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mRNA 구조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 ○ mRNA 구조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 mRNA 구조체의 평가 대조물질 제작○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 제작- siRNA 구조 도입을 통한 신규 mRNA 구조체 도출: 기존 mRNA 구조체와 전혀 다른 차별화된 구조체 기술로 등록특허를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용 mRNA 백신 개발에 활용하여 기존 특허를 회피하고자 함. ○ mRNA 구조체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 물리,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분석(mRNA 길이, 구조, 순도) - mRNA 구조체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 ○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 -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체액성/세포성 면역원성 비교 분석 (3세부와 협력)○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안정성 시험 - mRNA 구조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mRNA 구조체 종류별 온도 안정성 비교 분석- 여러 보관온도조건에서의 mRNA 구조체의 특성 변화 측정 - mRNA integrity, dsRNA contaminant, purity 등 mRNA 백신 전달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 ○ mRNA 백신 전달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 신규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 - 기존 알려진 mRNA 백신용 전달체인 ACL0315 및 SM102의 특허 회피가 가능한 246C10을 기반으로 한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 ○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들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 이온화지질의 pKa, 지질나노입자의 크기 및 분포 분석, mRNA 봉입률 및 in vitro 리포터 단백질 발현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 평가용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 3가지 세포주 및 2가지 체세포를 기반으로 한 in vitro 독성 평가 및 in vivo systemic 및 Intramuscular injection 후 간 수치 비교 및 조직학적 분석을 위한 SOP 확보○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의 안정성시험 - 평가용 후보물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온도, pH 등- 동결건조 제형으로의 활용방안 분석 - 장기안정성시험/가속안정성시험 등 실시: 제형화 후 4주 냉장보관, 동결보관시 안정성 시험, 동결건조시 안정성 시험 등. 신규 구조체 및 전달체를 사용한 백신 후보물질 평가시험법 개발 ○ mRNA 백신 후보물질 제조 및 특성화- 다양한 구성성분 조성비의 LNP 기반 mRNA 백신 후보물질 제조- LNP(mRNA-LNP)의 물리·화학·생물학적 특성화 ○ mRNA 백신 후보물질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평가- mRNA 백신 후보물질의 안정성 시험- mRNA 백신의 접종에 의한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원성 평가○ 상용 백신과 mRNA 백신 후보물질의 유효성 비교 - 개발된 mRNA 백신 후보물질과 기존 상용 백신과의 유효성 비교 분석- mRNA 백신 개발 및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정보집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