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항목 항목설명
과제명신청 및 협약 과제를 기준으로 국문 세부과제명의 정식명칭(국문과제명과 영문과제명 구분)
연구책임자명연구책임자명
과제관리기관명해당 사업의 과제 및 성과정보를 등록·관리하는 기관의 정식 명칭
과제수행기관연구개발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 명칭
과제수행기관
사업자등록번호
과제수행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
※ 공백없이 '-'를 포함(예: 123-45-67890)
※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는 외국기업의 경우 전문기관에서 관리하는 기관 ID값을 입력
부처명연구개발사업의 기획, 평가 및 관리에 관한 제반사항을 주관하는 중앙행정기관의 명칭 예)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명세부사업명
(기관)세부과제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세부과제번호
과제고유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과제번호
한글키워드한글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영문키워드영문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연구목표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목표에 대한 요약
연구내용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내용에 대한 요약
기대효과과제 수행 시 기대효과요약
※ 연구개발 결과의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등에 대한 요약
※ 관련 산업의 공정 과정 개선, 사업화 및 파급효과, 응용분야에서 거두게 될 경제적 가치 등을 기술
  • 검색건수

    • 793건

과제

검색옵션

건수 :

도움말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기준연도 / 예산사업명 / 연구책임자 / 과제수행기관 / 부처명 / 정부투자연구비(총연구비) 연구개발성과 연구내용 계속과제 묶어보기란? 보안과제(국방 비밀과제 포함)는 검색목록에서 제외됩니다.

동일한 과제가 연도별로 중복되어 나와서 불편하시나요?
해당 기능을 클릭해보세요!

건수 :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1761002707)

    2023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

    홍성호

    (사단)한국화재보험협회

    소방청

    1400000000 (18003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4) , 특허(2)

    - ESS 자동소화시스템 구축 및 실증시험- 경제성을 반영한 자동소화시스템 설치단계 최적화 방안 도출- ESS 소화설비 안전기준 개발- ESS 자동소화시스템시제품 제작 / 성능평가- IoT 플랫폼 연계 종합 감시 시스템 구축- 인공지능 기반 ESS 열폭주 예측모델 개발

    - 자동소화시스템 + Simulation 반영 랙 시험 설계- 실화재 자동소화시스템 안전성평가 시험- 자동소화시스템 랙 단위 화재 실증 시험- ESS 소화설비 화재안전기준 개정안 도출 - ESS 자동소화시스템 시제품 제작, 구축 및 성능평가- 참여기관의 기 구축 재난.안전 플랫폼 연계 기술 개발을 통한 통합 감시 시스테 구축- 구축된 시스템의 실증을 위해 열폭주상태 및 냉각 시스템에 대한 유효성 검증 실험 실시- 인공지능 기반 실험데이터 학습기반 배터리 열폭주 예측모델 개발- ESS 자동소화설비 안전기준(안) 개발, ESS 자동소화설비 제도 개선(안) 개발

    - 특수목적물에 대한 화재안전 기술 향상에 따른 국내 소방기술 발전 - 열폭주 방지기술, ESS 화재감지 및 진압기술 개발에 따른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기술 확보 - 국내 ESS 시장 정상화를 통한 기업들의 손실 감소에 기여 - 국외 ESS 수출 증대를 위한 안전기술 확보로 국외 ESS 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 - 사회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에너지 보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 충족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1761002563)

    2022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

    홍성호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소방청

    1500000000 (2000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5) , 특허(4)

    - ESS 열폭주 전조현상 조기 감지기 설계 및 개발- ESS 화재감지기 설계 및 개발- ESS 열폭주 방지 자동시스템 설계 및 개발- ESS 열폭주 방지 자동시스템 성능시험- ESS Rack 방호용 전용 소화장치 제작- 현상학적 ESS 열폭주 예측 모델 개발

    - 열폭주 전조현상 유형별(충전조건별) 감지센싱 파라미터 유효성 검증 시험- 화재 조기 감시를 위하여 1,2차년도를 통해 수집된 정보 기반 ASD 내장 센싱 모듈 개발- 열폭주 및 화재 발생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 개발- 열폭주 및 화재 발생이 아닌 상황에서 오 경보하는 사례를 예방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 개발- 개발된 감지센싱시스템의 감도성능 검증 시험, 시나리오별 비화재보 시험- Rack 방호용 전용 소화장치 제작, 성능평가- 열적 변화 및 off-gas 조기 감지를 위한 종합적인 측정 기술(장치) 조사 분석- ESS 사용 및 설치 환경 조사 및 시장의 변화 동향 분석- 감지 효율화를 위한 공간 내 배치 구조 설정 및 실험- 모델차수축소법(Model order reduction) 및 현상학적 모델링 기법(phenomenological modeling)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열폭주 현상 모사가 가능한 다중물리 모델 개발

