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항목 항목설명
과제명신청 및 협약 과제를 기준으로 국문 세부과제명의 정식명칭(국문과제명과 영문과제명 구분)
연구책임자명연구책임자명
과제관리기관명해당 사업의 과제 및 성과정보를 등록·관리하는 기관의 정식 명칭
과제수행기관연구개발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 명칭
과제수행기관
사업자등록번호
과제수행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
※ 공백없이 '-'를 포함(예: 123-45-67890)
※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는 외국기업의 경우 전문기관에서 관리하는 기관 ID값을 입력
부처명연구개발사업의 기획, 평가 및 관리에 관한 제반사항을 주관하는 중앙행정기관의 명칭 예)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명세부사업명
(기관)세부과제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세부과제번호
과제고유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과제번호
한글키워드한글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영문키워드영문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연구목표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목표에 대한 요약
연구내용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내용에 대한 요약
기대효과과제 수행 시 기대효과요약
※ 연구개발 결과의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등에 대한 요약
※ 관련 산업의 공정 과정 개선, 사업화 및 파급효과, 응용분야에서 거두게 될 경제적 가치 등을 기술
  • 검색건수

    • 32건

과제

검색옵션

건수 :

도움말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기준연도 / 예산사업명 / 연구책임자 / 과제수행기관 / 부처명 / 정부투자연구비(총연구비) 연구개발성과 연구내용 계속과제 묶어보기란? 보안과제(국방 비밀과제 포함)는 검색목록에서 제외됩니다.

동일한 과제가 연도별로 중복되어 나와서 불편하시나요?
해당 기능을 클릭해보세요!

건수 :

  • mRNA 백신개발을 위한 지질나노입자 후보물질 개발 평가

    (1776000071)

    2021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건립및운영(R&D)

    이혁진

    이화여자대학

    질병관리청

    200000000 (200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 특허(1)

    mRNA 백신용 안전성과 효율성이 확보된 지질나노입자 (LNP) 전달체의 개발을 통해 코로나19를 포함한 신종감염병 신속 대응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1. mRNA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한 이온화 지질 라이브러리 확보- 다양한 아민헤드와 지질구조의 조합을 통한 분해성 이온화 지질 합성- 이온화 지질을 기반으로 한 LNP 제형 개발- LNP 의 기초 물성분석 및 제조 조건 영향 확인- LNP 제조 효율 개선2. 리포터 mRNA를 활용한 LNP의 전달 효율 평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LNP의 전달 효율 측정을 위한 평가법 확립- LNP 의 세포 내 전달효율 확인을 위해 세포주 4종을 기반 전달효율 확인- 세포 내 전달효율 최적화 및 이를 기반한 실험동물에서 전달효율 측정3. LNP 특허 분석 및 특허 회피 전략 분석-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아미노 알코올 기반 LNP 등록 특허 선행조사- 과제 수행 도출물인 LNP의 특허 회피 전략 분석

    ○ mRNA 백신 주요 요소기술인 이온화지질 발굴을 통해 백신 주권 확보○ mRNA 백신 생산에 소요되는 원료물질들의 자체 생산을 통해 효율적인 공급라인구축과 높은 가격 경쟁력이 가능○ LNP기반 mRNA 백신은 차세대 비바이러스성 전달체로서 LNP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mRNA 전달체 개발은 앞으로 다양한 질환 치료 및 감염병백신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 mRNA 백신개발을 위한 지질나노입자 후보물질 개발 평가

    (1776000214)

    2022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건립및운영

    이혁진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질병관리청

    200000000 (20000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2)

    mRNA 백신용 안전성과 효율성이 확보된 지질나노입자 (LNP) 전달체의 개발을 통해 코로나19를 포함한 신종감염병 신속 대응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1. mRNA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한 이온화 지질 라이브러리 확보- 다양한 아민헤드와 지질구조의 조합을 통한 분해성 이온화 지질 합성- 이온화 지질을 기반으로 한 LNP 제형 개발- LNP 의 기초 물성분석 및 제조 조건 영향 확인- LNP 제조 효율 개선2. 리포터 mRNA를 활용한 LNP의 전달 효율 평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LNP의 전달 효율 측정을 위한 평가법 확립- LNP 의 세포 내 전달효율 확인을 위해 세포주 4종을 기반 전달효율 확인- 세포 내 전달효율 최적화 및 이를 기반한 실험동물에서 전달효율 측정3. LNP 특허 분석 및 특허 회피 전략 분석-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아미노 알코올 기반 LNP 등록 특허 선행조사- 과제 수행 도출물인 LNP의 특허 회피 전략 분석

