정서, 해설서 개정 필요한 품목 발굴 및 우선순위 선정 가) 2012년 해설서 발간 이후 미반영된 공정서 개정내용(성상, 이명 등) 전면 검토 및 수정 나) 시험검사기관 등 「관능검사해설서」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 실시, 국민신문고 등 민원, 교차검증 자료, 기원·성상 자문단 의견 등 반영 4) 해설서 개정을 위한 자료확보, 1차 개정(안) 및 최종 개정(안) 마련 가) 공정서 기원 개정 품목, 기준규격 검토 필요 품목 등 해당 약재의 정확한 표본 및 위품 확보 나) 진품 및 위품에 대한 사진 촬영, 실측 등 다) 「관능검사해설서」 1차 개정(안) 마련 라) 「관능검사해설서」 최종 개정(안) 마련 마) 「관능검사해설서」 최종 개정(안)에 대한 전문가 자문실시 및 보완 바) 「관능검사해설서」 개정판 발간용 전자조판 파일 납품 5) 검사기관, 관련 업계 등 품질관리 지원을 위한 자료집 마련 가) 관능검사 주요 부적합 사례집 작성 나) 자주 하는 관능검사 Q&A집 작성 6) 「이물 등의 혼입 시 판정 가이드라인」 개정(안) 마련 가) 해설서 이용자 설문조사에 「이물 등의 혼입 시 판정 가이드라인」 관련 의견조회 함께 실시 나) 의약품 안전관리 측면에서 미비한 점 또는 업계 현실에 적용하기 곤란한 점 등 개정 다) 해설서 개정안과 함께 기원·성상 자문단 및 주관부서 의견 반영 라) 해설서 개정안에 부록으로 첨부 7) 모든 자료는 전자책(e-book/웹북) 발간을 고려한 형태로 제작 가) 해설서 이용자 설문조사에서 전자책 방식 선호도 함께 조사 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전자책 포맷 중에서 이용자 선호도가 가장 높으며 추가 비용(유료 소프트웨어 솔루션 도입, 전용 단말기 구입, 서버 구축 등)이 소요되지 않는 포맷 채택 다) 전자책 제작 방식 선정 라) 전자책 초안 제작 후 사용성 점검: 여러 열람 환경(기기, OS, 화면 크기, 브라우저 등)에서 가독성 및 오류 여부 확인 마) 전자책 최종안 제출: 오류 교정 후 최종 파일 납품

    가. 활용방안 1) 「관능검사해설서」 개정판 활용 가) 정품 한약재를 근거로 한약재 관능검사의 필수 판정지침 마련, 홍보 나) 관능검사의 구체적, 객관적 지침을 한약재 수입검사 및 유통품 검사에 적용 다) 한약(생약) 관능검사의 객관성·신뢰성 제고 라) 시험검사기관 및 관련 업계 등의 한약(생약) 오·혼용 방지 2) 의약품 안전성 향상 가) 의약품 규격의 뚜렷한 성상의 판별 기준을 확립함으로서 유통되는 저질의 식품용 한약재와 구별을 가능하게 하여 유통질서 정립 나) 유통 한약재와 식품의 혼용·혼재를 방지하는 관리체계 확립 기대 3) 한약(생약) 산업 신뢰도 제고 가) 국산 한약재와 수입 한약재의 성상을 비교 검토하여 그 차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자료화하여 향후 성상에 의한 수입 및 국산 한약재 구별의 근거로 활용 나) 한약재 관능검사 전문가 양성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한약재 관능이 철저히 실시되어 유통 한약재의 품질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2. 기대성과 가) 정책활용◆ 수입한약재 및 국내생산 한약재의 관능검사 지침 제정◆ 약전 등 공정서 규정 개정 자료 활용 ◆ 관능검사 진위판별의 기본적인 가이드라인 제정◆ 관련기관에 자료 및 정보 제공, 교육을 통한 적절한 관능시험실시 유도◆ 감별전문가의 보수교육 및 추가자료 확보 나) 언론홍보 및 대국민교육◆ 한약재 수입 및 유통 관련 공공기관 근무자 및 관련 직종 종사자에게 올바른 한약재 교육에 사용

  • 「관능검사해설서」현대화 연구(2)

    (1475012099)

    2020

    의약품등안전관리(R&D)

    최고야

    한국한의학연구원

    식품의약품안전처

    35000000 (35000000)

    1) 1차연도(2020)● 「관능검사해설서」 1차 개정(안), 관능검사 부적합 사례집(안), 자주 하는 관능검사 Q&A집(안) 마련 2) 2차연도(2021)● 「관능검사해설서」 최종 개정판, 관능검사 부적합 사례집, 자주 하는 관능검사 Q&A집 마련

    1) '기원·성상 자문단' 운영하여 「관능검사해설서」 개정 전반에 걸친 자문 실시 가) 기원·성상 자문단 구성: 본초학, 한약학, 생약학, 한약자원학, 약용작물학, 식물분류학 등 관련분야 전문가 및 한약재 관능검사위원과 관련업계 오피니언 리더 위주로 자문단 구성 나) 현행 해설서에서 수정·보완할 내용, 추가할 품목, 학술적 검토, 구성·편집상 개선할 점 등 전반적 자문 실시 2) 해설서 개정을 위한 문헌자료 등 조사·검토 가) 각국 공정서 기준규격 비교 검토: 한약재 주요 사용국인 한국·중국·대만·홍콩·북한·일본의 공정서 성상 규정 비교, 관능시험 지침 개정(안) 근거자료로 활용 나) 국내외 한약(생약) 관련 도감 및 자료 비교를 통해 편집·구성 측면에서 채택할 수 있는 요소 검토 다) 본초학, 한약학, 생약학, 한약자원학, 약용작물학, 식물분류학계의 관련 연구결과 검토: 해설서 개정안에 반영할 수 있는 학술적 근거 확충 3) 「대한민국약전」 등 공정서, 해설서 개정 필요한 품목 발굴 및 우선순위 선정 가) 2012년 해설서 발간 이후 미반영된 공정서 개정내용(성상, 이명 등) 전면 검토 및 수정 나) 시험검사기관 등 「관능검사해설서」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 실시, 국민신문고 등 민원, 교차검증 자료, 기원·성상 자문단 의견 등 반영 4) 해설서 개정을 위한 자료확보, 1차 개정(안) 및 최종 개정(안) 마련 가) 공정서 기원 개정 품목, 기준규격 검토 필요 품목 등 해당 약재의 정확한 표본 및 위품 확보 나) 진품 및 위품에 대한 사진 촬영, 실측 등 다) 「관능검사해설서」 1차 개정(안) 마련 라) 「관능검사해설서」 최종 개정(안) 마련 마) 「관능검사해설서」 최종 개정(안)에 대한 전문가 자문실시 및 보완 바) 「관능검사해설서」 개정판 발간용 전자조판 파일 납품 5) 검사기관, 관련 업계 등 품질관리 지원을 위한 자료집 마련 가) 관능검사 주요 부적합 사례집 작성 나) 자주 하는 관능검사 Q&A집 작성 6) 「이물 등의 혼입 시 판정 가이드라인」 개정(안) 마련 가) 해설서 이용자 설문조사에 「이물 등의 혼입 시 판정 가이드라인」 관련 의견조회 함께 실시 나) 의약품 안전관리 측면에서 미비한 점 또는 업계 현실에 적용하기 곤란한 점 등 개정 다) 해설서 개정안과 함께 기원·성상 자문단 및 주관부서 의견 반영 라) 해설서 개정안에 부록으로 첨부 7) 모든 자료는 전자책(e-book/웹북) 발간을 고려한 형태로 제작 가) 해설서 이용자 설문조사에서 전자책 방식 선호도 함께 조사 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전자책 포맷 중에서 이용자 선호도가 가장 높으며 추가 비용(유료 소프트웨어 솔루션 도입, 전용 단말기 구입, 서버 구축 등)이 소요되지 않는 포맷 채택 다) 전자책 제작 방식 선정 라) 전자책 초안 제작 후 사용성 점검: 여러 열람 환경(기기, OS, 화면 크기, 브라우저 등)에서 가독성 및 오류 여부 확인 마) 전자책 최종안 제출: 오류 교정 후 최종 파일 납품