    - 특수목적물에 대한 화재안전 기술 향상에 따른 국내 소방기술 발전 - 열폭주 방지기술, ESS 화재감지 및 진압기술 개발에 따른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기술 확보 - 국내 ESS 시장 정상화를 통한 기업들의 손실 감소에 기여 - 국외 ESS 수출 증대를 위한 안전기술 확보로 국외 ESS 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 - 사회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에너지 보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 충족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1761002163)

    2021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R&D)

    홍성호

    (사)한국화재보험협회

    소방청

    1500000000 (202552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 특허(10)

    - ESS 화재 정성, 정량적 위험성 평가- ESS 화재 적용 소화장치 시험 및 최적화- ESS 화재 긴급대응 매뉴얼 개발- ESS 열폭주 발생 방지를 위한 소화약제 냉각성능 시험 및 시뮬레이션 수행- ESS 다중물리 모델 개발 (비정상상태:열폭주)

    - Off Gas 및 감지 센서 선정을 위한 모듈단위 가스 분석 시험- 모듈단위 소화약제 냉각성능 및 소화시험- ESS 위험 인자별 위험도 분석 및 평가 절차서 개발- ESS 위험 인자에 따른 위험성 예측 및 완화 조치 방안 제시- Module 방호용 전용 소화장치 제작, 성능평가- 열폭주 시험을 통한 조기감지 인자 수집 수집서버 카테코리 정립 및 센서모듈 설계- CFD 결과를 바탕으로 ASD 센싱 시뮬레이션- 모듈 발화에 대한 FDS/물리적 화재모델링 적용 방안 연구- 발화 시 모듈 내 미분무수 또는 약제 침투성에 대한 FDS/물리적 모델링 적용 방안 연구- 진압대응 이격거리 및 진행정보별 대피유도 기준 수립- ESS 화재 긴급대응 매뉴얼 개발 및 검토- (수치해석 기반) 배터리 충·방전시 열폭주 현상 발생시 전기화학 및 열역학 현상 예측이 가능한 다중물리 모델 개발

    - 특수목적물에 대한 화재안전 기술 향상에 따른 국내 소방기술 발전- 열폭주 방지기술, ESS 화재감지 및 진압기술 개발에 따른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기술 확보- 국내 ESS 시장 정상화를 통한 기업들의 손실 감소에 기여- 국외 ESS 수출 증대를 위한 안전기술 확보로 국외 ESS 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 사회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에너지 보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 충족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2760000013)

    2024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

    홍성호

    (사단)한국화재보험협회

    소방청

    150000000 (20909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4) , 특허(1)

    - ESS 자동소화시스템 실증시험을 반영한 시스템 개선- ESS 자동소화시스템 완제품 개발 및 소방대원 대응훈련 매뉴얼 개발- ESS 자동소화시스템 성능기준 및 안전기술기준 제개정안 제출- ESS 자동소화시스템 설치 운영관리 매뉴얼 제출- ESS 전용 개발품 보급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마련- Hybrid ESS 열폭주 예측모델 개발

    - 자동소화시스템 개선을 위한 실증시험 - ESS 감지 및 소화설비 성능기준 및 안전기술기준 제, 개정안 도출- ESS 자동소화시스템 최적화- ESS 자동소화시스템 운영매뉴얼 개발- ESS 자동소화시스템 시공지침 개발- IoT 플랫폼 연계 종합 감시 시스템 구축- ESS 자동소화시스템 고려 소방대원 대응 훈련 방안 구축- 소방대원 훈련 방안 현장 의견 대면 조사- 대응 및 훈련 매뉴얼 개발- ESS 자동소화시스템 성능기준 및 안전 기술기준 제·개정(안) 개발 및 제출- ESS 전용 개발품 보급을 위한 제도 개선(안) 방안 개발- 다양한 앙상블 러닝(Ensemble learning) 기법 조사 및 이론 정립-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열폭주 실험데이터 취득 및 취득데이터 분석- 고정확도/고속 연산이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열폭주 모델 개발

    - 특수목적물에 대한 화재안전 기술 향상에 따른 국내 소방기술 발전 - 열폭주 방지기술, ESS 화재감지 및 진압기술 개발에 따른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기술 확보 - 국내 ESS 시장 정상화를 통한 기업들의 손실 감소에 기여 - 국외 ESS 수출 증대를 위한 안전기술 확보로 국외 ESS 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 - 사회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에너지 보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 충족

  • 차량으로 운반활용되는 이동형 리튬 이온 ESS화재 진압 기술 및 대응 매뉴얼 개발

    (1761002683)