    ○ mRNA 백신 주요 요소기술인 이온화지질 발굴을 통해 백신 주권 확보○ mRNA 백신 생산에 소요되는 원료물질들의 자체 생산을 통해 효율적인 공급라인구축과 높은 가격 경쟁력이 가능○ LNP기반 mRNA 백신은 차세대 비바이러스성 전달체로서 LNP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mRNA 전달체 개발은 앞으로 다양한 질환 치료 및 감염병백신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 신속·범용 mRNA 백신 개발위한 차세대 RNA 구조체 전달체 개발

    (1711199972)

    2023

    감염병차세대백신기초원천핵심기술개발사업

    김현철

    서강대학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00000000 (800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9) , 특허(3)

    신·변종 바이러스 감염병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속·범용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차세대 RNA 구조체 및 전달체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함.혁진적 전략으로 mRNA 백신 항원을 선정하고 요소기술들을 개발/융합하여 1세대 mRNA 백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변이 바이러스의 출원 및 미래에 도래할 수 있는 팬데믹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신속, 범용 mRNA 백신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신속·범용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차세대 RNA 구조체 및 전달체 개발mRNA 백신 효과 증대를 위하여 mRNA 백신을 세포막을 바로 투과하여 세포질내로 전달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회전환 증폭 기반 자기조립 mRNA 입자 제조 공정을 통해 표적 항원을 함유한 고안정성 mRNA 합성 기술 확보벡터 최적화를 통해 mRNA 변형 없이 고요율 항원 발현이 가능한 mRNA 입자 기반 최적 백신 후보 물질 도출mRNA 백신 전달을 위한 면역유도 강화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개발차세대 mRNA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동물모델에서의 유효성 및 방어능 검증[1차년도]o 세포막 직접 투과 기술 최적화o 회전판 증폭 기반 표적 인자 함유 고농축 mRNA 자기조립 기술 확립o 신규 이온화 지질 합성 및 발굴o 범용 인플루엔자 항원 선정 및 mRNA 제작 & 범용백신 효능평가 동물모델 구축[2차년도]o mRNA 백신전달체에 세포막 직접 투과 기술 접목 및 검증o 안정성 평가 및 Vector miniaturization를 통한 mRNA입자 기반 백신 플랫폼의 발현능 평가o 이온화 지질 후보물질 2종 확정 및 in vitro & in vivo 유효성 시험o mRNA 기반 범용 백신의 면역원성 평가 및 방어면역지표 분석[3차년도]o 세포막 직접 투과 기술이 접목된 mRNA 백신전달체의 in vivo 효능 및 약동학 분석o Vector 최적화를 통한 항원 지속 발현형 mRNA 입자 제조 기술 고도화o 지질나노입자(LNP)제형 최적화o mRNA 기반 범용 백신의 최적 레지맨(regimen) 도출[4차년도]o 세포막 직접 투과 기술이 접목된 mRNA 백신 전달체의 제조 공정 확립o mRNA입자 대량생산 공정 개발 및 개발된 mRNA 입자 검증o 범용 백신 후보 물질에 대한 독성 평가o 최적의 방어 효능을 보이는 mRNA 기반 범용 백신 후보 도출

    이번 COVID-19와 같은 팬데믹 사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국가 대응력 제고mRNA 백신 개발 플랫폼 구축으로 국가적 신.변종 감염병 대응력 제고백신 개발국 우선주위 등에 따른 국외생산 백신 공급 제한 상황 자체 해결 가능mRNA 백신 원천기술 기술사업화로 국내 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mRNA 구조체/전달체/생산기술/유효성 및 방어능 검증시스템의 난치 암, 유전질환 mRNA 백신/치료제 개발 연계 적용국내 RNA 기반 치료제 개발 기술 동반 상승

