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건수

    • 54,819건
  • 대역단어

전체

  •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스택 고도화 기술 개발

    (1415179096)

    2022

    수소차용차세대연료전지시스템기술개발

    진상문

    현대자동차(주)환경기술연구소

    산업통상자원부

    2000000000 (34166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3) , 특허(15) , 연구시설장비(1)

    - 셀 피치가 감소된 (1.16 mm) 금속 분리판을 설계/제작하여 성능평가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스택 레벨에서의 성능 최적화 과정을 진행할 계획임.- 기체 확산층의 인장강도를 40 에서 50 kgf/cm2까지 증가시키고, 전기저항을 12 에서 11 mΩcm2까지 개선시켜 고성능 기체 확산층을 제작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시스템 효율성 증대를 실현하고자 함.- 또한, 이러한 구조적 설계 변수에 대한 영향을 시뮬레이션 해석 기법으로 예측, 검증, 피드백 하여 최적화된 셀 부품 설계과정을 확립할 계획임.

  •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스택 고도화 기술 개발

    (1415187262)

    2023

    수소차용차세대연료전지시스템기술개발

    한국일

    현대자동차(주)

    산업통상자원부

    1680000000 (28775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3) , 특허(8) , 연구시설장비(2)

    - 셀 피치가 감소된 (1.12 mm) 금속 분리판을 설계/제작하여 성능평가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스택 레벨에서의 성능 최적화 과정을 진행할 계획임.- 기체 확산층(두께 160um)의 인장강도를 60 kgf/cm2까지 증가시키고, 기체투과도를 1.0(x10^(-12)m2)까지 개선시켜 고성능 기체 확산층을 제작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시스템 효율성 증대를 실현하고자 함.- 또한, 이러한 구조적 설계 변수에 대한 영향을 시뮬레이션 해석 기법으로 예측, 검증, 피드백 하여 최적화된 셀 부품 설계과정을 확립할 계획임.

  •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스택 고도화 기술 개발

    (1415173143)

    2021

    수소차용차세대연료전지시스템기술개발(R&D)

    진상문

    현대자동차(주)

    산업통상자원부

    2000000000 (34166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 , 특허(10) , 연구시설장비(1)

    - 셀 피치가 감소된 (1.2 mm) 금속 분리판을 설계/제작하여 성능평가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스택 레벨에서의 성능 최적화 과정을 진행할 계획임.- 기체 확산층의 인장강도를 30 에서 40 kgf/cm2까지 증가시키고, 전기저항을 15 에서 12 mΩcm2까지 개선시켜 고성능 기체 확산층을 제작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시스템 효율성 증대를 실현하고자 함.- 또한, 이러한 구조적 설계 변수에 대한 영향을 시뮬레이션 해석 기법으로 예측, 검증, 피드백 하여 최적화된 셀 부품 설계과정을 확립할 계획임.

  • 김민규

    (한국로봇융합연구원/한국로봇융합연구원/연료전지연구센터/한국로봇융합연구원/한국로봇융합연구원)

    박사

    논문 (12/12)

  • 유동진

    (전북대학교/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전북대학교 수소연료전지공학과)

    박사

    유기화학

    논문 (0/13)

    지식재산권 (0/11)

  • 이상훈

    ((주)푸른기술에너지/한국연료전지협의회/충남 암모니아 특구자체)

  • 알카라인 연료전지 가스확산층 내구성 향상을 위한 초발수 코팅 최적화 연구

    2017

    학술지

    김숭연; 서민혜 엄성현

    공업화학

    2017.12.10

    본 연구에서는 알카라인 연료전지 환원극 가스확산층에 내열화학성이 우수한 초발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PDMS 코팅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성격이 상이한 두 개의 상용 가스확산층을 선택하였으며, 소재의 열적 안정성을 검토하여 코팅 온도를 최적화하고, PDMS 점도를 제어하여 코팅 균일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PDMS 전구체의 점도와 관계없이 $200^{\circ}C$ 부근에서 코팅하게 되면 모든 확산층 표면에서 높은 초발수 성능을 나타내었다. 가혹실험 조건에서 초발수 성능변화를 측정한 결과 1000 CS PDMS를 이용하여 28BC 가스확산층에 코팅한 경우가 가장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었다.

