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동형 리튬이온 ESS와 관련한 기존 안전기준 조사및 분석>-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 시나리오 개발(EV 셀, 모듈단위) I오프가스 조성 분석, EC62619, UL9540A등에 의한 이동형 리튬이온 ESS에 적합한 화재진압실험 시나리오 개발 Cell, 모듈 외부 가열 열폭주 유도를 통한 화재 메커니즘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 및 분석 (참여기관 공동수행) 새배터리와 재사용 배터리의 열폭주 특성 분석(파우치형, 각형)/ Timeline별, 온도별 열폭주 진행 측정(파우치형, 각형) 모듈단위 실험을 통한 열폭주전파 및 화재 특성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모드와 화재 사고 상관관계 규명 및 영향 인자 파악 리튬이온 배터리의 화재 사례(가전제품, ESS, 전기차 등)의 영향 인자별(용량, SOC, 계절, 안전장치 구성 등) 화재모드 분류 리튬이온 배터리 (셀 모듈단위) 화재모드 구현으로 스웰링, 오프가스 성분 및 화재추이 분석 -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전이 및 영향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정성적/정량적(FTA, FMEA 등) 위험성 평가 단체표준 개발(초안)[공동연구개발기관1(한국에너지솔루션주식회사)]-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억제 및 소화기술(또는 화재진압 기술) 개발 방향 정립- 국내 외 이동형 리튬이온 ESS 최적 소화액(5종) 특성 및 성분 분석 조사, 구입 > 액화 팽창질석, 침윤제, 액화질소가스, 강화액, 물 등, 소화액별 특성, 장 단점, 주의사항, 가격 대비 성능, 화학반응 등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을 통한 소화액(5종) 비교시험[공동연구개발기관2 (한국소방기구제작소)]- 화재 조기 감지를 위한 센서 선정과 감지 알고리즘 개발 셀, 모듈 열폭주 실험을 통한 VOC센서와 IR센서 성능비교 및 검증시험 오프가스 방출 단계 및 종류에 따른 감도비교 시험 후 센서 선정/ 출력방식에 따른 가스센서 성능개선 및 감지 알고리즘 개발- 비 화재 환경에서 조기감지센서 시험기술 개발 : 실제 오프가스 방출 모사방법 개발(VOC, CO2, H2 등의 혼합 및 가열)- 시험용 챔버 제작 및 오프가스 농도 측정기 선정- 국내외 조기감지 오프가스 센서 비교시험 분석 (공기 흡입식,확산식) , 표준가스를 이용한 농도측정 및 데이터 수집장치 개발[공동연구개발기관3 ((주)에스씨에스)]- EV용 단전지 셀에 대한 과충전 및 열폭주 유도 시 발생하는 스웰링(Swelling)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값 측정 장치 방안 도출 및 특성 시험(ESS 화재 특성시험)[공동연구개발기관4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을 통한 화재 위험 요소 분석-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열폭주 화재 위험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정립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화재 진압 기술 정립) -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화재 안전 방안 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