  • 신속·범용 mRNA 백신 개발위한 차세대 RNA 구조체 전달체 개발

    (1711160207)

    2022

    감염병차세대백신기초원천핵심기술개발사업

    김현철

    서강대학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00000000 (80000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3) , 연구시설장비(1)

    신·변종 바이러스 감염병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속·범용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차세대 RNA 구조체 및 전달체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함.혁진적 전략으로 mRNA 백신 항원을 선정하고 요소기술들을 개발/융합하여 1세대 mRNA 백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변이 바이러스의 출원 및 미래에 도래할 수 있는 팬데믹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신속, 범용 mRNA 백신 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신속·범용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차세대 RNA 구조체 및 전달체 개발mRNA 백신 효과 증대를 위하여 mRNA 백신을 세포막을 바로 투과하여 세포질내로 전달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회전환 증폭 기반 자기조립 mRNA 입자 제조 공정을 통해 표적 항원을 함유한 고안정성 mRNA 합성 기술 확보벡터 최적화를 통해 mRNA 변형 없이 고요율 항원 발현이 가능한 mRNA 입자 기반 최적 백신 후보 물질 도출mRNA 백신 전달을 위한 면역유도 강화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개발차세대 mRNA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동물모델에서의 유효성 및 방어능 검증[1차년도]o 세포막 직접 투과 기술 최적화o 회전판 증폭 기반 표적 인자 함유 고농축 mRNA 자기조립 기술 확립o 신규 이온화 지질 합성 및 발굴o 범용 인플루엔자 항원 선정 및 mRNA 제작 & 범용백신 효능평가 동물모델 구축[2차년도]o mRNA 백신전달체에 세포막 직접 투과 기술 접목 및 검증o 안정성 평가 및 Vector miniaturization를 통한 mRNA입자 기반 백신 플랫폼의 발현능 평가o 이온화 지질 후보물질 2종 확정 및 in vitro & in vivo 유효성 시험o mRNA 기반 범용 백신의 면역원성 평가 및 방어면역지표 분석[3차년도]o 세포막 직접 투과 기술이 접목된 mRNA 백신전달체의 in vivo 효능 및 약동학 분석o Vector 최적화를 통한 항원 지속 발현형 mRNA 입자 제조 기술 고도화o 지질나노입자(LNP)제형 최적화o mRNA 기반 범용 백신의 최적 레지맨(regimen) 도출[4차년도]o 세포막 직접 투과 기술이 접목된 mRNA 백신 전달체의 제조 공정 확립o mRNA입자 대량생산 공정 개발 및 개발된 mRNA 입자 검증o 범용 백신 후보 물질에 대한 독성 평가o 최적의 방어 효능을 보이는 mRNA 기반 범용 백신 후보 도출

    이번 COVID-19와 같은 팬데믹 사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국가 대응력 제고mRNA 백신 개발 플랫폼 구축으로 국가적 신.변종 감염병 대응력 제고백신 개발국 우선주위 등에 따른 국외생산 백신 공급 제한 상황 자체 해결 가능mRNA 백신 원천기술 기술사업화로 국내 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mRNA 구조체/전달체/생산기술/유효성 및 방어능 검증시스템의 난치 암, 유전질환 mRNA 백신/치료제 개발 연계 적용국내 RNA 기반 치료제 개발 기술 동반 상승

  • 새로운 mRNA 구조체 전달체를 이용한 백신 평가기술 개발 연구

    (1475013976)

    2023

    감염병대응혁신기술지원연구

    이혁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의약품안전처

    180000000 (180000000)