    2023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

    김미성

    (재단)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소방청

    1600000000 (191640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3)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화재진압 실증실험용 이동형 리튬이온 ESS 차량 설계 및 제작- 1차 화재진압시험 시험 시나리오 개발 (EV 재활용배터리 팩 단위)-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60kWh, IEC 62619. UL9540A 기반) 진행(참여기관 공동수행)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정성적/정량적(FTA, FMEA 등) 위험성 평가 개발(초안)[공동연구개발기관1(한국에너지솔루션주식회사)]- 1차년도 ESS 화재 특성시험(소화약제 셀 및 모듈 단위 시험)을 반영한 소화약제 선별- 이동형 리튬이온 ESS 최적 소화액 시험장치 설계, 제작 및 1차 화재진압 시험(팩 단위 비교)-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억제 및 소화기술(또는 화재진압 기술) 기준 설계, 제작[공동연구개발기관2 (한국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 )]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실증시험(발열량 기준 10 MW) 시스템 구축[공동연구개발기관3 (한국소방기구제작소)]-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조기 감지시스템 개발- 화재감지 센서 신호처리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 다중 센서 복합형 화재감지기 개발-- 비 화재시험과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을 통한 화재 조기감지 시스템 검증- 진압대원용(소방관) 화재 진압장치 개발 [공동연구개발기관4 ((주)에스씨에스)]- EV용 배터리 팩에 대한 용기 내부 압력에 의한 실링(절연) 손상으로 용기 파손 시 압력 데이터 취득 방안 도출 및 특성 시험(1차 화재진압시험 시험)- EV용 배터리 팩에 대한 과충전 및 열폭주 유도 시 발생하는 내부 압력값 측정 장치 개발 방안 도출 및 특성 시험(1차 화재진압시험 시험)- EV용 배터리 팩 내부 압력 감지용 방폭형 미차압계 및 고압력계 설계 및 제작[공동연구개발기관5 (한국소방산업기술원)]-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을 통한 화재진압시스템의 성능평가기준안 시험항목 선정-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을 통한 화재진압시스템의 성능평가기준안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 정립[공동연구개발기관6 (한국전기산업연구원)]-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진압 방법 및 절차 조사·분석--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진압 시 위험요인 조사·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발생 예상 시나리오 개발 -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60kWh, UL9540A)을 통한 ESS 화재진압 대응 매뉴얼 개발(초안)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화재 실증실험용 컨테이너 설계 및 제작 - 화재 실증시험용 10ft 컨테이너(트레일러) 1대 제작, 20ft 컨테이너(고정형) 1대 제작- 1차 화재진압시험 실험 시나리오 개발(EV펙 단위)-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 진행(참여기관 공동수행)- 60kWh급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화재진압 실증실험 3회 수행 (20ft 컨테이너)-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정성적/정량적(FTA, FMEA 등) 위험성 평가 개발(초안)[공동연구개발기관1(한국에너지솔루션주식회사)]- 1차년도 ESS 화재 특성시험(소화약제 셀 및 모듈 단위 시험)을 반영한 소화약제 선별- 이동형 리튬이온 ESS 최적 소화액 시험장치 설계, 제작 및 팩 단위 비교시험- 이동형 리튬이온 ESS 최적 소화액 시험장치 설계, 제작 및 1차 화재진압 시험(팩 단위 비교) [공동연구개발기관2 (한국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실증시험(발열량 기준 10 MW) 시스템 구축 [공동연구개발기관3 (한국소방기구제작소)]-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조기 감지시스템 개발- 화재감지 센서 신호처리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 다중 센서 복합형 화재감지기 개발 - 비 화재시험과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을 통한 화재 조기감지 시스템 검증- 진압대원용(소방관) 화재 진압장치 개발 [공동연구개발기관4 ((주)에스씨에스)]- EV용 배터리 팩에 대한 용기 내부 압력에 의한 실링(절연) 손상으로 용기 파손 시 압력 데이터 취득 방안 도출 및 특성 시험(1차 화재진압시험 시험) - EV용 배터리 팩에 대한 과충전 및 열폭주 유도 시 발생하는 내부 압력값 측정 장치 개발 방안 도출 및 특성 시험(1차 화재진압시험 시험)- EV용 배터리 팩 내부 압력 감지용 방폭형 미차압계 및 고압력계 설계 및 제작[공동연구개발기관5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을 통한 화재진압시스템의 성능평가기준안 시험항목 선정-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을 통한 화재진압시스템의 성능평가기준안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 정립 [공동연구개발기관6 (한국전기산업연구원)]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진압 방법 및 절차 조사·분석-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진압 시 위험요인 조사·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발생 예상 시나리오 개발- 1차 화재진압 실증시험(60kWh)을 통한 ESS 화재진압 대응 매뉴얼 개발(초안)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조기 감지용 화재 감지시스템 및 소화기술 개발]- 실증시험을 통한 배터리 화재발생 메커니즘 분석과 이를 고려한 화재 조기감지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전기적 특성, 연기 수소계열 가스감지 기반 ESS 배터리 보호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 조기감지용 화재 감지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시험에 적용하여 센서류에 대한 신뢰성 확보- 비화재보 시나리오를 제공 및 반영하여, 정확한 화재감지 서비스 제공- 화재감지 시, 위치 및 이동용 ESS 내부 상태를 인근 소방서에 전송하여 신속한 출동 여건 마련- 화재진압 시, 내부 가연성가스 농도나 배터리팩 압력 수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소방대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방관의 안전 확보- 신규/기존 ESS 모두 적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소방시설 개선 및 고도화에 따른 소방시장 활성화- 이동용 ESS 자동소화시스템 보급으로 피해확대 방지, 피해 최소화 및 시장 확대 활성화 기대- 이동용 ESS 전용 소화 개발 및 최적화로 이동형 ESS 수출시장 활성화 기대-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용한 ESS, 전기차 등 종합적인 화재감지에 활용 가능- 이동용 ESS에 적절한 감지시스템 기법개발 및 기반조성- 소방관련 업체에서 화재 조기 감지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시험을 통한 Track Record의 Big data를 확보하여, 해외 시장진출에 조우- ESS 사업자 등과의 연계를 통한 공공데이터 제공 및 ESS의 도입에 대한 확산 사업 모델로의 발전 가능- 이동용 ESS 전용소화기술 확보로 ESS 화재 진압할 수 있는 기술 확보- 이동용 ESS 전용 통합시스템 구축으로 유지관리의 효율성 및 설치 운용의 기준(안) 제공- 이동형 ESS 뿐만 아니라 고정형 ESS에 적용하여 ESS 안전관련 사업부분에서 적용[이동형 리튬이온 ESS 국가 화재 기준안 및 화재진압 대응 매뉴얼 개발]- 실증시험 기반 화재 진행절차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응 매뉴얼 개발- 이동용 ESS에 대한 이해와 화재 특성교육을 통해 관련 화재 시 소방관의 판단능력 배양- 이동용 ESS 화재에 적절한 진압 대응법을 제시하여 소방관의 안전확보 및 화재확산 억제- 화재발생 시 배터리팩 내부 압력과 발화지점을 소방관에게 제공함으로 안전을 확보 - 이동용 ESS 화재진압 대응 매뉴얼 개발 및 소방관 실습교육- 화재 위험도가 높은 이동용 ESS 및 유사 배터리 화재에서 소방관의 안전 및 대처능력 향상- 이동용 ESS의 화재사고 시나리오를 통해 전력 수용가와의 협조체제, 대응, 작전절차 확립 - 이동용 ESS 관리자(운전자) 및 시민 교육으로 화재발생 시 대응 능력 함양

