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항목 항목설명
과제명신청 및 협약 과제를 기준으로 국문 세부과제명의 정식명칭(국문과제명과 영문과제명 구분)
연구책임자명연구책임자명
과제관리기관명해당 사업의 과제 및 성과정보를 등록·관리하는 기관의 정식 명칭
과제수행기관연구개발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 명칭
과제수행기관
사업자등록번호
과제수행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
※ 공백없이 '-'를 포함(예: 123-45-67890)
※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는 외국기업의 경우 전문기관에서 관리하는 기관 ID값을 입력
부처명연구개발사업의 기획, 평가 및 관리에 관한 제반사항을 주관하는 중앙행정기관의 명칭 예)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명세부사업명
(기관)세부과제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세부과제번호
과제고유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과제번호
한글키워드한글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영문키워드영문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연구목표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목표에 대한 요약
연구내용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내용에 대한 요약
기대효과과제 수행 시 기대효과요약
※ 연구개발 결과의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등에 대한 요약
※ 관련 산업의 공정 과정 개선, 사업화 및 파급효과, 응용분야에서 거두게 될 경제적 가치 등을 기술
  • 검색건수

    • 5108건
  • 연관키워드

과제

검색옵션

건수 :

도움말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기준연도 / 예산사업명 / 연구책임자 / 과제수행기관 / 부처명 / 정부투자연구비(총연구비) 연구개발성과 연구내용 계속과제 묶어보기란? 보안과제(국방 비밀과제 포함)는 검색목록에서 제외됩니다.

동일한 과제가 연도별로 중복되어 나와서 불편하시나요?
해당 기능을 클릭해보세요!

건수 :

  • 정류 전기적 시냅스를 생체모사한 정류 고분자전해질 양산공정 및 이를 이용한 고성능의 정류 전기투석 탈염 기술 개발

    (1485018547)

    2022

    생태모방기반환경오염관리기술개발

    최기운

    (주)넥스트이앤엠

    환경부

    500000000 (66667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

    ● 본사의 정류 전기적 시냅스를 모사한 정류 고분자전해질 원천기술을 발전시켜 고성능/저가의 고분자전해질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정류 고분자전해질을 적용한 정류 역전기투석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획기적으로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원가 절감한 담수화 기술을 실현하여 미래 환경·에너지 소재 및 담수화 시장을 선점할 기틀을 마련- 1차년도 : 이론적인 계산 및 실험적으로 정류 고분자전해질 특성 제어 조건을 확립하고, 높은 이온선택성, 이온전도도의 정류 고분자전해질의 구성 및 morphology를 설계하고 제작 및 평가- 2차년도 : 폭 500 ㎜의 고성능 정류 고분자전해질 양산 기술 개발 및 정류 전기투석 stack 제작- 3차년도 : Scale 제거와 동시에 연속적으로 담수화가 가능한 소형, 이동형의 정류 전기투석 기술개발 및 실증/신뢰성 평가

    1) 전기투석 담수화, 연료전지, ESS 기술 산업화 및 상품성 개선을 위해 향상된 선택성과 전도도, 내구성(열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저가, 대면적의 정류 고분자전해질 기술 개발2)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정류 고분자전해질을 설계하고 막특성 제어기술을 통해 정류 전기투석에 최적화된 고효율의 정류 고분자전해질 개발3) 정류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하여 이온정류특성을 활용한 역전극에서도 scale 제거와 동시에 연속적으로 담수화가 가능한 정류 역전기투석 기술 개발4) 소규모, 이동형, 안티파울링 정류 전기투석 담수화 플랜트 개발 및 실증

    ● 활용계획 : 담수화(R-EDR, MCDI), 역전기투석발전,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레독스플로우 전지의 고분자전해질 등 환경산업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특히 이동식 해수담수화 플랜트에 활용할 계획임● 기대효과 : 고분자전해질의 성능 개선 및 원가절감을 통한 신재생에너지와 해수담수기술의 산업화, 수소 경재시대 도래 시 많은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 신재생에너지 및 해수담수화 소재 원가절감 및 관련 세계 시장 선점, 수소경제 시대를 위한 가장 핵심 소재에 대한 선제적 원천기술 확보