    가. 활용방안 1) 「관능검사해설서」 개정판 활용 가) 정품 한약재를 근거로 한약재 관능검사의 필수 판정지침 마련, 홍보 나) 관능검사의 구체적, 객관적 지침을 한약재 수입검사 및 유통품 검사에 적용 다) 한약(생약) 관능검사의 객관성·신뢰성 제고 라) 시험검사기관 및 관련 업계 등의 한약(생약) 오·혼용 방지 2) 의약품 안전성 향상 가) 의약품 규격의 뚜렷한 성상의 판별 기준을 확립함으로서 유통되는 저질의 식품용 한약재와 구별을 가능하게 하여 유통질서 정립 나) 유통 한약재와 식품의 혼용·혼재를 방지하는 관리체계 확립 기대 3) 한약(생약) 산업 신뢰도 제고 가) 국산 한약재와 수입 한약재의 성상을 비교 검토하여 그 차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자료화하여 향후 성상에 의한 수입 및 국산 한약재 구별의 근거로 활용 나) 한약재 관능검사 전문가 양성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한약재 관능이 철저히 실시되어 유통 한약재의 품질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2. 기대성과 가) 정책활용◆ 수입한약재 및 국내생산 한약재의 관능검사 지침 제정◆ 약전 등 공정서 규정 개정 자료 활용 ◆ 관능검사 진위판별의 기본적인 가이드라인 제정◆ 관련기관에 자료 및 정보 제공, 교육을 통한 적절한 관능시험실시 유도◆ 감별전문가의 보수교육 및 추가자료 확보 나) 언론홍보 및 대국민교육◆ 한약재 수입 및 유통 관련 공공기관 근무자 및 관련 직종 종사자에게 올바른 한약재 교육에 사용

  • 3G망-GPS 기반의 프레임 일체형 자전거 도난 방지 및 추적 시스템

    (1425095333)

    2015

    산학연협력기술개발

    박장식

    경성대학교산학협력단

    중소기업청

    38228000 (75243000)

    본 사업에서는 자전거 프레임 내부에 위치 추적기를 장착하여 도난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프레임 일체형 도난 방비 및 추적을 기술 개발 및 장치를 개발하고, 위치 추적용 스마트폰/PC용 앱과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3G망과 GPS를 이용한 프레임 일체형 위치 추적 모듈 개발[그림 20 참고] - 3G망과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 생성 기능 구현(수 미터 이내) - 가속도센서, 자이로 센서 활용한 위치 인식 기능 보완 - 저전력 배터리 충방전 제어 기술 개발 및 구현 - 배터리 수명 연장을 위한 위치정보 가변 주기 업데이트, 온도별 모듈 관리 -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지하도, 터널 등에서 위치 추정 기술 개발 자전거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개발[그림 21과 22 참고] - 도난 자전기의 위치 안내 기능 - 실시간 위치를 확인을 위한 스마트 기기용 앱(App) 제작(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기기용) 기술개발 및 제품의 특징과 차별 요소 - 자전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Before Market에 적용되는 제품으로 사용자가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자전거 프레임에 내장된 기기이므로, 탈착 및 제거가 쉽지 않아 효과적으로 도난 방지 및 추적이 가능하고, 고가 자전거의 미관을 해치지 않음

    3G망과 GPS를 이용한 프레임 일체형 위치 추적 모듈 - 기존 GPS 위치 추적기의 최소 주기는 1분 단위이며, 통신사에 추가 요금을 납부하여야 하며, 3분 주기로 한번씩 3회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등 1분 단위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없음 - 본 사업은 자전거 이동 후 상황에 따른 업데이트 시간 변경으로 약 10 ~ 20초 주기로 GPS 신호 송신으로 신속한 위치 추적 기능을 구현하고자 함 - GPS 모듈: 위치 정보, 초기 구동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30초 이상 ~ 수 분)에도 불구하고 위치 정확도가 높고 이용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기본적인 위치 추적 모듈로 개발함 - 3G 모듈: 초기 위치 추정 가능하여 GPS의 단점을 보완하고 구글 위치 추적 (GGT:Google GPS Tracking)서버와 연결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함. 자전거 내 3G모듈은 GGT로 위치 정보 업데이트하고, 스마트 폰은 GGT에 접속하여 자전거의 위치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 - USIM 인터페이스 장치: 국내의 경우는 통신사와 협약하여 USIM 장치(USIN device)를 약정으로 서비스 비용 처리를 해야 하지만, 유럽, 미국, 일본, 홍콩 등 대부분의 경우 USIM 자체로 서비스 비용 처리 가능함 자전거 위치와 상태 모니터링 보완 모듈 개발 -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지하도 등으로 이동할 때 이동경로를 추정하는 기능을 구현함 자전거 위치와 상태 모니터링 보완 모듈 개발 -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25와 같이 센서의 상태에 따라서, 주차 상태, 특이상황 발생 상태(진동 상태) 그리고 이동 상태로 나누어서 사용자가 자전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주차 상태 즉, 일반적인 자전거를 주차하였을 때 10분 주기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그림 25와 같이 주차 상태에서는 가속도센서의 출력값이 안정된 값을 가지고 이를 이 신호를 근거로 주차 상태임을 확인한다. - 특이상황 발생 상태, 즉 자전거를 무단으로 훼손하거나 도난 시도할 때는 신호를 분석하여 도난 상황 발생 경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특이상황 발생 상태에 대한 인지는 그림 25와 같이 센서의 신호가 진동하는 신호를 나타내는 것을 근거로 한다. - 이동 상태, 즉 자전거가 이동할 때는 그림 25와 같이 특정한 방향으로 가속도 센서의 신호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근거로 한다. 자전거를 도난당해 이동 중인 것으로 간주하고 10 ~ 20 초 간격으로 위치와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내장 배터리 및 충전 기능 - 프레임 일체형 도난 방지 및 추적 모듈을 위한 배터리는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고, 마이크로칩사의 MCP73831/2를 활용하여 배터리 충방전 제어회로를 설계하고 구현함(2700 mAh, 4.25V) - 도난 방지 및 추적 모듈의 슬림 모드를 적용하고 온도센서를 활용하여 동작 시간 연장함 -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를 제공하고 방수 및 단선 처리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함 자전거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앱 개발 - 자전거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GPS 및 3G망,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자전거의 위치와 사용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 - 위치확인 기능(주기적인 현재 위치 수신) 프레임 일체형 도난 방지 및 추적 모듈이 일정한 주기마다 현재 위치 정보를 M2M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사용자용 앱 또는 PC 응용 프로그램으로 자전거의 위치를 확인함 전송 데이터 : 자전거 위치 정보, 자전거의 상태, 배터리 상태 - 알람 기능(도난 상황 발생하였을 때, 대응하기 위한 기능)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PC로 Parking 모드 설정 자전거를 부자연스럽게 많은 움직일 경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여 자전거 도난 상황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생함 도난 상황 발생하였을 때 경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보냄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 또는 PC응용 프로그램으로 자전거의 위치 확인 및 향후 조치 가능 전송 데이터 : Emergency alarm, GPS, 배터리 량 - 도난 후 위치 추적 기능 도난 상황 발생 이후, GPS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사용자가 위치 파악을 할 수 있도록 함 도난 상황 발생 이후, 자전거를 지하로 이동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위치를 추정함 전송 데이터 : GPS, 배터리 량 - 운동량 등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 확인, 일반적인 헬스케어 관련 정보 제공함