  • 차량으로 운반활용되는 이동형 리튬 이온 ESS화재 진압 기술 및 대응 매뉴얼 개발

    (1761002600)

    2022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

    김미성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소방청

    200000000 (30575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6)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사고사례 및 안전기준 조사 및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 시나리오 개발(셀, 모듈단위)-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 및 분석 (참여기관 공동수행)-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모드와 화재 사고 상관관계 규명 및 영향 인자 파악-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전이 및 영향 분석--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정성적/정량적(FTA, FMEA 등) 위험성 평가 단체표준 개발(초안)[공동연구개발기관1 (주)한국에너지솔루션주식회사)]-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억제 및 소화기술(또는 화재진압 기술) 개발 방향 정립- 국내외 이동형 리튬이온 ESS 최적 소화액(5종) 특성 및 성분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을 통한 소화액(5종) 비교시험[공동연구개발기관2 (한국소방기구제작소(주))]- 화재 조기 감지를 위한 센서 선정과 감지 알고리즘 개발- 비 화재 환경에서 조기감지센서 시험기술 개발[공동연구개발기관3 ((주)에스씨에스)]- EV용 단전지 셀에 대한 과충전 및 열폭주 유도 시 발생하는 스웰링(Swelling)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값 측정 장치 방안 도출 및 특성 시험 (ESS 화재 특성시험)- EV용 배터리 모듈에 대한 과충전 및 열폭주 유도 시 발생하는 스웰링(Swelling)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값 측정 장치 방안 도출 및 특성 시험(ESS 화재 특성시험)[공동연구개발기관4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을 통한 화재 위험 요소 분석-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화재 위험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정립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동형 리튬이온 ESS와 관련한 기존 안전기준 조사및 분석>-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 시나리오 개발(EV 셀, 모듈단위) I오프가스 조성 분석, EC62619, UL9540A등에 의한 이동형 리튬이온 ESS에 적합한 화재진압실험 시나리오 개발 Cell, 모듈 외부 가열 열폭주 유도를 통한 화재 메커니즘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 및 분석 (참여기관 공동수행) 새배터리와 재사용 배터리의 열폭주 특성 분석(파우치형, 각형)/ Timeline별, 온도별 열폭주 진행 측정(파우치형, 각형) 모듈단위 실험을 통한 열폭주전파 및 화재 특성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모드와 화재 사고 상관관계 규명 및 영향 인자 파악 리튬이온 배터리의 화재 사례(가전제품, ESS, 전기차 등)의 영향 인자별(용량, SOC, 계절, 안전장치 구성 등) 화재모드 분류 리튬이온 배터리 (셀 모듈단위) 화재모드 구현으로 스웰링, 오프가스 성분 및 화재추이 분석 -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전이 및 영향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정성적/정량적(FTA, FMEA 등) 위험성 평가 단체표준 개발(초안)[공동연구개발기관1(한국에너지솔루션주식회사)]-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억제 및 소화기술(또는 화재진압 기술) 개발 방향 정립- 국내 외 이동형 리튬이온 ESS 최적 소화액(5종) 특성 및 성분 분석 조사, 구입 > 액화 팽창질석, 침윤제, 액화질소가스, 강화액, 물 등, 소화액별 특성, 장 단점, 주의사항, 가격 대비 성능, 화학반응 등 분석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을 통한 소화액(5종) 비교시험[공동연구개발기관2 (한국소방기구제작소)]- 화재 조기 감지를 위한 센서 선정과 감지 알고리즘 개발 셀, 모듈 열폭주 실험을 통한 VOC센서와 IR센서 성능비교 및 검증시험 오프가스 방출 단계 및 종류에 따른 감도비교 시험 후 센서 선정/ 출력방식에 따른 가스센서 성능개선 및 감지 알고리즘 개발- 비 화재 환경에서 조기감지센서 시험기술 개발 : 실제 오프가스 방출 모사방법 개발(VOC, CO2, H2 등의 혼합 및 가열)- 시험용 챔버 제작 및 오프가스 농도 측정기 선정- 국내외 조기감지 오프가스 센서 비교시험 분석 (공기 흡입식,확산식) , 표준가스를 이용한 농도측정 및 데이터 수집장치 개발[공동연구개발기관3 ((주)에스씨에스)]- EV용 단전지 셀에 대한 과충전 및 열폭주 유도 시 발생하는 스웰링(Swelling)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값 측정 장치 방안 도출 및 특성 시험(ESS 화재 특성시험)[공동연구개발기관4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특성시험을 통한 화재 위험 요소 분석-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열폭주 화재 위험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정립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화재 진압 기술 정립) -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화재 안전 방안 정립

    [ 이동형 리튬이온 ESS 위험요소 분석 및 화재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이동형 ESS 화재 발생 시 대형화재로 진행됨에 따라 초기 화재진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최적 소화액 개발을 통해 조기 화재진압 및 시민의 안전과 재산 확보- 이동형 ESS 화재로 방지로 인한 ESS 보급 확대 추진 가능- 국내외 표준(KSGA, KBIA, KEPIC, IEC, UL, NFPA 등) 및 국외 DNV-GL 및 UL 등의 열전이 시험절차를 반영한 이동형 ESS용 배터리 화재진압 실증시험 시나리오를 개발- 이동용 ESS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화재 조기감지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동용 ESS에 적용 가능- 화재진압 시스템의 구성품 부품별 성능평가시험을 통한 화재 조기감지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본 과제에서 개발되는 화재안전성 평가기술을 이동형 ESS 뿐만 아니라 고정형 ESS에 적용하여 ESS 산업선장을 주도함- 이동형 ESS 화재 안전성 확보기술 및 평가기술 개발을 통한 ESS 종합 운영기술 우위 확보- 배터리 화재메커니즘 기반 화재 조기감지 및 방지 운영기술- 실증기반 이동형 ESS 배터리 안전성 평가방법 및 평가지표- 실증 및 현장실측 기반 이동형 ESS 시설안전기준 및 정밀검사방법- 이동형 ESS의 전체 안전 시스템은 화재조기감지시스템, 화재 억제 및 소화기술 등으로 구성되는데,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 운용성에 대한 성능과 안전성 평가기술 확보

  • 차량으로 운반활용되는 이동형 리튬 이온 ESS화재 진압 기술 및 대응 매뉴얼 개발

    (2760000014)