  • 3-D 메쉬 스택을 적용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시스템개발

    (1711030748)

    2015

    중견연구자지원

    김홍건

    전주대학교

    미래창조과학부

    203000000 (203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9) , 특허(2) , 연구보고서(1)

    티타늄은 기계적 물성이 타 금속과 달라 현재 일반적인 기계가공 방식의 유로형성 시에 매우 높은 비용이 소요 된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유로를 형성하지 않고도 유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티타늄 삼차원 메쉬를 제공하여 티타늄 유로판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 시키고, 삼차원 메쉬의 내구성 및 신뢰성 확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의 가격을 저감 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 수소생산 방식의 가장 친환경적인 대안이 전기분해방식이나, 전통적인 알칼라인 방식의 단점인 크기, 저압, 유해전해질 사용, 유지보수의 불편함 등을 개선코자 PEM 방식(고분자전해질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첫째, 전기 화학적으로 Compressor 없이 2000psi 이상 압력의 수소가 생산 가능하고, 둘째, 99.99% 순도의 초고순도 수소를 생산 가능하며, 셋째,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기분해장치에 대해 연구하며 이에 대한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를 할 것이다. - 유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삼차원 메쉬를 유로를 형성하지 않은 티타늄 평판과 MEA 사이에 위치하여 유체가 일정한 패턴으로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인 유체가 전체 시스템에서 균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해 준다. - 메쉬의 구멍(이하 다이아몬드)을 통하여 유체가 MEA에 수직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어 원료물질인 물의 원활한 공급과 생성물질인 수소와 산소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MEA와 티타늄 평판 양쪽에 삼차원 메쉬의 균일한 접점으로 전력공급을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구성 한다. - 삼차원 메쉬를 적용한 스택 제작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삼차원 메쉬를 이용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 평가를 위한 장시간 테스트를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다.

    현재 대부분의 연료전지 연구개발을 위하여 소요되는 고순도 수소는 고압 실린더에 저장된 상태로 배송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항시 수소의 재고 상태를 파악하고 보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고압의 수소는 폭발성 위험을 안고 있어 특별한 관리를 요한다. 본 제안에서 개발될 고분자 전해질 전기분해 장치를 사용하면 현장에서 필요한 수소를 즉시 발생시켜 사용할 수 있어 재고상태에 대한 부담이 없어지며 발생된 수소는 즉시 사용, 소진이 되므로 폭발의 위험성이 없어진다. 더욱이 무겁고 큰 실린더를 작고 가벼운 고분자전해질 전기분해장치로 대체함으로써 공간 활용도와 이동의 편리함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하여 연료전지 연구에도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삼차원 메쉬를 이용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 평가

    (1345175018)

    2012

    일반연구자지원

    김홍건

    전주대학교

    교육과학기술부

    57600000 (576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4) , 연구보고서(1)

    티타늄은 기계적 물성이 타 금속과 달라 현재 일반적인 기계가공 방식의 유로형성 시에 매우 높은 비용이 소요 된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유로를 형성하지 않고도 유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티타늄 삼차원 메쉬를 제공하여 티타늄 유로판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 시키고, 삼차원 메쉬의 내구성 및 신뢰성 확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의 가격을 저감 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 기존 수소생산 방식의 가장 친환경적인 대안이 전기분해방식이나, 전통적인 알칼라인 방식의 단점인 크기, 저압, 유해전해질 사용, 유지보수의 불편함 등을 개선코자 PEM 방식(고분자전해질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첫째, 전기 화학적으로 Compressor 없이 2000psi 이상 압력의 수소가 생산 가능하고, 둘째, 99.9999% 순도의 초고순도 수소를 생산 가능하며, 셋째,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기분해장치에 대해 연구하며 이에 대한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를 할 것이다. - 유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삼차원 메쉬를 유로를 형성하지 않은 티타늄 평판과 MEA 사이에 위치하여 유체가 일정한 패턴으로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인 유체가 전체 시스템에서 균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해 준다. - 메쉬의 구멍(이하 다이아몬드)을 통하여 유체가 MEA에 수직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어 원료물질인 물의 원활한 공급과 생성물질인 수소와 산소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MEA와 티타늄 평판 양쪽에 삼차원 메쉬의 균일한 접점으로 전력공급을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구성 한다. - 삼차원 메쉬를 적용한 스택 제작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삼차원 메쉬를 이용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 평가를 위한 장시간 테스트를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다.

