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건수

    • 27,879건

전체

  • 사자발약쑥, 녹차 복합물 등의 복합 기능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원료 개발

    (1425167607)

    2022

    건강기능식품 개발 지원사업(R&D)

    한재갑

    주식회사 시나몬랩

    중소벤처기업부

    10000000 (10000000)

    1단계 과제기획 연구개발내용① 사자발약쑥 복합물의 선행 연구 및 기존 연구 사례 조사② 사자발약쑥 복합물의 혈행개선 및 항산화 복합 기능성 개별인정 성공 가능성 컨설팅 (기존 및 자체 연구결과 기반 동물실험 및 인체적용시험 성공 가능성을 위한 전략 수립)③ 혈행개선 및 항산화 기능성 시너지 가능 추가 소재 검토④ 사용 원료 및 추물물 제조 시 건강기능식품 원료 안전성 의사결정도 확인⑤ 특허 출원 가능성 및 출원 방향 수립⑥ 2단계 과제 신청(선정)을 위해서 우선 순위로 보강해야 할 항목 컨설팅⑦ 제품화 시 추출물 원료 제조의 기존 원료대비 가격 경쟁력 조사

  • 하수오, 죽엽 복합추출물의 수면의 질 개선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증 신소재 후보물질 개발

    (1425167918)

    2022

    건강기능식품 개발 지원사업(R&D)

    이은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도

    중소벤처기업부

    10000000 (10000000)

    가. 사전 사업성 조사 -수면장애, 불면증 관련 고객수요 및 사업가능성 타진 - 경제성 평가 및 사업 성공시 매출 계획 나. 사전 시장성 조사 -국내외 유사 건강기능식품 시장조사다, 사전 기술특허 분석 -기존 유사특허 조사 -회피전략 구성 -기술 분석라. 건강기능식품 등록을 위한 전주기 과제 프로세스 조사 및 사업기획마. 연구개발계획서 작성 및 연구개발 전략 구성 바. 세부 목표-전임상시험 본 연구의 목표는 Pentobarbital 유도로 인한 수면증진 소재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함과업이행계획 - 단독추출물 및 혼합물 비교우위시험 - 단독추출물간 시너지 효과시험 - 시험관시험을 통한 기능성 검증: 명확한 작용기전 규명 및 용량결정 - 동물시험을 통한 기능성 검증: Pentobarbital 유도로 인한 수면 시 소재의 수면개선 기능성을 평가하여 명확한 작용기전 규명, 섭취량 결정 및 기능성 확증1) 동물시험 디자인: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라인 적합2) 목표: 섭취량 결정In vivo 생화학적 분석 - 혈 중 melatonin - 뇨 중 6-Sulfatoxymelatonin - 조직 내 GABA함량측정 - 과산화지질 함량측정분자생물학적 분석 - 과학적 기전설명을 위한 분석 진행수면시간측정 - 정좌반사(Righting reflex)를 기준으로 수면 유도시간과 수면지속 시간 측정수면구조 및 프로파일 분석 - EEG/EMG 분석사) 세부목표 -임상시험 기획 본 연구의 목표는 수면다원 검사(polysomnography, PSG)와 수면설문검사를 통한 임상시험을 통한 인체적용 효능평가 과업이행계획1) 임상시험● 수면다원검사 (Polysomnography)● 다중 수면 잠복기 검사● (Multiple sleep latency test)● 안전도(electrooculogram, EOG), 근전도(electromyogram, EMG),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뇌파 검사, 호흡정도 및 호흡량 측정, 혈중 산소포화도 측정 등이 포함●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2) 인체시험 디자인: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라인 적합3) 목표: 개별인증 기준 적합한 데이터 확보1. 불면증 치료 및 수면 개선 효과를 보이는 천연물 및 한약재 탐색 및 확정 및 표준화 -하수오와 죽엽의 유전자 분석 및 지표물질 탐색 -원료물질 제형 선택- 추출방식, 건조방식, 분말화 방식 등에 대한 탐색 및 표준화 작업2. 최적의 복합원료 배합비의 근거 확보를 위한 기초 실험.3. In vitro 효능검증을 통한 세포단위 효능검증; In vitro 스크리닝 가. ­ 수면은 매우 복잡한 생리현상으로 GABA, serotonin, histamine, adenosine 등 다양한 신경전달 물질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작용기작이 다른 다양한 수면제들이 현재 출시되었거나 개발되고 있다. 수면을 유도하는 성분을 찾기 위해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수용체에 대한 결합활성을 우선적으로 평가하고자 함. 나. ­ 방사선 동위원소를 사용하는 radio-ligand binding assay로 수용체 결합활성을 측정. 다. ­ 방사선 동위원소가 표지된 물질(기존의 알려진 결합물질, radio-ligand)과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을 경쟁적으로 수용체에 결합시키는 competitive binding assay 사용 ­ Radio-ligand를 이용한 binding assay는 특정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가 다량으로 분포하고 있는 뇌 조직이나 발현된 세포의 membrane을 만들고 여기에 radio-ligand와 시험물질을 동시에 반응시킨 후 결합하지 못한 radio-ligand를 glass fiber filter를 이용하여 제거. ­ 이후 liquid scintillation analyzer를 이용하여 radioactivity를 측정. ­ 농도별 측정값으로부터 IC50을 계산하여 결합활성이 우수한 소재들을 스크리닝함.­ -수면증진 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인 GABA의 type A receptor에 대한 결합력을 측정.3. 동물 실험을 통한 전임상 실험 보완 및 효능 검증­ 가. In vitro 효능 검사에서 선별된 발효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 동물 효능 검증을 통한 수면 조절 물질 증명­ 나. In vivo 수면증진 기능성 평가 방법은 주로 설치류를 이용한 pentobarbital 유도수면 시험과 수면 구조 및 프로파일 분석.4. 임상실험 가. 수면다원 검사(polysomnography, PSG);뇌파(EEG),안구운동(EOG), 하악 근전도(Chin EMG), 다리 근전도(Leg EMG),심전도(EKG), 코골이(Snoring), 호흡(Respiratory Airflow), 호흡 운동(Respiratory Effort), 혈중산소포화농도(Oxymeter)를 측정 나. 수면설문조사