    2024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

    김미성

    (재단)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소방청

    300000000 (364461000)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동형 ESS 차량 화재폭발 위험성 평가 및 화재/폭발 시뮬레이션 진행 -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정성적/정량적(FTA, FMEA 등) 위험성 평가 [공동연구개발기관1 (한국에너지솔루션주식회사)]- EV 배터리팩 열폭주 화재 단계별(1, 2단계) 적정 분사용량 산정 [공동연구개발기관2 (한국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 리튬이온 ESS 화재 실증용 국소배기 장치 검검 및 보수 [공동연구개발기관3 (한국소방기구제작소)]-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조기 감지시스템 고도화 [공동연구개발기관4 ((주)에스씨에스)]- EV용 배터리 팩 내부 압력 감지용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지식재산권 확보 [공동연구개발기관5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방대원의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진압 교육 진행- 이동형 리튬이온 ESS 국가 화재안전기준(안) 개발 [공동연구개발기관6 (한국전기산업연구원)]- 이동형 ESS 화재 진압 대응 매뉴얼 개발

    [주관연구개발기관(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o 이동형 ESS 차량 화재폭발 위험성 평가 및 화재/폭발 시뮬레이션 진행 - 이동형 ESS 차량의 고장모드 별 위험성 평가 및 소화장치/약제의 특성 분석-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열폭주 진행시, 가연성가스/화재 확산 분포 분석- 소화약제의 냉각효과 및 외부 소방대원의 주수진압 설비 근거 확보- 60kWh급 이상 실화재 및 진압 결과 최종 분석 및 KFI 보고서 검증 o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정성적/정량적(FTA, FMEA 등) 위험성 평가 - 화재재현 실증실험 데이터 분석- 위험요인에 따른 피해 예측 및 개선사항 재검토, 위험도 수치화 및 최종 위험성 평가-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의 고장모드 및 영향분석을 위한 지침서 단체표준 제정[공동연구개발기관1 (한국에너지솔루션(주))] o 배터리팩 열폭주 화재 단계별(1, 2단계) 적정 분사용량 산정- EV 배터리팩 1단계(Off-Gas 감지시 냉각가스 분사) 적정 분사용량 산정- EV 배터리팩 2단계(열폭주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 분사) 적정 분사용량 산정[공동연구개발기관2 (한국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 o 리튬이온 ESS 화재 실증용 국소배기 장치 검검 및 보수- 발열량 측정용 국소배기장치 및 연소가스 측정 시스템 점검 및 보수● 국소배기장치(후드, 5×8 m) 및 유량 측정용 덕트 점검 및 보수● 국소배기장치 연소가스 배기량 정상 작동 여부 점검 ● 배터리 화재 물리량 측정용 센서 데이터 도출[공동연구개발기관3 (한국소방기구제작소)] o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조기 감지시스템 고도화- 기존 센서노드 서버에 카메라 연동을 통한 영상 데이터 통합- 외부 컴퓨터와 서버 연동을 통한 원격제어 구현[공동연구개발기관4 ((주)에스씨에스)] o EV용 배터리 팩 내부 압력 감지용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지식재산권 확보- 국내/외 EV용 배터리 팩 내부 압력 감지용 모니터링 시스템과 관련한 논문, 특허 등 해당 기술에 대한 시장/기술 동향 조사- EV용 배터리 팩 내부 압력 감지용 모니터링 시스템 학술 대회 논문 발표[공동연구개발기관5 (한국소방산업기술원)] o 소방대원의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진압 교육 진행- 이동형 리튬이온 ESS의 화재 발생 시나리오 정립- 개발된 ESS 화재진압 대응 매뉴얼에 대한 교육 (소방학교) o 이동형 리튬이온 ESS 국가화재안전기준(안) 개발 - 국내 산학연 전문가 공청회 개최 의견 수렴[공동연구개발기관6 (한국전기산업연구원)] o 이동형 ESS 화재진압 대응 매뉴얼 개발 - 화재 진압 시 초동 대응 방안 도출- 소방대원 대응 훈련 매뉴얼 개발