    - 현재 대부분의 연료전지 연구개발을 위하여 소요되는 고순도 수소는 고압 실린더에 저장된 상태로 배송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항시 수소의 재고 상태를 파악하고 보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고압의 수소는 폭발성 위험을 안고 있어 특별한 관리를 요한다. 본 제안에서 개발될 고분자 전해질 전기분해 장치를 사용하면 현장에서 필요한 수소를 즉시 발생시켜 사용할 수 있어 재고상태에 대한 부담이 없어지며 발생된 수소는 즉시 사용, 소진이 되므로 폭발의 위험성이 없어진다. 더욱이 무겁고 큰 실린더를 작고 가벼운 고분자전해질 전기분해장치로 대체함으로써 공간 활용도와 이동의 편리함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하여 연료전지 연구에도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선박추진용 12kW급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1415119191)

    2011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

    송윤철

    평화오일씰공업(주)

    지식경제부

    1400000000 (144700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2)

    ○ 소형 선박(보트 또는 요트)용 12kW급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최대 출력: 12kW- 시스템 종합 효율: 45% (LHV 기준)

    ○ 12kW급 선박용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수항/해상 환경(충격, 경사)을 고려한 선박용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시스템 설계 및 제작- 선박용 보조기기 (Balance Of Plant) 설계, 평가 및 선정/제작- 선박용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제어기 설계, 평가 및 최적화 ○ 12kW급 선박용 연료전지 스택 개발- 수상/해상 환경에 대응 가능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스택 설계 및 제작- 수상/해상 환경 조건을 가정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스택 평가

    ○ 연료전지를 고가의 고급 요트 동력으로 적용함으로써 완제품에 대한 연료전지의 가격 비중을 줄여 신규 연료전지 적용 시장 확대하고 선박 및 조선 기업에 신규물량을 창출하여 새로운 사업 분야 도출 가능함.○ 요트 품질의 디자인과 독창적 선형 자체만으로 수요창출이 가능할 것이며 연료전지 이외의 추진체를 탑재할 수도 있으므로 레저보트나 소형 낚시선, 내수면 유람선으로도 상품화가 가능하여 즉각적인 매출발생을 기대할 수 있음. ○ 선박용 디젤 엔진을 대체하여 선박에서 발생하는 CO2,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발생 저감하여 국제적인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고 환경오염에 따름 부담금액 절감.

  • 고온 고분자전해질 막 연료전지용 4세대 고성능 고분자전해질의 전산 설계

    (2710019326)

    2024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

    이현주

    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73500000 (73500000)

    1. Grotthuss 메커니즘을 통한 수소이온 전달 현상을 전산 모사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2.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 낮은 인산 피독 그리고 높은 산소 기체 투과도를 갖는 고분자전해질 backbone 전산 설계 및 디자인.