    - 기존의 GPS 만을 활용한 추적하는 방법은 추적 대상이 지하 또는 건물 내부로 이동하게 되면 위치를 추정하고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사업을 통하여 개발하는 제품은 3G망과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채용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진보된 기술을 적용하고자 함(관련 특허 출원 2 건 진행 중임)- 프레임 일체형 도난 방지 및 추적 장치의 배터리 수명과 관련하여 배터리 충방전 제어와 저전력 데이터 전송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타제품과 차별화하고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프레임 일체형 도난 방지 및 추적 장치의 조립시 추적 모듈을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제조 공정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양산 제품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본 사업을 개발하는 제품을 유럽 시장을 목표로 하는 고가의 자전거에 적용함으로써 사업화 초기에는 10 억원 정도로 예상되며, 지속적으로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참여기업과 협력하는 고급 자전거 수출 기업의 매출 신장에도 기여할 수 있음- 개발한 제품을 저가형 모델 제품을 중국, 일본, 베트남 등의 아시아권 자전거 수출 시장으로 확대하고, 애완동물 분실 방지 및 추적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유사한 사업으로 확장할 수 있음- 국내 고급 자전거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지만 유럽 수출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마케팅 효과로 국내 시장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산업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 개발하는 위치 추적기술의 차량 및 로봇 등의 다양한 산업에 적용함으로써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 유럽 수출 기업과 협약에 따라 고급 자전거에 적용하여 마케팅 및 판매를 진행함- 저가형 모듈을 개발하여 중국, 일본, 베트남 등의 중저가형 자전거 시장으로 진출함

  • 3D 아바타 Synchronization System 가반의 온라인 게임

    (1420005112)

    2003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김소연

    (주)메가폴리엔터테인먼트

    중소기업청

    39000000 (59000000)

    1) 본 기술개발의 목표는 별도의 가상공간이 필요없이 사용자의 컴퓨터 바탕화면상에 동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2)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특정한 가상공간이 아니라 단말기 바탕화면에서 동작하는 아바타를 메신저 및 채팅툴로 이용하여 커뮤니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3) 본 기술개발로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특정한 가상공간이 아니라 사용자의 컴퓨터 바탕화면에서 동작하는 아바타를 이용한 아바타 게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개발 목표로 한다. (4) 바탕화면에서 동작하는 아바타를 동적으로 변환하여 게임, 커뮤니티, 가상오피스등에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메가폴리엔터테인먼트는 1998년 전국게임경진대회(주최:성균관대학교) 금상을 수상한 쿠키샵을 통해 국내 최초의 여성 게임시장을 개척한 게임개발 전문기업이다. 독창적인 장르의 게임인 쿠키샵(경영RPG 게임) 과 스위키랜드(Cure RPG 게임)의 개발 기술력을 인정받아 2002년 12월 기술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우량기술기업에 선정되었다. 이러한 기술력과 함께 대만, 중국, 홍콩, 일본( ㈜게임팟 ) 진출을 계기로 세계 제일의 게임, 세계최고의 기술을 개발하는 Global 벤처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다. 본 개발제품은 메신저, 커뮤니티등에 사용되던 아바타를 게임에 적용하게끔 하는 Synchronization System과 Peer-to-Peer 게임서버의 온라인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다. (1) 바탕화면에 동작하는 3D 아바타 테마채팅 시스템 아바타가 동작하도록 구성된 특정한 웹사이트에 접속할 필요 없이 사용자 컴퓨터의 바탕화면상에서 동작하는 3D 아바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D 테마채팅의 경우 기존 아바타 채팅과 달리 사용자 컴퓨터의 리소스를 작게 차지하고, 채팅배경화면과 효과(이동, 기후등..)를 가진다. (2) 아바타의 Synchronization System 사용자 컴퓨터의 바탕에서 생성된 아바타를 온라인 게임에 적용하여 사용 가능하게 한다. 게임화면에 아바타만을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게임상의 주인공이 되어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와 인터랙티브한 플레이를 할 수 있게 한다. [아바타 채팅] 아바타 생성 --->메신저 구동 ---> 서버에서 아바타 정보 요청 --->아바타 디스플레이 (3) Pee

    수행 결과로서 기대되는 경제적·산업적·사회적 파급효과는 개발비용 및 기간 절약, 수출 증대, 게임시장의 영역 확대 등을 들 수 있다. (1) 게임 개발 비용의 절감 이용자가 온라인 게임의 로비(Roby) 서버를 이용하지 않고도 게임을 실행할 상대방을 편리하고 빠르게 검색하여 게임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을 개발/제공하는 운영측은 서버개발 및 구축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30%이상 절감할 수 있다. (2) 개발 기간 단축 본 개발제품을 통해 온라인

  • 미래네트워크선도시험망 구축운영

    (1711070403)