    [경제적 산업적 측면][ 이동형 리튬이온 ESS 위험요소 분석 및 화재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화재안전성 평가기술을 통해 이동형 ESS의 화재를 방지함으로 화재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방지 - 우리나라 공인시험기관에서 이동형 ESS 화재안전성 시험을 진행함으로 공인 시험시장 형성 - 화재 및 안전관련 장비는 이동형 ESS를 보급시키는 가교역할을 하여 현재 국내 주력상품인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의 활성화와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 공인시험기관과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이 진행하는 평가로 객관적인 검증과 트랙 레코드 확보를 통한 이동형 ESS 산업 활성화 및 국내외 사업추진 역량 제고- 국내 기술기준의 보완으로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수출시장 기여 및 이동형 ESS관련 산업 활성화[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조기 감지용 화재 감지시스템 및 소화기술 개발]- ESS 및 소방기구 제작관련 기업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제공- 이동용 ESS 화재 조기감지 기술을 통해 재산 및 인명피해 경감, 안정적 수익 기반 확보- ESS 및 소방기구 제작관련 기업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제공- 이동용 ESS 화재 진압기술을 통해 재산 및 인명피해 경감, 안정적 수익 기반 확보- 현재 정부에서 주도하고 있는 EV자동차 및 ESS 보급사업 등 다양한 용도의 ESS에 대하여, 현장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재산 및 인명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음- 이동형 ESS 화재 조기감지 및 진압장치 개발로, 이동형 ESS화재 뿐 아니라 전기자동차 화재, 고정형 ESS, 배터리재활용공정 등 각 배터리 산업 별 화재대응 및 화재진압장치 공급으로 화재위험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동형 리튬이온 ESS 기준안 및 화재진압 대응 매뉴얼 개발]- 현장 소방대원의 체계적인 훈련을 위한 교재용으로 사용함으로써 교육비용 감소 효과- 신속한 화재 진압을 통해 화재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경제적 손실 감소 효과- 화재발생 시 적절한 소방인력 투입으로 잉여인력 및 차량 발생 방지 [사회적 측면][이동형 리튬이온 ESS 위험요소 분석 및 화재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이동형 ESS 화재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을 고정형 ESS에 적용하여 정부 “재생에너지 3020 정책”에 부응하기 위한 ESS 투자유도 및 시장 확대 가능- 이동형 ESS의 안전성 강화로 재산 및 인명피해 경감[ 이동형 리튬이온 ESS 화재 조기 감지용 화재 감지시스템 및 소화기술 개발]- 이동용 ESS 화재 최적 소화액 및 소화시스템 개발로 2차 피해 감소- 소화약제, 조기감지센서 및 ESS 관련 제작사에게 새로운 시장 제공과 고용창출 효과 예상[ 이동형 리튬이온 ESS 기준안 및 화재진압 대응 매뉴얼 개발]- 이동용 ESS 화재발생 위험 및 피해 감소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안 제시- 화재진압 대응 매뉴얼 개발로 시민들의 ESS 안전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1761001983)

    2020

    에너지신산업소방대응기술개발(R&D)

    홍성호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소방청

    1000000000 (133720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9)

    - ESS 화재위험 요인 분석- 배터리 종류, 사양별 열폭주 특성 정립- ESS 화재 적용 최적소화장치 도출 및 시험-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시 유해 독성가스 분석- ESS 자동소화시스템 조사 분석-조기화재감지를 위한 시뮬레이션

    - ESS 화재위험 요인 분석 국내외 ESS 화재사례, 화재안전기준, 화재진압기술 및 화재감지 기술 관련 조사 연구 ESS 화재 폭발 위험성 분석 ESS 충전(SOC조건) 제어에 따른 화재 예방 효과 분석 ESS 화재 폭발 특성을 고려한 현 소화약제 및 소화 설비 적용성 및 한계성 조사 ESS 시스템 운영기록(EMS) 로그 분석을 통한 이상 동작 여부 및 발화 연관성 도출- 배터리 종류, 사양별 열폭주 특성 정립 ESS 사용용도에 따른 배터리 외형 타입 및 물질별 조사 제조사별 리튬이온 배털리 셀 발화실험, 발화단계별 특성 정립 - ESS 화재 적용 최적소화장치 도출 및 시험 ESS 방호용 소화약제 선정/냉각성능 검증, 평가 Cell 방호용 전용 소화장치 제작, 성능평가-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시 유해 독성가스 분석- ESS 자동소화시스템 조사 분석 - 셀 화재 감지 인자 발생 시험 결과분석을 통한 배터리 조기화재 감지센서(다중 센서 기반) 선정- 유해 가스 종류 및 인체영향에 대한 위험성과 평가방안 분석 - 셀 발화에 대한 FDS/물리적 화재모델링 적용 방안 연구 - ESS 소화설비 FDS/물리적 모델링 이론 분석 - (수치해석 기반) 정상상태에서 배터리 충·방전시 전기화학 및 열역학 현상 예측이 가능한 다중물리 모델 개발

    - 특수목적물에 대한 화재안전 기술 향상에 따른 국내 소방기술 발전- 열폭주 방지기술, ESS 화재감지 및 진압기술 개발에 따른 국제적으로 경쟁력있는 기술 확보- 국내 ESS 시장 정상화를 통한 기업들의 손실 감소에 기여- 국외 ESS 수출 증대를 위한 안전기술 확보로 국외 ESS 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 사회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에너지 보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 충족

  • ESS 화재예방용 일체형 off-가스 센서 및 화재징후 예측기술 개발

    (1425172723)

    2023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박대전

    이앤에이치(주)

    중소벤처기업부

    250000000 (293352000)