    고성능의 고분자전해질의 필수 성질: 1)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 2)낮은 Pt촉매 인산 피독 3) 높은 산소기체 투과도 1. 여러 구성요소로 이뤄진 고분자전해질 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수소이온 전달 메커니즘 규명하기 위해 bond가 끊어졌다가 연결되는것이 묘사 가능한 ReaxFF 개발.2.전해질-촉매 계면에서 고분자전해질, Pt/C 촉매 그리고 산소 기체로 이뤄진 삼상계면 모델링 및 전산 모사를 통하여, -수소이온 전도도/Pt 촉매의 인산 피독/산소 기체 투과도 비교 및 분석.-촉매와의 반응으로 형성된 고분자전해질의 골조를 분석하고 3가지 특징과의 인과관계 이해 -> 고성능 고분자전해질의 고분자 backbone 전산 설계

    본 연구 수행을 통해 고분자전해질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 정립하여 빠르게 복잡한 시스템 모델링이 가능하고 시간과 비용이 절감됨. 또한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이 가능하여 고분자전해질 설계에 최적화가 가능하고 데이터를 쉽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어 추후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음. 연구 수행을 통해 제안된 고성능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한 고성능의 고온 고분자 막 연료전지는 대형 차량 혹은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 한정된 수소연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기대할 수 있음.

  • 정류 전기적 시냅스를 생체모사한 정류 고분자전해질 양산공정 및 이를 이용한 고성능의 정류 전기투석 탈염 기술 개발

    (1485019333)

    2023

    생태모방기반환경오염관리기술개발

    최기운

    (주)넥스트이앤엠

    환경부

    470000000 (62667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6) , 연구보고서(1)

    ● 본사의 정류 전기적 시냅스를 모사한 정류 고분자전해질 원천기술을 발전시켜 고성능/저가의 고분자전해질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정류 고분자전해질을 적용한 정류 역전기투석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획기적으로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원가 절감한 담수화 기술을 실현하여 미래 환경·에너지 소재 및 담수화 시장을 선점할 기틀을 마련_x005F_x005F- 1차년도 : 이론적인 계산 및 실험적으로 정류 고분자전해질 특성 제어 조건을 확립하고, 높은 이온선택성, 이온전도도의 정류 고분자전해질의 구성 및 morphology를 설계하고 제작 및 평가_x005F_x005F- 2차년도 : 폭 500 ㎜의 고성능 정류 고분자전해질 양산 기술 개발 및 정류 전기투석 stack 제작_x005F_x005F- 3차년도 : Scale 제거와 동시에 연속적으로 담수화가 가능한 소형, 이동형의 정류 전기투석 기술개발 및 실증/신뢰성 평가

    1) 전기투석 담수화, 연료전지, ESS 기술 산업화 및 상품성 개선을 위해 향상된 선택성과 전도도, 내구성(열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저가, 대면적의 정류 고분자전해질 기술 개발_x005F2)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정류 고분자전해질을 설계하고 막특성 제어기술을 통해 정류 전기투석에 최적화된 고효율의 정류 고분자전해질 개발_x005F3) 정류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하여 이온정류특성을 활용한 역전극에서도 scale 제거와 동시에 연속적으로 담수화가 가능한 정류 역전기투석 기술 개발_x005F4) 소규모, 이동형, 안티파울링 정류 전기투석 담수화 플랜트 개발 및 실증

    ● 활용계획 : 담수화(R-EDR, MCDI), 역전기투석발전,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레독스플로우 전지의 고분자전해질 등 환경산업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특히 이동식 해수담수화 플랜트에 활용할 계획임_x005F● 기대효과 : 고분자전해질의 성능 개선 및 원가절감을 통한 신재생에너지와 해수담수기술의 산업화, 수소 경재시대 도래 시 많은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 신재생에너지 및 해수담수화 소재 원가절감 및 관련 세계 시장 선점, 수소경제 시대를 위한 가장 핵심 소재에 대한 선제적 원천기술 확보

  • 삼차원 메쉬를 이용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 평가

    (1345156676)