    ○ 면역유도 강화 신규 mRNA 구조체 및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개발 _x005F○ 신규 mRNA 백신의 특성을 고려한 유효성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분석 시험법 개발 및 가이드라인 확립

    mRNA 백신 전달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_x005F○ mRNA 백신 전달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_x005F○ 신규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_x005F● 기존 알려진 mRNA 백신용 전달체인 ACL0315 및 SM102의 특허 회피가 가능한 246C10을 기반으로 한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 _x005F○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들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_x005F● 이온화지질의 pKa, 지질나노입자의 크기 및 분포 분석, mRNA 봉입률 및 in vitro 리포터 단백질 발현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_x005F○ 평가용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_x005F● 3가지 세포주 및 2가지 체세포를 기반으로 한 in vitro 독성 평가 및 in vivo systemic 및 Intramuscular injection 후 간 수치 비교 및 조직학적 분석을 위한 SOP 확보_x005F○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의 안정성시험_x005F● 평가용 후보물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온도, pH 등_x005F● 동결건조 제형으로의 활용방안 분석 _x005F● 장기안정성시험/가속안정성시험 등 실시: 제형화 후 4주 냉장보관, 동결보관시 안정성 시험, 동결건조시 안정성 시험 등.

    [기대효과]_x005F○ mRNA 백신 주요 요소기술인 신규 mRNA 구조와 지질나노입자 발굴을 통해 국내 기술을 기반으로한 mRNA 백신 개발 및 백신 주권 확보_x005F○ mRNA 백신의 품질 평가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플랫폼 예방백신의 개발 촉진_x005F○ 특허회피가 가능한 mRNA 백신 원천특허 확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mRNA 백신 임상연구 진입을 유도 _x005F○ 발굴된 지질나노입자를 이용한 다양한 RNA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활용_x005F[활용계획]_x005F○ mRNA 백신 품질평가 시험법 SOP 보급 (안정성 및 유효성)_x005F○ mRNA 및 지질나노입자 관련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보고서 제공_x005F○ SCI/E 논문 발표 3건, 특허 출원 2건 등

  • 새로운 mRNA 구조체 전달체를 이용한 백신 평가기술 개발 연구(1)

    (1475013334)

    2022

    감염병대응혁신기술지원연구

    이혁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의약품안전처

    180000000 (18000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2)

    ○ 면역유도 강화 신규 mRNA 구조체 및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개발 ○ 신규 mRNA 백신의 특성을 고려한 유효성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분석 시험법 개발 및 가이드라인 확립

    새로운 mRNA 구조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 ○ mRNA 구조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 mRNA 구조체의 평가 대조물질 제작○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 제작- siRNA 구조 도입을 통한 신규 mRNA 구조체 도출: 기존 mRNA 구조체와 전혀 다른 차별화된 구조체 기술로 등록특허를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용 mRNA 백신 개발에 활용하여 기존 특허를 회피하고자 함. ○ mRNA 구조체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 물리,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분석(mRNA 길이, 구조, 순도) - mRNA 구조체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 ○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 -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체액성/세포성 면역원성 비교 분석 (3세부와 협력)○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안정성 시험 - mRNA 구조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mRNA 구조체 종류별 온도 안정성 비교 분석- 여러 보관온도조건에서의 mRNA 구조체의 특성 변화 측정 - mRNA integrity, dsRNA contaminant, purity 등 mRNA 백신 전달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 ○ mRNA 백신 전달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 신규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 - 기존 알려진 mRNA 백신용 전달체인 ACL0315 및 SM102의 특허 회피가 가능한 246C10을 기반으로 한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 ○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들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 이온화지질의 pKa, 지질나노입자의 크기 및 분포 분석, mRNA 봉입률 및 in vitro 리포터 단백질 발현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 평가용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 3가지 세포주 및 2가지 체세포를 기반으로 한 in vitro 독성 평가 및 in vivo systemic 및 Intramuscular injection 후 간 수치 비교 및 조직학적 분석을 위한 SOP 확보○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의 안정성시험 - 평가용 후보물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온도, pH 등- 동결건조 제형으로의 활용방안 분석 - 장기안정성시험/가속안정성시험 등 실시: 제형화 후 4주 냉장보관, 동결보관시 안정성 시험, 동결건조시 안정성 시험 등. 신규 구조체 및 전달체를 사용한 백신 후보물질 평가시험법 개발 ○ mRNA 백신 후보물질 제조 및 특성화- 다양한 구성성분 조성비의 LNP 기반 mRNA 백신 후보물질 제조- LNP(mRNA-LNP)의 물리·화학·생물학적 특성화 ○ mRNA 백신 후보물질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평가- mRNA 백신 후보물질의 안정성 시험- mRNA 백신의 접종에 의한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원성 평가○ 상용 백신과 mRNA 백신 후보물질의 유효성 비교 - 개발된 mRNA 백신 후보물질과 기존 상용 백신과의 유효성 비교 분석- mRNA 백신 개발 및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정보집 작성