  • 무인기용 경량 PEM 연료전지 스택용 마그네슘 분리판의 성능평가(Performance Evaluation of Magnesium Bipolar Plate in Lightweight PEM Fuel Cell Stack for UAV)

    2013

    학술지

    박토순; 오지현; 류태규 더 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표면에 얇은 은(Ag)층이 증착된 마그네슘 분리판을 PEM 연료전지의 그라파이트 분리판의 대체 재질로 검토하였다. $180^{\circ}C$의 온도 환경에서 마그네슘 모재 표면에 $3{\mu}m$의 얇은 은층을 물리적 증착방법(PVD)을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제작된 마그네슘 분리판을 대상으로 PEM 연료전지 스택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PEM 연료전지의 동작환경과 동일한 pH에서의 부식실험을 통하여 보호막이 형성된 마그네슘 분리판은 부식으로부터 모재를 적절히 보호하였지만 보호막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부식이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마그네슘 분리판의 접촉저항은 $20m{\Omega}-cm^2$이하로 기존의 분리판 대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러한 낮은 접촉저항으로 인하여 전기전도도가 개선되어 연료전지의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마그네슘 모재의 낮은 밀도와 기계가공의 용이성 때문에 동일한 연료전지 스택의 출력을 기준으로 약 30~40 %의 중량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수소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기반 메탄올 연료추진 선박에서CCU 적용에 따른 시스템 특성 분석

    2024

    학술지

    이윤호; 김준호

    한국해양환경안전학회지

    2024.04.30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해 메탄올을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이 추가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공정을 설계하였다. Case1에서는 메탄올 연료 엔진 시스템을 설계하여, 엔진에 가솔린 대신 메탄올을 연료로 공급했을 때의 배기가스 배출량을 알아보았다. Case2에서는 Case1에 메탄올 개질 시스템을 추가해,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는 그레이 수소를 생산하며, 엔진과 연료전지의 출력을 조합하여 선박을 구동한다. 하지만 그레이 수소는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점을 보안하기 위해 Case3에서는 CCU시스템을 추가하였다. Case2에서 배출한 Flue gas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그레이 수소와 합성해 블루 메탄올을 생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ase study를 통해 개질 온도 220℃, 개질 압력500kPa, SCR은 1.0, flow ratio가 0.7일 때 최적의 운전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Case3의 시스템은 Case1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42% 감소시켰다. 결과적으로, Case3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 선박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유의미하게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표/그림

  • 미생물 연료전지 결합형 호기성 그래뉼 슬러지 이용기반 매립지 침출수 고도처리시스템 개발
    1kW급 건물용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 가격저감 기술개발
    연료전지 BOP (Balance of Plant) 개발
    다중 스케일 복잡계 동특성 모델 기반 수소 연료전지 차량 내구 특성 분석 및 내구 한계 연장을 위한 제어 전략
  • 반도체 공정 기반 고내구성 연료전지 촉매 개발

    2024

    심준형

    고려대학교

    기계소재

    ... 개발기후 변화와 환경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면서, 친환경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자동차는 무공해 배출과 빠른 충전, 긴 주행 거리로 미래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인 촉매가 고비용의 백금으로 구성되어 상용화에 큰 장벽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료전지 구동 중 발생하는 ...

  • 나노구조 제어를 통한 초박막형 마이크로 연료전지

    2007

    박용일

    금오공과대학교

    에너지환경

    수소를 전기로 바꿔주는 편리한 연료전지!세계 최소형 크기의 언제 어디서든 휴대가 가능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개발에 성공하다.[나노미터 두께의 초박막 전해질 만들기!] 우리는 20nm, 100nm, 200nm의 균질한 기공크기의 촉매특성을 가진 나노기공성 니켈기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준비된 나노기공성 기판 위에 금속합금 박막을 형성시키고 박막의 산화에 따라 부피팽창을 ...

  • 천연가스를 직접 연료로 사용하는 고효율 고안정 연료전지 연료극 소재 개발

    2015

    김건태

    UNIST

    에너지환경

    ... 되어 성능이감소하여 장시간 연료전지 작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다양한 탄화 수소계 연료를사용할 때 출력 성능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연료극 소재개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천연가스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연료극 소재 개발]기존의 연료극 소재는 탄화수소 연료를 직접 사용하였을 때 수 시간 이내에 탄소침적으로 전극이파손되는 치명적인 문제로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