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

  • 검색건수

    • 534,590건

전체

  • 제3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수립 연구

    (1415131815)

    2013

    에너지정보화및정책지원(에특)

    양훈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산업통상자원부

    380000000 (380000000)

    ㅇ 주관기관(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자체연구 및 분과위원회 운영을 통한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의 수립ㅇ 참여기관(더비엔아이) : 기존 정책 현황에 대한 사전 분석 및 분과위 운영 지원 - (예산) 전략적인 R&D투자 포트폴리오 제시 - (정책) 생태계 강화, 혁신기술 발굴을 위한 기술정책 추진 - (기술) 공급-수요관리 균형을 위한 기술개발전략 - (인프라) R&D 역량 강화로 이어지는 기반 조성

  • 에너지기술 정책분석 및 기술기획연구

    (1415121154)

    20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

    홍종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지식경제부

    7344000000 (73440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 에너지기술 정책분석 및 기술기획연구 ? KIER 중장기 계획수립 ? KIER 과거 성과 분석 및 주요시설 활용방안 수립 ? 에너지기술 선진기관 생산성 분석 및 에너지기술 경쟁력 지수 개발 ? 녹색에너지기술 정책동향 분석 ? 국제협력 및 개방화사업 ? 국제협력 추진전략 수립 ? 개방화 사업 전략 도출 및 시행 ? 중점연구영역별 융합연구 체계 및 과제 기획 ? 선임연구본부 기술기획 ? 신재생에너지기술 연구개발 기획 ? 기후변화기술 연구개발 기획 ? 에너지효율기술 연구개발 기획 ? 융합소재기술 연구개발 기획 ? 기술확산부 연구개발 기획 ? 연구 협력센터 조성 및 공동연구 ? 수소?연료전지 산학연 협력센터 조성 ?「에너지(연) 울산 차세대 전지 원천기술 센터 (지역 조직)」설립?운영 및 공동연구 수행

  • 연소후 배가스 적용 대상 재생에너지 저감이 가능한 탄소계 CO2 흡착제 개발

    (1711100046)

    20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박영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0000000 (5000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2) , 기술요약정보(1)

    ◦ 발전소 및 산업체와 같은 CO2 대량 배출 고정원에 대한 CO2 포집기술◦ 연소후 CO2 포집기술 적용을 통한 에너지 패널티 중 60% 정도는 스팀터빈 출력저하◦ 에너지 패널티 저감을 위한 재생에너지 저감 신규 탄소계 흡착제 적용∘탄소계 흡착제 적용 가능한 재생에너지 저감 공정구성안 도출∘CO2 흡착∘진공 재생∘수분 흡착∘이동층 흡착설비 적용 CO2 흡착 성능 파악∘MSB 이용 진공 재생 조건 파악∘TPAD 이용 수분 흡착 성능 파악◦ 해외 파트너기관의 장단점 - UNOTT는 2007년부터 PEI 계열 및 탄소계 CO2 흡착 연구를 수행하여 30편 이상 논문을 제출하였음. UNOTT는 KIER와 에기평 과제로 연소후 CO2 포집기술개발 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한 경험을 가지고 있음. 이 과제를 통해 PEI 계열 CO2 흡착제를 개발하여 KIER에 100 kg 이상을 공급하였고, KIER의 연속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사항을 도출한 경험을 가지고 있음.◦ KIER 제안자(팀)의 장단점 - KIER는 2002년부터 연소후 건식 CO2 포집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전력연구원에서 개발한 1세대 흡수제인 K-계열 고체흡수제 적용 10 MW급 실증플랜트 설치 경험을 보유하고 있음. 에기평 과제를 통해 UNOTT와 협력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제를 통해 PEI 계열 흡착제의 연속실험 성능평가를 수행함. ◦ 예상협력 시너지효과 - 에기평 과제를 통해 KIER-UNOTT 협력연구를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본 과제에서도 원할한 연구협력을 통해 연구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됨. - 차세대 연소후 포집기술은 재생에너지 저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본 과제에서 제안하는 탄소계 흡착제는 재생에너지 저감 가능성이 높은 소재임. 본 소재 적용이 가능한 '진공 재생 보조 온도 스윙 이동층 흡착 공정'을 개발하게 되면 차세대 연소후 포집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이영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에너지및동력공학

    논문 (39/39)

  • 정진엽

    (에너지기술방재연구원/한국화재감식학회)

    박사

    원자력에너지

    논문 (25/25)

    지식재산권 (2/2)

  • 박태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기타에너지및동력공학

    논문 (22/22)

    지식재산권 (10/10)

  • 국내 신재생에너지 RD 사업의 경제적 성과분석

    2014

    학술지

    오승환; 이철용

    에너지경제연구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안보 제고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한국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R&D 지원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논문 및 특허 등에서 어느 정도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 R&D 성과가 경제적 가치 창출로 이어지고 있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기법을 활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D 지원 받은 신재생에너지 기업은 지원받지 않은 신재생에너지 기업에 비해 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혁신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에너지원별로 구분해서 분석한 결과, 태양광 분야에서는 R&D 지원이 기업의 성장성과 혁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비태양광 부문에서는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탈원전 탈석탄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른 신규 전원구성의 수급 안정성 평가

