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패턴
다크패턴[ dark pattern ] 사람을 속이기 위해 디자인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뜻하는 말로, 소비유도 상술 또는 눈속임 설계라고도 한다. 영국의 디자이너 해리 브링널이 2011년 최초로 제시했다. 인터넷 사이트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들을 은밀히 유도해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에 가입하게 하는 등 원치 않는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이 다크패턴의 대표적인 사례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멤버십에 가입하도록 해놓고 해지를 어렵게 만들거나 숨은 비용이 추가되는 것 역시 모두 다크패턴에 속한다. 한국소비자원은 다크패턴을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볼 여지가 있지만 소비자가 독립적인 구매 결정을 하지 못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기존의 마케팅 기법과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다크패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에서 “플랫폼 분야 거래 질서를 공정화해 소비자의 불공정 피해를 방지하겠다”며 눈속임 마케팅, 거짓 후기 등 소비자 기만행위에 대한 시정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다크패턴 [dark pattern] (매일경제, 매경닷컴)
연관 키워드 # 다크패턴
“무료라더니 결제 유도”…방통위, '다크패턴 사례집' 발간 2025.01.23
온라인으로 여가 활동이나 상거래를 할 때는 의도치 않은 결제를 유도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숨기는 다크패턴 사례를 모은 안내 책자가 나왔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디지털서비스 이용자 보호를 위한 다크패턴 사례집을 22일 발간했다. 이용자를 기만하려는 목적의 화면 또는 사
공정위, 다크패턴 구체적 해석기준 공개…예측가능성 높인다 2025.08.29
[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공정거래위원회가 온라인 다크패턴 규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기준을 공개해 규제의 예측 가능성을 높인다. 공정위는 29일 6개 유형의 온라인 다크패턴 규제를 신설하고 이를 위반하는 사업자에게 시정조치 및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자보호지침 개정안을 마련해 다음 달 18일까지 행정예고한다고 밝혔다. 이번 소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