    2018

    차세대네트워크기반구축(R&D)

    나성욱

    한국정보화진흥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0285000000 (10285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78) , 특허(49) , 소프트웨어(3) , 연구시설장비(1)

    o KOREN 기반의 R&D 연구 및 실증 과제의 효율적 지원을 통해 미래네트워크 선도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촉진하고 국제연구 협력 기반을 조성 - 미래네트워크 분야 R&D 결과물의 시험․검증이 가능한 체계를 마련하여 R&D 결과물의 품질수준을 제고하고 상용화 단계로 이어질 수 있는 연구개발 선순환 체계의 연결고리를 제공 ※ 연구개발 선순환 생태계 : 연구개발 → 시험검증 → 실증시험 → 시범서비스 → 상용화 - 10Giga인터넷 전국망 고도화를 위한 백본 및 가입자망 시험검증 및 공공 WiFi 개방 확대를 위한 차세대 무선기술 검증 국정과제 실증, SDDC, IoT, 양자암호통신, AI 등 KOREN 활용 ICT 선도기술 분야에 대한 국내외 실증시험과제와 같은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핵심 유망 선도기술에 대한 발굴 및 검증 실증시험지원 - NET챌린지캠프 시즌5 운영을 통해 ICT 관련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중소·벤처 기업의 사업화/상용화 지원 확대 - KOREN 해외접속점과 국제연구망 연동을 통해 국내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의 해외 동반 진출 지원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 실증과제 추진 - AI Network Lab을 활용한 SW 네트워크 교육 강화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공공안전통신 관련 기술(PS-LTE, LTE-M, LTE-R 및 LPWA) 연구개발지원 테스트베드 구축/운영 및 연동/시험 수행을 통한 국내기업 개발 지원 및 산업생태계 활성화 지원 o 미래네트워크선도시험망(KOREN) 및 한국-홍콩-싱가포르 구간의 국제회선을 안정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이용기관에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제공 - 전국 주요도시에 위치한 모든 노드에 최대 200G급 SW기반 지능형 네트워크의 전환 구축․운용 및 시험 환경의 단계별 고도화 - 이용기관 SDN 전환(50%) 및 네트워크, 가상서버, 스토리지, 클라우드 자원 등을 이용자 포털 이용하여 직접 설정 할 수 있도록 개발·구성 - KOREN 해외 접속점(홍콩, 싱가포르)을 통한 다양한 해외연구망과 연동점 확보로 국내외 이용기관 대상 다양한 연구를 위한 양질의 서비스 제공

    ㅇ 국내/국제 선도시험망 구축·운영 및 고도화 - 지능정보 사회 진입에 따른 다양한 수요자 중심의 최대 200G급의 SW기반 지능형 네트워크 운용 및 시험 환경 고도화 - IP-SDN 100G 라우터 확대 구축 및 Cloud 기반 가상 서버/스토리지를 제공하고 VNF 서비스 기능의 고도화 및 M&O 운영 자동화 개발 추진 - ICT 관련 벤처/스타트업, 학교, 연구소 등 관련 연구의 협력, 융합형 지능망 네트워크 관련 실증 및 연구 지원을 위한 최대 100 가입자 회선 운용을 통한 이용기관 수용 - 한국-홍콩-싱가포르(TEIN)간의 10G 회선 연동 및 홍콩·싱가포르 POP 운영을 통한 아시아/유럽/미국 등 선도망 간 협력 강화ㅇ R&D 결과물 시험검증 체계 구축 및 KOREN 기반의 R&D 결과물 시험·검증 - 네트워크 CP실 지정 R&D 밀착시험검증 외 산학연 수요에 따른 상시시험검증 지원체계 확대 및 실증시험 및 융합기술에 대한 R&D시험검증 병행 확대 - 미래인터넷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물의 단계별 시험․검증이 가능한 시험검증체계 마련, 시험절차서 개발 및 시험검증 수행ㅇ 국내/국제 선도시험망 활용 실증시험과제 발굴 및 상용화 지원 - 10Giga인터넷 전국망 고도화를 위한 백본 및 가입자망 시험·검증 및 공공 WiFi 개방·확대를 위한 차세대 무선기술 검증 등 국정과제 실증 지원 - SDDC, IoT, 양자암호통신, AI 등 KOREN 활용 ICT 선도기술 분야에 대한 국내외 실증시험과제 개발 및 지원 - 국내 네트워크 장비와 솔루션의 해외 동반 진출 지원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 실증과제 추진 - NET 챌린지 캠프를 활용하여 ICT 관련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중소벤처 및 스타트업의 사업화/상용화 지원

    ㅇ 미래네트워크 신기술분야 뿐만 아니라 Giga 인터넷, 빅데이터, 공공안전망, 공공 WiFi, G-IoT 등 정부 시범사업의 연구개발 인프라로 활용ㅇ SDI(SDN, NFV, CLOUD, M&O), T/IP-SDN Controller 통합, POTN망을 활용한 SDN검증 환경 등 연구시험 테스트베드 제공 및 각종 시범사업과 연계한 연구개발 시제품의 실증, 상용선도서비스 제공으로 사업화 촉진을 위한 인프라로 활용ㅇ 국가 R&D 연구시제품 등의 결과물의 기능, 성능, 상호 운용성 시험․검증을 위한 인프라로 활용ㅇ KOREN 해외 거점 운영과 해외연구망과의 연동 확대 등을 통해 네트워크 관련 국제협력 및 관련 연구 결과물의 해외 시장 진출의 기반 제공ㅇ KOREN 기반의 실증, 시험검증 등을 통한 창업, 고용, 국제특허 발굴 등으로 미래네트워크 산업 저변 확대

  • 에스컬레이터 안전한 이용을 위한 자가발전형 Weclean

    (1425120581)

    2018

    창업성장기술개발(R&D)

    박경호

    (주)서우정보기술

    중소벤처기업부

    200000000 (2500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영상, 음성출력 - Main PCB가 웹상에서 보내는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여서 출력IoT모니터링 - Main PCB에서 보내는 모듈들의 값을 받아서 웹상에서 모니터링 플렛폼 개발제품 테스트 및 모니터링자가발전을 이용한 충전 및 전력공급 - 자가발전을 이용한 충전 및 전력공급 모듈 설계 - 전력의 충전 및 공급을 위한 회로 설계 및 제작 - 모델링을 통한 핸드레일 규격에 맞는 모듈 패키지 및 하우징 구조 설계 및 제작 대기질 측정 - CO2, O3, 공기오염도등 대기질 측정 플렛폼 개발 - 대기질 측정을 위한 모듈 설계 및 구현 - 측정 반경에 따른 측정 정확도 및 주변 환경(온도변화 등)에 대한 영향도 평가 - 소형화 패키징 및 하우징 구조 설계 및 제