    2011

    일반연구자지원

    김홍건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과학기술부

    57600000 (576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티타늄은 기계적 물성이 타 금속과 달라 현재 일반적인 기계가공 방식의 유로형성 시에 매우 높은 비용이 소요 된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유로를 형성하지 않고도 유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티타늄 삼차원 메쉬를 제공하여 티타늄 유로판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 시키고, 삼차원 메쉬의 내구성 및 신뢰성 확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의 가격을 저감 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 기존 수소생산 방식의 가장 친환경적인 대안이 전기분해방식이나, 전통적인 알칼라인 방식의 단점인 크기, 저압, 유해전해질 사용, 유지보수의 불편함 등을 개선코자 PEM 방식(고분자전해질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첫째, 전기 화학적으로 Compressor 없이 2000psi 이상 압력의 수소가 생산 가능하고, 둘째, 99.9999% 순도의 초고순도 수소를 생산 가능하며, 셋째,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기분해장치에 대해 연구하며 이에 대한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를 할 것이다. - 유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삼차원 메쉬를 유로를 형성하지 않은 티타늄 평판과 MEA 사이에 위치하여 유체가 일정한 패턴으로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반응물과 생성물인 유체가 전체 시스템에서 균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해 준다. - 메쉬의 구멍(이하 다이아몬드)을 통하여 유체가 MEA에 수직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어 원료물질인 물의 원활한 공급과 생성물질인 수소와 산소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MEA와 티타늄 평판 양쪽에 삼차원 메쉬의 균일한 접점으로 전력공급을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구성 한다. - 삼차원 메쉬를 적용한 스택 제작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삼차원 메쉬를 이용한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 평가를 위한 장시간 테스트를 하여 신뢰성을 확보한다.

    - 현재 대부분의 연료전지 연구개발을 위하여 소요되는 고순도 수소는 고압 실린더에 저장된 상태로 배송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항시 수소의 재고 상태를 파악하고 보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고압의 수소는 폭발성 위험을 안고 있어 특별한 관리를 요한다. 본 제안에서 개발될 고분자 전해질 전기분해 장치를 사용하면 현장에서 필요한 수소를 즉시 발생시켜 사용할 수 있어 재고상태에 대한 부담이 없어지며 발생된 수소는 즉시 사용, 소진이 되므로 폭발의 위험성이 없어진다. 더욱이 무겁고 큰 실린더를 작고 가벼운 고분자전해질 전기분해장치로 대체함으로써 공간 활용도와 이동의 편리함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하여 연료전지 연구에도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신축성 자가치유 젤타입 고분자전해질 소재 및 발광소자 개발

    (1345345840)

    2021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이근형

    인하대학

    교육부

    33332000 (33332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 특허(1) , 연구보고서(1)

    본 연구과제에서는 플렉시블 전자소자 분야의 차세대 핵심 기반기술인 신축성 자가치유 고분자전해질 소재를 개발하고, 저비용·고효율 생산이 가능한 용액공정을 적용하여 해당 특성을 보유한 전기화학 발광소자를 효과적으로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함.

    본 계획서에서 제안하는 연구는 고분자네트워크의 기능부여 원리 규명을 통해 신축성과 자기치유력을 동시에 보유하는 차세대 고분자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이를 이용하여 용액공정이 가능하며 물성제어가 용이한 젤타입 고분자복합전해질을 개발하는 것임. 또한, 프린팅 공정에 적합한 복합재료 잉크화 기술을 개발하고 기능성 전기화학발광소자를 제작하고자 함. 상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음.1. 가교구조 제어를 통한 기능성 복합 고분자전해질 소재 개발 -네트워크 신축성과 자가치유 메커니즘 이해 -신축성과 자가치유능력 확보를 위한 가교구조 제어  -구성물질 제어를 통한 타겟 물성의 젤타입전해질 소재 개발 2. 복합재료 잉크화를 통한 저비용·대면적 발광소자 제작공정 개발 -단순 적층구조를 갖는 전기화학 발광소자 장점 극대화 -용액공정용 활성층, 전극 잉크화 기술 개발  -저비용·대면적 소자제작을 위한 공정변수 제어 3. 기능성 고분자전해질 기반 신축성 자가치유 전기화학 발광소자 개발  -자가치유력과 탄성을 동시에 보유한 발광전해질, 전극물질 제조  -차세대 고기능성 전기화학 발광소자 개발