    2018

    학술지

    민대기; 류종현; 최동구

    에너지경제연구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그 비중이 크지 않아 장기 전원구성 계획 시 심각하게 고려되지 않았던 신재생 에너지의 공급 불확실성이 전력 시장의 수급 안정성 및 적정 예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명시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형에 기반을 두어 우리나라 장기 전원구성 계획의 수급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따르는 경우 신재생 에너지 공급 불확실성은 계획기간 후반부인 2024년 이후부터 전력시장의 수급 안정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석탄·원자력 비중이 감소하고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이 증가하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평균 설비 예비율과 공급 예비율을 각각 20%와 18% 이상으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설정하고 있는 수준들(각각 16%와 12%)보다 높게 설정하고 있으나 목표 공급 신뢰도(0.3일/년)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가 예상된다.

  • 해수에너지플랜트 기술 개발 및 활용 방향

    2015

    학술대회

    김현주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5.06.12

    해수플랜트는 해수를 자원으로 이용하여 생존필수자원인 식량, 에너지 및 식수를 생산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정 설비로서 해수에너지플랜트, 해수담수화추출플랜트, 해수배양플랜트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해수에너지플랜트는 해수를 열원으로 이용하여 신재생 전력이나 열을 생산하는 해양플랜트로서 해수열원을 이용한 1) 해수냉동공조플랜트 및 2) 해수온도차발전플랜트로서 연구개발 또는 실용화가 추진되고 있다. 해수공조냉동플랜트는 500RT 해수열원 터보 히트펌프와 1,000RT 탠덤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개발되어 있다. 공인시험기관을 통한 성능계수 평가결과 500RT 터보 히트펌프의 냉방 COPc는 6.0, 난방 COPh는 4.9로 나타나 양호한 성능을 인정받았고, 탠덤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구성하면 약 8% 정도 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병렬하면 2,000~6,000RT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100RT 탠덤 히트펌프 시스템 및 500RT 터보 히트펌프는 2개소에서 테스트 베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하여 신재생 전력이나 열을 생산하는 해양플랜트로서 해수열원을 이용한 1) 해수냉동공조플랜트 및 2) 해수온도차발전플랜트로서 연구개발 또는 실용화가 추진되고 있다. 해수공조냉동플랜트는 500RT 해수열원 터보 히트펌프와 1,000RT 탠덤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개발되어 있다. 공인시험기관을 통한 성능계수 평가결과 500RT 터보 히트펌프의 냉방 COPc는 6.0, 난방 COPh는 4.9로 나타나 양호한 성능을 인정받았고, 탠덤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구성하면 약 8% 정도 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병렬하면 2,000~6,000RT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100RT 탠덤 히트펌프 시스템 및 500RT 터보 히트펌프는 2개소에서 테스트 베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표/그림

  • 2030 에너지 환경 변화 대응 건축, 도시 에너지 최적화 기술 개발
    스마트 에너지네트워크 기술개발
    스마트 에너지네트워크 기술개발
    스마트 에너지네트워크 기술개발
  • 생물학적 변환기술에 의한 수소에너지 생산

    2009

    김미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

    환경도 살리고~ 에너지도 얻고~일석이조!매립, 해양투기 하던 유기성 폐기물에서 대체·청정에너지 '수소'를 손에 넣다[수소를 만드는 미생물을 찾아서] 자연계에는 수소를 많이 만들 수 있는 미생물이 있다. 이 미생물들은 겨울은 춥고 여름은 너무 기 온이 높아 자연계 조건에서는 살기 어려운 환경이다. 따라서 이 미생물들은 수소를 생산한다는 특 징만 있을 뿐 자연계에서 ...

  • 버려진 플라스틱으로부터 수소를 포함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플랜트 개발

    2023

    라호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

    ... 빨대 거북이, 태평양의 거대한 쓰레기섬 등 버려진 플라스틱으로 인한 심각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폐플라스틱을 친환경적으로 고부가가치화(에너지생산, 기초 화학물질)시킬 수 있는 열분해와 가스화를 중심으로 한 화학적 재활용 기술의 필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 과제를 통해 폐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문제와 에너지화를 통한 자원순환에 ...

  • 한국형 바이오에너지 원료 '거대억새'와 증식기술 개발

    2012

    문윤호

    국립식량과학원

    생명해양

    마른줄기 수량이 30톤/㏊로 많아 바이오에너지용으로 적합한 '거대억새1호'와 '우람', '품종판별 분자마커' 및 '줄기이용 삽목방법'을 개발'거대억새1호', '우람' 및 증식기술 개발“바이오에너지작물”이란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식물을 말한다. 억새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이지만 불량환경 적응성이 강하고 비료를 주지 않아도 재배할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