    1. 주관기관(이앤에이치) : _x005F - 일체형 off-가스 센서 개발_x005F2. 공동기관(이노시그널) : _x005F - AI 기반 화재징후 예측기술 개발_x005F3. 사업화 공동기관(화정산전) : _x005F - 개발제품 판로 확보 및 국내외 수요처 발굴 등 사업화 추진

    1. 주관기관(이앤에이치) : _x005F - 시스템 통합설계기술 개발_x005F - 탄소복합재를 이용한 off-가스 센서 설계기술 개발_x005F - 센서 구조설계기술 개발_x005F - 센서 패키징 기술 개발_x005F - 파라메터 통합제어기술 개발_x005F - 센서 시작품 제작_x005F - 통신인터페이스 기술 개발_x005F - 통합제어장치 기술 개발_x005F - 시스템 통합설계 사양 확정_x005F - ESS 센싱모듈 시제품 제작_x005F - ESS 이상상태 모사용 시험장치 제작기술 개발_x005F2. 공동기관(이노시그널) : _x005F - 측정데이터 후처리 및 변수 가공_x005F - 배터리 어뷰즈 감지 AI 모델 개발_x005F - 엣지 디바이스 개발_x005F3. 사업화 공동기관(화정산전) : _x005F - 국내외 영업망 확보 _x005F - AI 기반 화재징후 예측 SW 및 통합 제어 시스템 판로 개척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_x005F1) 국내 안전기준 인증 통한 신뢰성 확보_x005F2) 현장 실증 동반된 데이터 구축_x005F3) 개발목표 달성 위한 네트워크 협력_x005F_x005F2.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_x005F1) 기술적 관점 : ESS용 고정밀도 스마트 센서모듈에 기반한 ESS 안전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중대형 배터리 분야의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 유지가 가능함_x005F2) 경제적 관점 : 화재징후 사전진단시스템은 국내·외 ESS 안전장치 제품 중에 최초로 시도되는 신개념의 독창성과 차별성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원천특허의 확보를 통해 고부가가치 시장선점 가능_x005F3) 사회적 관점 : 배터리 고장 및 화재징후 사전진단 기술 접목을 통해 최근 잦은 ESS 화재로 인한 사회의 불신 여론을 안정시키고 ESS 시장 확보와 친환경 에너지 활용 활성화 기대_x005F4) 정책적 관점 : ESS는 정부가 추진하는 탈원전, 탄소중립에 꼭 필요한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있어 필수적인 장비로서 ESS의 사용 효율을 높이는 것은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비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영세한 신재생 에너지 사업자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음

  • ESS 화재예방용 일체형 off-가스 센서 및 화재징후 예측기술 개발

    (2420010997)

    2024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박대전

    이앤에이치(주)

    중소벤처기업부

    117320000 (146654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1. 주관기관(이앤에이치) : - 일체형 off-가스 센서 개발 - 제품 통합평가 및 적용성 검증2. 공동기관(이노시그널) : - AI 기반 화재징후 예측기술 개발3. 사업화 공동기관(화정산전) : - 개발제품 판로 확보 및 국내외 수요처 발굴 등 사업화 추진

    1. 주관기관(이앤에이치) : - ESS 화재사고 사전예방용 화재징후예측 시스템 시제작 - ESS 안전시스템 시제품의 센서와 화재징후 예측장치 연동 여부, 탐지 정밀도, 예측 정확도, 통신네트워크 등 통합성능평가 및 실증2. 공동기관(이노시그널) : - 실시간 배터리 이상 및 화재사고 사전예측 솔루션 개발3. 사업화 공동기관(화정산전) : ­ 실증 지원 및 현장별 데이터 구축 ­ 품질관리 및 마케팅, 영업 및 유통·판매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1) 국내 안전기준 인증 통한 신뢰성 확보2) 현장 실증 동반된 데이터 구축3) 개발목표 달성 위한 네트워크 협력2.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1) 기술적 관점 : ESS용 고정밀도 스마트 센서모듈에 기반한 ESS 안전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중대형 배터리 분야의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 유지가 가능함2) 경제적 관점 : 화재징후 사전진단시스템은 국내·외 ESS 안전장치 제품 중에 최초로 시도되는 신개념의 독창성과 차별성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원천특허의 확보를 통해 고부가가치 시장선점 가능3) 사회적 관점 : 배터리 고장 및 화재징후 사전진단 기술 접목을 통해 최근 잦은 ESS 화재로 인한 사회의 불신 여론을 안정시키고 ESS 시장 확보와 친환경 에너지 활용 활성화 기대4) 정책적 관점 : ESS는 정부가 추진하는 탈원전, 탄소중립에 꼭 필요한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있어 필수적인 장비로서 ESS의 사용 효율을 높이는 것은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비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영세한 신재생 에너지 사업자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음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 기본폴더

  • 스크랩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