    에스컬레이터 무전원 클리닝 및 대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단계)- 부품 선정- 기구물 설계- 제품 디자인 진행- 국내외 시장 수요 조사- 승강기안전관리공단 검사 기준표 용역 진행- 제품 제안서 및 카달록 제작(2단계)- 기구물 완료- 목업 제품 제작- 국내외 관련 전시회 참가- 홍보 동영상 제작- 국내외 대리점 개설(3단계)- 양산을 위한 금형 제작- 조립 체계 확립- 국내 시범사업 진행- 해외 시범사업 진행- 사업 결과 보고서 제작(4단계)- 신뢰성 인증 완료- 공정 규격화 완료- 시험성적서, 신뢰성 자료 발송- 납품 계약 체결(필리핀, 싱가폴, 홍콩, 일본등)(5단계)- 빅데이타 분석 솔루션 개발- 서버 구축- 판매처별 분석 솔루션 제공- 광고회사 마케팅 협약 체결

    국내외 확대 보급 - 위클린 제품을 통하여 국내 에스컬레이터 공간의 확대 보급 - 위클린 도입(고객)처의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한 빅데이타 솔루션 보급고용 창출 - 연구인력 신규 채용 (3~6명) - 기술인력 신규 채용 (1~5명) - 생산관리 인력 신규 채용 (1~3명) - 유지보수 인력 신규 채용 (2~30명) - 점착적인 인력채용으로 고용창출

  • 범용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기반 대용량 드라이빙 기술 개발을 통한 글로벌 모바일 MMORPG (십이지천M) 개발

    (1425121066)

    2018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R&D)

    김학수

    케이제이게임즈

    중소벤처기업부

    229000000 (35231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1. 개요 개발기술 명 : 범용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기반 대용량 드라이빙 기술 개발을 통한 30FPS 레벨의 글로벌 모바일 MMORPG (십이지천M) 개발- 온라인 무협게임으로 인기를 얻었던 십이지천이 모바일로 부활할 것으로 보여 관심이 모아진다. 케이제이게임즈가 지난 3월 20일, 십이지천M이란 이미지가 포함된 상표권을 출원하고(출원번호: 4020180036018) 등록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 (출처-http://betanews.heraldcorp.com:8080/article/829520.html)- 2008년 출시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던 십이지천 온라인 무협 게임을 해외(해외수요처-대만)/국내에 서비스하기 위한 모바일 MMORPG 개발임.- 최근 “라그나로크M”, “그랜드체이스M”등 온라인 게임 IP를 이용한 게임들의 성장과 함게 무협 온라인 게임으로 인기를 누렸던 십이지천의 모바일 서비스는 해외/국내에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함. 해외수요처 : 홍콩, 일본, 동남아를 주요 대상으로 PC 온라임 게임 및 모바일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는 Happy Tuk社는 2012년 설립된 홍콩 기업임, 2012년부터 현재까지 본 제안과제인 십이지천2 등 게임 분야 유통서비스 및 기획/개발까지 분야를 넓혀가고 있는 글로벌 기업임. 본 제안과제 개발 배경 및 필요성 (해외수요처 대상) : 본 제안과제의 해외수요처와 주관기관은 2014.2.월부터 본 제안과제의 기반이 되는 온라인 게임용 SW 개발 분야 협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수요처는 2013년 본 제안과제의 PC 버전인 십이지천2을 홍콩에 서비스하면서 모바일 버전에 대한 컨버전스 개발 공급을 주관기관에 지속적으로 요구한 상황임. 따라서 주관기관은 모바일 MMORPG 국내 버전 개발 기획과 함께 해외수요처에 공급하는 개발 계약을 체결한 후 본 제안을 신청하게된 것임.- 해외수요처와 주관기관의 거래 내역·주요 개발 내용 : 온라인 게임용 SW 개발·주요 거래 시기 : 2014.2.~현재·개발 거래 규모 : 약 $350,000- (4년 누적, 게임 SW 개발 서비스)- 해외수요처와 주관기관의 MOU 체결 핵심 내용·개발 기간 : 2018.6.~2019.4·해외수요처(대만) 현지화 및 평가 검증 : 2019.5.~2019.9.·해외수요처(대만) 서비스 : 2019.9.~·해외수요처(대만) 외 글로벌 서비스 (해외수요처 유통채널) : 2019.12.~·공급방식 : 계약금 ($1,200,000-)+수익배분(로얄티 : 해외수요처 매출의 18%)- 본 제안과제의 온라인 PC 게임 (십이지천)은 동남아에서 인기 있는 무협게임 분야의 대표적인 대작으로 이미 인지도는 매우 높은 상황으로 해외수요처는 십이지천2를 대만에서 서비스한 경험과 수요층의 높은 인기를 경험하였기에 최근 트랜드에 맞추어 모바일 컨버전스화하여 공급 서비스할 경우 성공에 대한 확신을 예측하고 주관기관에 개발 공급을 의뢰함.- 특히, 2007년 십이지천 개발 및 사업화 주역인 주관기관의 연구소장(홍창우)과의 오랜 신뢰와 2014년 이후 지속적인 거래를 기반한 신뢰, 해외수요처 측면에서 대만 서비스 기반으로 동남아 및 중화권 채널을 주요 공급 서비스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MMORPG 성능, 품질에 대한 기술적 검증, 그리고 유지보수에 대한 용이성과 확장성을 고려하여 주관기관의 높은 기술력을 인정하여 개발 공급을 의뢰함.2. 개발목표 범용 네트워크 라이브러리와 통합 클라우드 서버를 기반으로 30FPS 퍼포먼스 성능 구현을 위한 대용량드라이빙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모바일 MMORPG 개발 - 온라인 PC 게임의 모바일 MMORPG 컨버젼스 개발- 온라인 PC 대작 게임(십이지천)의 모바일 MMORPG 컨버전스를 위한 소요 기술개발- 고성능 모바일 MMORPG를 위한 데이터 관리 로직 및 알고리즘 개발- 모바일 MMORPG를 위한 범용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기반 효율적 실시간 데이터 가용을 위한 통합 서버 엔진 상용화 개발 기술개발 상용화를 위한 Trial Package 개발 (해외수요처-대만, 국내)- 해외수요처 검수(사용성 평가) 및 시범 서비스 (대만)- 국내 상용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신뢰성(성능, 품질, 보안) 인증