    -고기능성 고분자 복합신소재 제조의 원천기술 확보-저비용 신축성 소자제작의 요소기술 개발-자가치유 소재 및 소자 제조의 핵심기술 확보-관련 전문성을 갖춘 핵심인재 양성

  • 정류 전기적 시냅스를 생체모사한 정류 고분자전해질 양산공정 및 이를 이용한 고성능의 정류 전기투석 탈염 기술 개발

    (1485017933)

    2021

    생태모방기반환경오염관리기술개발(R&D)

    최기운

    (주)넥스트이앤엠

    환경부

    530000000 (70667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1) , 연구보고서(1)

    본사의 정류 전기적 시냅스를 모사한 정류 고분자전해질 원천기술을 발전시켜 고성능/저가의 고분자전해질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정류 고분자전해질을 적용한 정류 역전기투석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획기적으로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원가 절감한 담수화 기술을 실현하여 미래 환경·에너지 소재 및 담수화 시장을 선점할 기틀을 마련

    1) 전기투석 담수화, 연료전지, ESS 기술 산업화 및 상품성 개선을 위해 향상된 선택성과 전도도, 내구성(열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저가, 대면적의 정류 고분자전해질 기술 개발2)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정류 고분자전해질을 설계하고 막특성 제어기술을 통해 정류 전기투석에 최적화된 고효율의 정류 고분자전해질 개발3) 정류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하여 이온정류특성을 활용한 역전극에서도 scale 제거와 동시에 연속적으로 담수화가 가능한 정류 역전기투석 기술 개발4) 소규모, 이동형, 안티파울링 정류 전기투석 담수화 플랜트 개발 및 실증

    활용계획- 담수화 (R-EDR, MCDI), 역전기투석발전,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레독스플로우 전지의 고분자전해질 대용으로 대체가능- 이밖에 현재 고분자전해질 적용 된 환경산업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 이동식 해수담수화 플랜트기대효과- 고분자전해질은 $200~1,000/㎡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고분자전해질의 성능 개선 및 원가절감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와 해수담수기술 산업화 및 특히 수소 경재시대가 이루어지면 향후 많은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함- 고분자전해질의 열적·화학적 안정성 증가에 의해 응용분야인 신재생에너지 및 해수담수화에서 원가절감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와 관련된 세계 시장을 선점, 에너지 강국으로 발돋음 할 계기를 마련할 것임- 국내에서 고분자전해질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하지 못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 특히 음이온 고분자전해질은 전량 일본에서 수입 추후 추가 수출 규제에 따른 대응 필요- 정류 고분자전해질은 우리나라와 일본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수소경제 시대를 위한 가장 핵심 소재로 본 연구를 통해 선제적 원천기술 확보를 통하여 일본의 수출 규제에 맞대응이 가능

  • 자동차용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수명예측 전기화학적 모델링 연구

    (1345189524)