    [기대효과]○ mRNA 백신 주요 요소기술인 신규 mRNA 구조와 지질나노입자 발굴을 통해 국내 기술을 기반으로한 mRNA 백신 개발 및 백신 주권 확보○ mRNA 백신의 품질 평가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플랫폼 예방백신의 개발 촉진○ 특허회피가 가능한 mRNA 백신 원천특허 확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mRNA 백신 임상연구 진입을 유도 ○ 발굴된 지질나노입자를 이용한 다양한 RNA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활용[활용계획]○ mRNA 백신 품질평가 시험법 SOP 보급 (안정성 및 유효성)○ mRNA 및 지질나노입자 관련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보고서 제공○ SCI/E 논문 발표 3건, 특허 출원 2건

  • 새로운 mRNA 구조체 전달체를 이용한 백신 평가기술 개발 연구

    (1475013972)

    2023

    감염병대응혁신기술지원연구

    이규리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의약품안전처

    200000000 (200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 , 특허(1)

    ○ 면역유도 강화 신규 mRNA 구조체 및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개발 _x005F○ 신규 mRNA 백신의 특성을 고려한 유효성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분석 시험법 개발 및 가이드라인 확립

    새로운 mRNA 구조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_x005F○ mRNA 구조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_x005F● mRNA 구조체의 평가 대조물질 제작_x005F○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 제작_x005F● siRNA 구조 도입을 통한 신규 mRNA 구조체 도출: 기존 mRNA 구조체와 전혀 다른 차별화된 구조체 기술로 등록특허를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용 mRNA 백신 개발에 활용하여 기존 특허를 회피하고자 함. _x005F○ mRNA 구조체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_x005F● 물리,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분석(mRNA 길이, 구조, 순도) _x005F● mRNA 구조체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_x005F○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 _x005F●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체액성/세포성 면역원성 비교 분석 (3세부와 협력)_x005F○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안정성 시험 _x005F- mRNA 구조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_x005F● mRNA 구조체 종류별 온도 안정성 비교 분석_x005F● 여러 보관온도조건에서의 mRNA 구조체의 특성 변화 측정_x005F- mRNA integrity, dsRNA contaminant, purity 등

    [기대효과]_x005F○ mRNA 백신 주요 요소기술인 신규 mRNA 구조와 지질나노입자 발굴을 통해 국내 기술을 기반으로한 mRNA 백신 개발 및 백신 주권 확보_x005F○ mRNA 백신의 품질 평가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플랫폼 예방백신의 개발 촉진_x005F○ 특허회피가 가능한 mRNA 백신 원천특허 확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mRNA 백신 임상연구 진입을 유도 _x005F○ 발굴된 지질나노입자를 이용한 다양한 RNA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활용_x005F[활용계획]_x005F○ mRNA 백신 품질평가 시험법 SOP 보급 (안정성 및 유효성)_x005F○ mRNA 및 지질나노입자 관련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보고서 제공_x005F○ SCI/E 논문 발표 3건, 특허 출원 2건 등

  • 새로운 mRNA 구조체 전달체를 이용한 백신 평가기술 개발 연구(3)

    (2470000977)

    2024

    감염병대응혁신기술지원연구

    이규리

    경상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의약품안전처

    200000000 (200000000)

    ○ 면역유도 강화 신규 mRNA 구조체 및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개발 ○ 신규 mRNA 백신의 특성을 고려한 유효성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분석 시험법 개발 및 가이드라인 확립