    상용화 PC 게임(십이지천)의 모바일 MMORPG 컨버전스를 위한 소요 기술개발- 모바일 MMORPG를 위한 통합 아키텍처 개발- 모바일 MMORPG를 위한 개발 항목 및 개발 방법 ①입력 시스템 : 모바일 입력 로직 ②카메라 시스템 : 모바일 카메라 로직 ③대용량 모델 관리 시스템 : 캐릭터, 몬스터, 환경 등 ④대용량 효과 관리 시스템 : 이펙트, 사운드 등 ⑤대용량 모션 관리 시스템 : 모션 고성능 모바일 MMORPG를 위한 데이터 관리 로직 및 알고리즘 개발- 저사양 모바일 사양에서도 (특히, 해외 수요처등 프리미엄 스마트폰 보급이 않된 국가) 30FPS 퍼포먼스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대용량 드라이빙 기술을 개발 적용하여 PC 버전과 동등한 성능 구현- (적용1) 셀분할 랜더링 로직 및 알고리즘 구현 (지오메트리 분할 랜더링 기법) (기능) 월드를 여러 영역으로 나누고 기준 오브젝트가 속해 있는 영역의 오브젝트만 랜더링 수행 랜더링 목표 오브젝트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해외 저사양 모바일 MMORPG 실행시 성능향상 (기능 수행 로직 및 알고리즘) 전체 월드가 A, B, C, D로 분할되어 있고 초록색 원을 기준 오브젝트 일 때, A영역의 구름 오브젝트에만 랜더링이 수행하도록 구현하며, B, C, D 영역의 구름 오브젝트는 랜더링이 수행하지 않도록 blacking 처리- (적용2) 가시범위 기반 랜더링 로직 및 알고리즘 개발 (기능) 기존 미리 설정된 기준 오브젝트의 가시거리와 유효각도내의 오브젝트만 랜더링 수행 영역 구분에 의한 셀랜더링 성능 열활 문제점 해소 (기능 수행 로직 및 알고리즘) A 구름 오브젝트 : 가시거리와 유효각도안에 존재함으로 랜더링 수행 중 B 구름 오브젝트 : 유효각도안에는 존재, 가시거리 밖에 있어 랜더링 수행하지 않음 C 구름 오브젝트 : 가시거리안 존재, 유효각도 밖에 있어 랜더링 수행하지 않음- (적용3) Cash 메모리 기반의 대용량 데이터드라이빙 로직 및 알고리즘 개발 (기능) 셀 분할 랜던링 및 가시범위 기반 랜더링 문제를 보완하여 PC 성능과 동등한 모바일 MMORPG 을 위한 적용 기술 가시거리를 기반으로 오브젝트의 사용여부와 시간을 제어하고 cash 메모리의 동작원리인 데이터의 지역성을 접목하여 가시범위 내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그리고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오브젝트만 랜더링을 수행하여 랜더링 목표 오브젝트의 개수를 줄여 퍼포먼스의 향상을 목적으로 함 (기능 수행 로직 및 알고리즘) A1 구름 오브젝트 : 현재 사용중인 오브젝트로 랜더링을 수행 중인 상태 A2 구름 오브젝트 : 현재는 사용되지 않지만 최근에 사용되어 메모리상에 대기중인 상태 C 구름 오브젝트 : 마지막으로 사용 된지 오래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고 판별되어 메모리에서 언로드 모바일 MMORPG 용 범용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및 통합 네트워크 서버 엔진 상용화 개발 적용(특허출원 제10-2017-0108240호 기술의 실용화 개발)- 30FPS 퍼포먼스 성능 구현을 위한 대용량 드라이빙 기술 개발- 모바일 MMORPG를 위한 범용 네트워크 라이브러리 기반 효율적 실시간 데이터 가용을 위한 통합 서버 엔진 상용화 개발- 로그부 구현·클라이언트의 접속 및 클라이언트에서 게임 서버에 접속하면서 발생된 로그를누적 및 기록하는 로그부 구현 ·나머지 각 부에 대한 상태, 게임 내 발생하는 이벤트 서비스 관련 관심사항을 관리할 수 있는 로그를 UDP통신을 이용하여 로깅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스와 통신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하여 상황에 맞는 형태로 제공하는 기능 구현 접속 요청, 서버 접속 인증 등 기록 및 관리 1의 구현을 위한 패킷 디자인 개발 2의 구현을 위한 최적화된 스레드 간 통신 프로토콜 개발 3의 구현을 위한 최적화된 파일시스템과의 통신 프로토콜 개발- 배치부 구현·클라이언트로부터 게임 서버의 상태 정보를 요청받으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게임 서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배치부 구현·서버 하드웨어의 자원상황, 서버 수용량을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구성하고 전담 프로세서를 통해 원격으로 서비스 상태를 확인하고 변경 가능도록 기능 구현 게임 서버 상태 판단요소 자원 사용량, CPU사용량, 접속량 등 상태 정보 1의 구현을 위한 패킷 방법 개발 2의 구현을 위한 상태정보 구현 3과 4의 구현을 위한 멀티 스레드 송신 기법 개발