    2012

    기초연구기반구축

    엄광섭

    한국과학기술원

    교육과학기술부

    33000000 (33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는 차세대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료인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여 모터를 가동시킴으로써 자동차 운행이 가능한데, 발전효율은 50% 이상으로 기존의 엔진보다 2배 이상 높고 운전 후에도 물만 배출되기 때문에 공해가 배출되지 않는 친환경 자동차이다.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의 연료인 수소는 물과 바이오매스 등으로부터 친환경적으로 풍부하게 생산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전 세계 많은 자동차 회사들이 차세대 중·장거리용으로 연료전지 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 세계 주요 자동차 회사들은 모두 개발 연료전지차량을 시운행하고 있고, 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는 중이다. ○ 그러나, 자동차용 연료전지는 일정한 조건에서 운전되는 정치용 (발전용) 연료전지와 달리 시동/정지가 무수히 반복되고 부하변동이 큰 조건에서 여러 외부 환경적인 요소를 지닌 채 사용되기 때문에 성능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러한 연료전지 자동차의 내구성 문제는 미국 에너지성 (U.S. Department of Energy, DOE)에서도 연료전지 자동차 상용화를 위하여 해결해야할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로 제기하고 있다1. 현재 DOE 에서 제안하는 상용화 목표의 수명은 5,000시간 (10년)이나, 현재까지 자동차 회사들은 대략 3,000시간 정도의 수준에서 내구성을 발표하고 있다.○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열화 원인으로는 탄소 담체의 부식, 전해질 막 분해 및 pinhole 형성, 촉매의 산화/소결 및 활성 감소, 그라파이트/금속 분리판의 산화/부식, 대기 중의 오염원에 의한 구성요소 오염, 전극 구조 변형 등이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각 요소들이 성능 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 또한, 전극 내 위치에 따라 다르게 진행되는 열화 현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기법 및 각 구성요소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기법도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까지도 각 요소들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열화 메카니즘이 제대로 규명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실증 연료전지 자동차에서 수명을 정확히 예측하기도 어렵고, 내구성 향상과 경제성의 타협점을 찾는 것 또한 어려운 실태이다.○ 이러한 문제를 실험적으로 접근해서 열화 메카니즘을 이해하고 실험적 검증을 통하여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실험을 진행하는 방법이 있으나, 열화 변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그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DOE에서 제안하는 5,000 시간의 내구성에 대한 검증을 위해서는 시간적 경제적으로 비용이 크기 때문에, 장기 실험을 통해 평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이론과 실험을 접목하는 통합 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연료전지 열화에 미치는 각 요소들의 실험적 결과와 전기화학적 이론적 계산 값을 접목하여 모델링을 하고, 모두 통합하여 계산함으로써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수명이 정확히 예측 가능하다.○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Georgia Tech., GT), 화학생명공학과(School of Chemical & Biomolecular Engineering)의 Tom Fuller 교수 그룹은 이러한 현상을 전기화학 기반으로 연료전지 열화 현상을 이론적 계산과 실험적 결과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연료전지 수명을 정확히 예측하고 있다. ○ 또한, 실험과 병행한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각 변수에 따른 열화 메카니즘을 실제와 가깝게 규명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각 열화 요소간의 상간관계를 찾아내고, 최소의 열화를 위한 연료전지 구성요소 (Pt/C 촉매, 분리막, 금속/카본 분리판) 개발 및 운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연료전지 자동차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이러한 연료전지 수명 예측을 위한 모델링 연구기법을 도입하고, 지속적인 연구 개발할 필요가 있다. 세부 연구 목표는 아래와 같다.○ 자동차용 연료전지 구성요소 (Pt,카본, 금속분리판) 및 운전/외부 환경이 열화에 미치는 영향(메카니즘) 규명.○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열화 현상 및 수명 예측에 대한 전기화학적 모델링 기법 습득.○ 실험과 모델링을 접목하여 실제 운전 조건에서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내구성 향상 연구.