    새로운 mRNA 구조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 mRNA 구조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mRNA 구조체의 평가 대조물질 제작○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 제작● siRNA 구조 도입을 통한 신규 mRNA 구조체 도출: 기존 mRNA 구조체와 전혀 다른 차별화된 구조체 기술로 등록특허를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용 mRNA 백신 개발에 활용하여 기존 특허를 회피하고자 함. ○ mRNA 구조체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 물리,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분석(mRNA 길이, 구조, 순도) ● mRNA 구조체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 ●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체액성/세포성 면역원성 비교 분석 (3세부와 협력)○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안정성 시험 - mRNA 구조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mRNA 구조체 종류별 온도 안정성 비교 분석● 여러 보관온도조건에서의 mRNA 구조체의 특성 변화 측정- mRNA integrity, dsRNA contaminant, purity 등

    ○ mRNA 백신 주요 요소기술인 신규 mRNA 구조와 지질나노입자 발굴을 통해 국내 기술을 기반으로한 mRNA 백신 개발 및 백신 주권 확보○ mRNA 백신의 품질 평가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플랫폼 예방백신의 개발 촉진○ 특허회피가 가능한 mRNA 백신 원천특허 확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mRNA 백신 임상연구 진입을 유도 ○ 발굴된 지질나노입자를 이용한 다양한 RNA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활용

  • 새로운 mRNA 구조체 전달체를 이용한 백신 평가기술 개발 연구(1)

    (1475013542)

    2023

    감염병대응혁신기술지원연구

    정지훈

    성균관대학교

    식품의약품안전처

    220000000 (220000000)

    ○ 면역유도 강화 신규 mRNA 구조체 및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개발 _x005F○ 신규 mRNA 백신의 특성을 고려한 유효성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분석 시험법 개발 및 가이드라인 확립

    새로운 mRNA 구조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_x005F○ mRNA 구조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_x005F- mRNA 구조체의 평가 대조물질 제작_x005F○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 제작_x005F- siRNA 구조 도입을 통한 신규 mRNA 구조체 도출: 기존 mRNA 구조체와 전혀 다른 차별화된 구조체 기술로 등록특허를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용 mRNA 백신 개발에 활용하여 기존 특허를 회피하고자 함. _x005F○ mRNA 구조체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_x005F- 물리,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분석(mRNA 길이, 구조, 순도) _x005F- mRNA 구조체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_x005F○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 _x005F-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체액성/세포성 면역원성 비교 분석 (3세부와 협력)_x005F○ 신규 mRNA 구조체 후보물질들의 안정성 시험 _x005F- mRNA 구조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_x005F- mRNA 구조체 종류별 온도 안정성 비교 분석_x005F- 여러 보관온도조건에서의 mRNA 구조체의 특성 변화 측정_x005F- mRNA integrity, dsRNA contaminant, purity 등_x005F mRNA 백신 전달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_x005F○ mRNA 백신 전달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_x005F○ 신규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_x005F- 기존 알려진 mRNA 백신용 전달체인 ACL0315 및 SM102의 특허 회피가 가능한 246C10을 기반으로 한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 _x005F○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들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_x005F- 이온화지질의 pKa, 지질나노입자의 크기 및 분포 분석, mRNA 봉입률 및 in vitro 리포터 단백질 발현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_x005F○ 평가용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_x005F- 3가지 세포주 및 2가지 체세포를 기반으로 한 in vitro 독성 평가 및 in vivo systemic 및 Intramuscular injection 후 간 수치 비교 및 조직학적 분석을 위한 SOP 확보_x005F○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의 안정성시험_x005F- 평가용 후보물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온도, pH 등_x005F- 동결건조 제형으로의 활용방안 분석 _x005F- 장기안정성시험/가속안정성시험 등 실시: 제형화 후 4주 냉장보관, 동결보관시 안정성 시험, 동결건조시 안정성 시험 등. _x005F 신규 구조체 및 전달체를 사용한 백신 후보물질 평가시험법 개발_x005F○ mRNA 백신 후보물질 제조 및 특성화_x005F- 다양한 구성성분 조성비의 LNP 기반 mRNA 백신 후보물질 제조_x005F- LNP(mRNA-LNP)의 물리·화학·생물학적 특성화 _x005F○ mRNA 백신 후보물질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평가_x005F- mRNA 백신 후보물질의 안정성 시험_x005F- mRNA 백신의 접종에 의한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원성 평가_x005F○ 상용 백신과 mRNA 백신 후보물질의 유효성 비교 _x005F- 개발된 mRNA 백신 후보물질과 기존 상용 백신과의 유효성 비교 분석_x005F- mRNA 백신 개발 및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정보집 작성