    당사는 본 제안과제에 적용되는 풍부하고 검증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바일 MMORPG에서 발생되는 성능, 품질 문제점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기술적 대처가 가능한 솔루션 확보- PC 버전으로 국내외에서 검증된 풍부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모바일 MMORPG 개발한다는 장점- 모바일 게임 특히 MMORPG에서 콘텐츠가 서비스 흥행 가/부 및 지속성을 결정하는 중요 인지로서 본 제안과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음- 특히, 대다수의 게임들은 유저들이 콘텐츠를 소모하는 속도가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하는 속도보다 빠르다는 특징 있으며, 이로 인한 콘텐츠 개발 제공사 입장에서는 빠른 시간내 지속적인 콘텐츠를 개발하여 공급해야되는 숙제가 있음. 하지만 당사는 한 단계 앞선 콘텐츠 보유와 개발 시간 단축 가능한 솔루션을 확보하여 지속적 고객 서비스를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게임의 완성도와 퀄리티를 저하시키고 이로 인한 유저이탈이 가속화되는 당 분야의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음- 해외에서 흥행 검증 받은 IP 확보로 글로벌 시장 진출 시 장점으로 부각됨- 현재 출시된 동양 세계관의 무협 MMORPG는 대부분 서양 콘텐츠 중심으로 구성되어 현실감이 결여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시장 확장성의 한계가 있으나 당사의 본 제안과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가능- 대부분 모바일 MMORPG로 홍보하지만 성능, 품질적인 측면에서 기대에 못 미치고 있으나 당사의 차별화된 기술을 적용하여 문제점 해소 가능 모바일(스마트폰) MMORPG를 위한 모바일(스마트폰) 기종별 동등한 성능 유지 및 온라인 PC 버전에 대한 컨버전스시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열화 문제를 해결하고 호환성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기반 기술- 갤럭시 S9의 메모리 스펙은 PC보다 현격히 낮은 4GB이며 OS 및 백그라운드에서 상시 가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양은 더 적음, 온라인 MMORPG는 실시간으로 대용량 그래픽 리소스 데이터를 대량 사용함, 일반적으로 모바일 상에서 그래픽 리소스 데이터의 퀄리티를 낮추거나, Cell 분할 랜더링 방식, 가시거리에 기반한 랜더링 방식이 사용되나 새로운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MMORPG의 특징과는 부합하지 않음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 적용이 요구됨.- 당사는 제한된 하드웨어에서 대용량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를 목표로 데이터 품질의 열화 없이 기준 기기상에서 최소 30FPS 퍼포먼스를 구현하기 위한 대용량 데이터 드라이빙 로직 및 알고리즘 기술 개발을 통하여 문제점 해결- 따라서, 당사의 대용량 데이터 드라이빙 로직 및 알고리즘 기술 개발을 통하여 모바일 하드웨어 기종에 따른 성능, 품질 열화없이 동일 성능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퀄리티의 그래픽 게임 구현 가능, 하위 기종 및 보급형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유저 확보 가능, 모바일상에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기반 기술 적용 가능 모바일 MMORPG의 높은 안정성, 콘텐츠 추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글로벌 어디에서든 동기화된 유저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속적인 플레이가 가능한,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을 검색하여 접속해도 동기화가된 유저 데이터를 기반으로 게임 실행에 문제 없고, 클라우드 서버를 기반으로 서비스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확장성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혁신기술 확보 (특허출원 제10-2017-0108240호 실용화-게임 범용 네트워크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통신 미들웨어 서비스 제공 방법)- 실시간 온라인 게임을 위한 데이터 무결성에 기반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범용 네트워크 라이브러리화 된 프레임워크로 개발시간과 비용이 단축 가능-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여 경제적인 서비스와 글로벌 시장 대응 가능- 클라우드 서버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시 하드웨어 구축 및 현지인력 충원 비용 절감, 상황에 따른 신속하고 자유로운 서버 확장 및 축소 용이 위의 대용량 데이터드라이빙 로직 및 알고리즘과 범용 네트워크 라이브러리화 된 프레임워크 기반 기술로 모바일(스마트폰) MMORPG를 위한 하드웨어의 호환성과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환경에 경쟁력 확보- 모바일 APP 설치시 실패 오류 개선- 모바일 App 설치에 성공하였으나 정상적인 실행에 오류 발생 개선·Crash 오류 개선- 모바일 App과 하드웨어 호환성 문제로 인한 응답시간 지연 문제 해소- 모바일 App의 얼룩 및 경계선 그래픽 품질 문제 해소- 모바일 MMORGP 실행 기능과 디자인 간에 오류 문제 해소2. 고용창출 기대효과 (고급인력, 청년층)- 연구개발(2021년 기준) : 소프트웨어 (7명), 디자인 및 제품 설계 (4명)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감염경로 예찰을 위한 철새이동경로 추적시스템 개발

    (1425088282)

    2014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이한수

    (주)한국환경생태연구소

    중소기업청

    180000000 (243105000)

    국내에서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는 많은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국민들의 불안감 증가 등 사회적으로도 큰 우려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를 매개하는 원인 중 하나로 철새(야생조류)가 지목되고 있으며 실제로 철새에 의한 전이 및 확산이 확인됨에 따라 이들 철새의 이동경로 추적 및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감염 경로 추적을 통한 생태연구의 필요성과 사전 예방대책 마련이 국가적으로 긴급한 이슈로 각인되고 있다.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를 매개하는 것으로 주목받는 철새들은 주로 오리,기러기류 등 겨울철새 수조류들이 대부분이며 이들은 몽골,중국,러시아 등에서 여름철 번식하고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국내에서 월동을 하는데 이들의 월동시기와 국내의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 발병시기가 겹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들의 번식지로 주목받고 있는 중국,러시아 등지에서 지속적인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 발병 보고가 들어오고 있으며 인접 동아시아 지역들인 홍콩, 중국남부, 인도네시아 등지에서도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의 발병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에서 발병한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 바이러스가 철새를 통해 국내 유입이 되었을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으며, 이들의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 감염경로 예찰에 최적화된 철새 이동경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본 사업의 최종 개발 목표이다. 현재 시중에 소개되고 있는 여러가지 위치추적 시스템은 장비의 크기, 시스템 사용료, 작동시스템의 신뢰도 등에서 많은 제약과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기존 시스템과는 완전히 차별화된 시스템을 개발하여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 감염경로 예찰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 사업을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철새이동경로 추적시스템은 철새의 모니터링과 데이터통신이 공간적/시간적 제약 없이 전세계 어디서나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세계 최초로 GPS와 3G 방식을 융합한 초소형 초경량 위치추적장치 및 위치추적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를 매개하는 철새(야생조류)의 대부분은 겨울철에 국내에 도래하는 오리 기러기류 등 수조류(물새류)로서 이들은 각 종별로 작게는 500g에서 큰 종은 2kg 까지 생체중이 다양하다. 또한 계절에 따라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등을 국경을 초월하여 장거리 이동하는 생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 철새의 이동경로 및 감염경로를 효율적으로 추적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초소형,초경량 위치추적장치를 개발하는 한편, 위치추적장치와 서버로 연동되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만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기술개발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다.1. 전 세계 모든 지역의 모니터링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축GPS와 3G(WCDMA)방식을 이용한 국내최초 및 세계최초의 시스템으로 기존의 인공위성 방식의 위치추적 시스템에 비해 월등히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음. 이동통신망은 국내 상용이동통신사인 S사의 로밍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며, 전 세계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주파수 매칭(800MHz, 900MHz, 1.8GHz, 1.9GHz, 2.1GHz)을 실현시킨 RF Antenna를 설계하여 적용한다.2. 철새(야생조류)에 부착 가능한 초소형,초경량 단말기 개발위치추적장치는 철새의 몸체에 직접 부착되어야 하므로 그 무게와 크기가 철새의 행동에 지장을 주어선 안된다. 현재 학계의 연구로는 철새의 생체중의 5%를 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이 기준을 충족하는 단말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단말의 크기는 58*36mm, 무게는 39g을 목표로 하고자 한다.3. 저전력 설계 기술국내를 찾는 철새들이 주로 번식하는 중국, 러시아 등의 초원(툰드라)지대는 국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한 통신환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은 월동지인 우리나라와 번식지간의 이동을 위해 국경을 초월하여 수백km를 장거리 이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과 장거리 이동 및 장기간 이동경로 및 위치추적을 위해서는 저전력 설계 도입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최소한의 전력 소모를 가능하게 하는 HW/SW 기술을 적용하여 추적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이동경로 모니터링 및 데이터 수집기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하고자 한다.4. 소형화,경량화를 실현시킨 RF Antenna 설계 및 적용5개 밴드 매칭을 실현함과 동시에 소형화, 경량화를 구현한다.