    자동차용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위하여 해결해야하는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는 자동차 사용에 따른 급격한 연료전지의 성능 감소 (열화) 현상으로 인한 수명 단축이다. 운전/정지가 반복되는 조건 하에서 가습, 온도, 결빙, 건조 등의 외부 환경적 요소와 금속 분리판, 카본 지지체, Pt 촉매 등의 PEMFC 구성 요소 및 급가속/급정지, 운전 시간/주기 등의 운전 조건 등의 매우 많은 변수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성능 감소에 대한 현상을 실험적으로 구현하고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전기화학 이론과 실험을 접목하는 통합 모델링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통하여 각 열화 요소가 전체 성능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복합적인 영향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고, 적은 실험으로 많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연수 시 진행할 연구의 내용과 방법 및 범위는 아래와 같다.● 연수의 내용○ 자동차용 연료전지 열화의 전기화학 반응 메카니즘 규명.- 자동차용 연료전지 외부 환경이 열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동차용 연료전지 운전 환경이 열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자동차용 연료전지 구성요소의 소재 및 디자인이 열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금속 분리판 적용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열화 현상 규명○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열화 현상 및 수명 예측에 대한 전기화학적 모델링 기법 습득.- 열화 메카니즘의 모델링을 통한 열화에 미치는 구성 요소 및 운전 조건 분석.- 열화 메카니즘의 모델링을 통한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수명 예측 기법 습득.- 실제 실험적으로 도출한 결과를 결부하여 모델링의 정밀도 향상 기법 습득.- 모델링을 이용하여 실험 변수의 최소화하는 기법 습득.○ 실험과 모델링을 접목하여 실제 운전 조건에서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내구성 향상 연구.-실제 운전 조건에서 자동차용 연료전지 열화 요소 분석. -실제 운전 조건에서 연료전지 구성요소 내구성 향상 연구.● 연수의 방법 및 범위위의 연수내용은 Fuller 교수가 지도하는 GT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의 "Innovative Fuel-Cell and Battery Technology" 와 GTRI (Georgia Tech Research Institute)에서 수행할 예정인데, 연수의 방법과 범위는 아래와 같다.○ 자동차용 연료전지 (PEMFC) 열화에 대한 실험.- 운전 조건에 따른 PEMFC 내구성 평가.- MEA의 구조와 Pt/C 촉매층의 조성에 따른 PEMFC 내구성 평가.- 금속 분리판 적용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열화 현상 규명- 운전 조건 및 연료전지 구성요소에 따른 분리막 열화 규명.○ 자동차 연료전지 구성 요소 열화에 대한 모델링.-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내 전극의 Pt/C 촉매의 열화 (카본부식, Pt 산화 등) 모델링.- MEA 분리막과 전극 사이 계면에서 발생하는 열화 모델링.- 운전 조건 및 연료전지 구성요소 (촉매, 분리막, 금속/그라파이트 분리판)에 따른 분리막 열화 모델링.○ 자동차 연료전지 수명 예측 모델링 개발 및 열화 대응 방안 모색.-실험과 모델링의 접목을 통한 수명 예측 모델링.-자동차 연료전지 열화 원인 분석 및 대응 방안 모색.-고내구성 자동차용 MEA 디자인 및 제조. -고내구성 자동차용 금속 분리판 소재 디자인.

    ○국제적 학술지 논문/국제 특허 본 연수자는 GT Fuller 그룹에의 연수를 통하여,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내구성에 대하여 전기화학을 기반으로 모델링을 하고, 실험결과로 결부시킴으로써 실험과 이론을 통한 연료전지 수명 예측 및 개선 방안을 찾는 새로운 기법을 연구 기법을 개발가능 할 것으로 기대되고, 이를 통하여 국제 특허 1건 이상 출원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검증한 실험결과와 모델링 이론을 결부시켜 새로운 연구의 기법을 제시하고 증명한 것으로 토대로 SCI 논문 3편 이상 출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국내 학·연·산과의 공동 연구 실제 연료전지 운전 시에 성능 감소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법을 찾음으로써 연료전지의 경제성을 크게 상승시켜 친환경 연료전지 자동차 등의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공을 위해서 본 연수자는 귀국 후에 대학 연구소, 산업체에서 연료전지 연구자/기술자와 공동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지속적인 연구 기법 증진이 가능할 것이다. 산업체 및 대학/연구소와의 협력/활용 방안은 아래와 같다.- 산업체 (연료전지 자동차 회사) 실제 연료전지 차량 시범운행 결과를 토대로, 실운전 조건이 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실제 운행에 최적화된 모뎅링을 개발하고 분석함으로써, 열화 방지 기술을 개발하여 연료전지 자동차 상용화를 좀 더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 및 연구소 연수를 통하여 습득한 연구 기법을 바탕으로 국내 연료전지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를 통하여 이를 더 개선 및 보완함으로써 다른 전기화학 기반의 열화 현상 (금속부식, 2차 전지 열화, 태양전지 열화 등)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 기본폴더

  • 스크랩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