    [기대효과]_x005F○ mRNA 백신 주요 요소기술인 신규 mRNA 구조와 지질나노입자 발굴을 통해 국내 기술을 기반으로한 mRNA 백신 개발 및 백신 주권 확보_x005F○ mRNA 백신의 품질 평가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플랫폼 예방백신의 개발 촉진_x005F○ 특허회피가 가능한 mRNA 백신 원천특허 확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mRNA 백신 임상연구 진입을 유도 _x005F○ 발굴된 지질나노입자를 이용한 다양한 RNA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활용_x005F[활용계획]_x005F○ mRNA 백신 품질평가 시험법 SOP 보급 (안정성 및 유효성)_x005F○ mRNA 및 지질나노입자 관련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보고서 제공_x005F○ SCI/E 논문 발표 3건, 특허 출원 2건 등

  • 새로운 mRNA 구조체 전달체를 이용한 백신 평가기술 개발 연구(2)

    (2470000418)

    2024

    감염병대응혁신기술지원연구

    이혁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의약품안전처

    200000000 (200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3)

    ○ 면역유도 강화 신규 mRNA 구조체 및 지질나노입자 전달체 개발 ○ 신규 mRNA 백신의 특성을 고려한 유효성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분석 시험법 개발 및 가이드라인 확립

    mRNA 백신 전달체 평가용 후보물질 개발○ mRNA 백신 전달체의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신규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 기존 알려진 mRNA 백신용 전달체인 ACL0315 및 SM102의 특허 회피가 가능한 246C10을 기반으로 한 전달체 후보물질 제작 ○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들의 특성 분석 시험법 개발 및 분석 ● 이온화지질의 pKa, 지질나노입자의 크기 및 분포 분석, mRNA 봉입률 및 in vitro 리포터 단백질 발현 확인을 위한 시험법 SOP 작성○ 평가용 후보물질들 각각에 대한 안전성 평가 (in vivo, in vitro)● 3가지 세포주 및 2가지 체세포를 기반으로 한 in vitro 독성 평가 및 in vivo systemic 및 Intramuscular injection 후 간 수치 비교 및 조직학적 분석을 위한 SOP 확보○ 평가용 전달체 후보물질의 안정성시험● 평가용 후보물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온도, pH 등● 동결건조 제형으로의 활용방안 분석 ● 장기안정성시험/가속안정성시험 등 실시: 제형화 후 4주 냉장보관, 동결보관시 안정성 시험, 동결건조시 안정성 시험 등.

    [기대효과]○ mRNA 백신 주요 요소기술인 신규 mRNA 구조와 지질나노입자 발굴을 통해 국내 기술을 기반으로한 mRNA 백신 개발 및 백신 주권 확보○ mRNA 백신의 품질 평가기술 개발을 통한 새로운 플랫폼 예방백신의 개발 촉진○ 특허회피가 가능한 mRNA 백신 원천특허 확보 및 이를 기반으로 한 mRNA 백신 임상연구 진입을 유도 ○ 발굴된 지질나노입자를 이용한 다양한 RNA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활용[활용계획]○ mRNA 백신 품질평가 시험법 SOP 보급 (안정성 및 유효성)○ mRNA 및 지질나노입자 관련 국내외 연구 및 개발 동향 분석 보고서 제공○ SCI/E 논문 발표 3건, 특허 출원 2건 등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 기본폴더

  • 스크랩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