    1. 학술·과학적 효과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 등 야생동물에서 기인하는 질병(인수공통전염병) 전파를 예측하고 감염 및 확산을 방지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며, 국가방역 체계를 견고히 하고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장비의 경량화/소형화는 연구 대상종의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야생동물 이동경로 연구 등 관련 연구 분야에 있어 학술적, 과학적으로 새로운 연구 성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본 위치추적시스템은 단순히 야생동물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에서 벗어나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학술 분야에서 응용 및 해석이 가능하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변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서식지의 환경변화에 민감한 야생동물은 종 자체의 생존을 위협받고 있는 현실이다. 본 위치추적시스템을 통한 야생동물 위치정보 데이터는 야생동물의 이동경로, 행동반경, 서식지 이용) 등 다양한 생태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의 복원·보전·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2. 경제적효과현재 야생동물 위치추적 시스템의 세계 시장 규모는 약 1,000억원 규모이고 국내 시장은 50억원 규모로 추정되며, 해당 분야의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 규모는 점차 늘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본 연구소의 기술개발 이전에는 관련 기술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지만 본사의 기술개발을 통해 수입대체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어 국내 연구진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이고 다방면으로 연구범위를 넓히는 계기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전체적인 시장 규모의 확대로 연결되며 수입대체 효과뿐만 아니라 해외 연구진을 대상으로 한 수출도 크게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환경생태관련 국가 연구기관들의 연구장비 구입 예산절감과 함께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3. 과학기술 선진국으로서의 국가위상 제고신청기술인 철새위치추적 시스템은 전 세계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차후 외국의 연구진들과 활발한 교류가 예상된다. 특히 외국 연구진들을 대상으로 국내의 야생동물 위치추적 시스템의 우수성을 소개함으로써 외국의 학계·업계에 국내 기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야생동물 위치추적 시스템 및 위치추적 노하우를 전수함으로써 생태모니터링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4.창조경제 및 녹색성장 기여 본 시스템은 생태학(Ecology)과 정보통신(Information Technology)이라는 상이한 기술이 만들어낸 시스템으로 양 분야의 노하우(Know-how)가 집약된 융합기술이자 창조경제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획득한 기술 자체로 큰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시스템의 개량 및 데이터 가공 과정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정보들 역시 큰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는 정성적·정량적으로 매우 신뢰도가 높은 자료들이며, 신뢰도가 높은 Raw Data를 통해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분석이 수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환경변화 예측, 기후변화 대응, 멸종위기종 보전대책 마련 등 생태연구와 관련된 전반적인 분야에서 연구성과를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모바일 환경에서 최적 프레임 렌더링을 지원하는 멀티플레이 가상현실 FPS 콘텐츠 개발

    (1425122582)

    2018

    산학연협력기술개발(R&D)

    김석중

    페이크아이즈

    중소벤처기업부

    30467000 (665975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최종목표 모바일 환경에서 최적 프레임 VR 렌더링(평균 57fps 이상), Voice Chat을 지원하는 서버를 이용한 멀티플레이(동시 사용자 8인, 최대 4:4) 가상현실 FPS 콘텐츠 개발 최종 결과물 - 멀티플레이 모바일 VR FPS 게임(SW) 1종 - 멀티플레이 모바일 VR FPS 게임 서버(SYS) 1식 세부목표 주요 기능(또는 규격) - 다중 사용자 실시간 경쟁/협력 멀티플레이(1:1 ~ 4:4) 기능 - 다중 사용자 실시간 Voice Chat(최대 8인) 기능 - 다중 사용자간 실시간 상호 인터랙션 및 실시간 동기화 기능 - 모바일/PC VR 풀 프레임 렌더링 기능 - VR 환경 내 충돌 감지 및 충돌 이벤트 연동 기능 핵심 기술 - 실시간 인터랙션 감지및 반응 멀티플레이 VR FPS 게임의 사용자간 인터랙션 기능 - 모바일 VR 리소스 최적화를 통한 평균 57 프레임 렌더링 기술 - 모바일 VR 환경에서 최대 8인 동시 Voice Chat 지원 기술 - 멀티플레이 VR 시스템 서버 실시간 동기화 및 안정화 기술 - 네트워크 오버로드 최소화 프로토콜 개발 기술 확장 서비스 범위 - 군부대의 단위의 전략 전술 모의 훈련 및 워 게임에 활용 가능

    모바일 환경에서 최대 8인까지 동시 접속할 수 있는 환경 구현 기술 개발 - 모바일 환경에서 최대 8인 동시접속 환경에서 프레임저하 등의 결함 극복 기술 개발 다중 접속 환경에서 Voice Chat기능 구현 기술 개발 - 가상현실 다중 접속 환경에서 Voice Chat 기능 구현 기술 개발 - 팀별, 개인별, 등의 옵션 환경에서 Voice Chat 컨트롤 기술 개발 다중 접속 VR FPS 게임을 위한 네트워크 기술 개발 - 사용자간 인터랙션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발 - 충돌감지의 실시간 동기화 기술 개발 다중 접속 VR FPS 게임 인터랙션을 위한 충돌감지, 대응 기술 개발 - 오브젝트 충돌 이벤트 감지 기술 - 충돌 이벤트에 따른 감지 대응 기술 다중 접속 VR FPS 게임의 환경 최적화를 위한 UI/UX 디자인 및 프레임 최적화 기술 개발 - 멀미 현상의 최소화를 위한 프레임 최적화 및 UI 기반 기술 개발 - 가상현실 사용자 경험기반 시스템 구축을 위한 UX 디자인 개발 다양한 컨트롤러 지원 기술 개발 - 자이로 센서 탑재형 컨트롤러 및 버튼식 컨트롤러 지원 기술 개발 - 컨트롤러 별 제공 UX/UI 디자인 개발 다양한 모바일 HMD 장치 지원 기술 개발 - 삼성 Gear VR, Google Cardboard VR, 등의 HMD 장치 지원 기술 개발

    사업화 계획 - 국내 외 VR게임체험관 및 VR테마파크 연계 사업 추진 - 삼성전자 및 KT, 등이 추진하는 VR 게임 룸 프렌차이즈 입점 협의 중 - 테크노블러드코리아와 VirtualGate 입점 계약 완료 - 홍콩 3310Games와 VR Game Publishing 관련 논의 중 - 미국 NYCO와 VR Game Controller 크로스 프로모션 관련 논의 중 수요처 - VR 테마파크 : 디즈니랜드(미국), 유로파 파크(독일), 에버랜드(삼성), 롯데월드(롯 데) - VR 체험관 : CGV VR Park, VR Plus, 더메이즈VR, 홍빈네트워크, VirtualGate, 등 - 글로벌 오픈마켓 : Steam, Oculus, FOVE, Playstation VR, 등 - 국내외 B2B, B2C 가상현실 Entertainment 시장 경제적 파급효과 - 외산 기술 종속성 극복 및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 - 온라인 다중 접속 모바일 VR FPS 게임 등장에 따른 산업연관효과(신규 일자리 창출, 산업의 균형발전, 부가가치 유발효과 등) 발생 기대 - VR 산업 발전을 위한 투자 생태계 활성화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 기본폴더

  • 스크랩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