  • 커피 체리 펄프(카스카라)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

    (1425167590)

    2022

    건강기능식품 개발 지원사업(R&D)

    이재경

    한국씨엔에스팜

    중소벤처기업부

    10000000 (10000000)

    개발내용 및 방법● CBP추출물의 섭취량설정 동물시험 protocol 확립 - 선행기술에 사용된, HFD 공급으로 비만이 유도된 ICR마우스 모델의 적정성 검토와 실험동물모델을 확립 - CBP추출물의 투여용량을 선행기술을 통해 dose dependant한 결과가 예상되는 농도로 설정(100 ~ 400 mg/kg)하고, 양성대조약물의 적정성을 검토 함 - 선행기술에 사용된, CBP추출물의 스크리닝 동물실험에서 검증한 항비만 바이오마커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체지방 감소 기능성 확인을 위한 유효 바이오마커 확립● CBP추출물의 지표성분 선정 및 분석법 validation - CBP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은 커피원두와 같음이 문헌을 통해 확인되었으므로, chlorogenic acids, caffeine, trigonelline,epicatechin 등의 생리활성 성분의 분석법으로 정량분석 - 정량분석 된 생리활성 성분 중 CBP추출물에 높은 함량으로 포함된 성분이면서, 제조공정 상에서 농축률과 지표성분의 특이성, 정확성, 정밀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성분을 선정하여 validation 함. - 해외 협력사에서 생산된 여러 lot의 CBP추출물 검체를 확보하여 validation된 시험법 및 지표성분으로 표준화 준비● CBP추출물의 체지방 감소 기능성 확인 시험 - 선행기술인 스크리닝 동물시험을 통해 확인 된 체지방 감소 기능성에 유효한 바이오마커 중 in vitro상에서 확인 가능한 바이오마커에 의해 확인시험 -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_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편'과 자문을 통해 바이오마커를 선정함에 있어, 기전설명을 통해 기능성 신청이 가능하도록 기획 함. ● CBP추출물의 체지방 감소 기능성원료 소재로의 개발전략 확립 및 사업계획 - CBP추출물은 선행기술을 통해 체지방 감소 및 항산화에 의한 간대사 활성의 개선효과를 확인하였음.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로 신청하기 위해 섭취량설정 및 기전에 대한 동물시험과 인체적용시험의 protocol 기획 및 절차를 자문을 통해 설정하고 기획 함. - 체지방 감소 기능성원료로 인정받은 후 제품화 및 마케팅에 의한 사업계획에서 필요한 요건들은 자문을 통해 사업계획서 작성.

  • 이해정

    (한국영양학회/가천대학교/국무총리 산하 공정거래위원회/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식품의약품안전처/(사)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가천대학교 길병원/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사

    임상역학

    논문 (138/146)

    지식재산권 (11/13)

  • 김영준

    (고려대학교/고려대학교/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건기식연구회/한국식품영양과학회/식품의약품안전처/농업과학원/고려대학교/한국식품영양과학회/서울대학교/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박사

    식품공학

    논문 (20/95)

    지식재산권 (0/58)

  • 김희선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 구두발표 : 개인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및 제도화

    2023

    학술대회

    홍지연

    2023년 건강기능식품 학술 · 정책 포럼

    맞춤형건강기능식품규제샌드박스운영 및 제도현황 ,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및 기술분석 , 추천 알고리즘 표준모델 개발 및 활용

  • GC-MS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중 옥타코사놀 분석법 개발 연구

    2018

    학술지

    이진희; 오미현; 이경진 더 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복합제품 개발 및 일반식품 형태의 제품개발 확대에 따라 옥타코사놀의 특이성 및 감도 등이 개선된 분석법을 마련하여 향후 공정시험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건강기능식품 중 옥타코사놀의 함량분석을 위해 GC-MS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고 유통중인 제품을 대상으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분석법 검증은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에 대해 수행하였다. $12.5{\sim}200{\mu}g/L$의 농도범위에서 $r^2

  • 건강기능식품 중 면역기능 증진 기능성 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 조사

    2014

    학술대회

    서일원; 이화정; 반경녀 더 보기

    2014년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국제심포지엄, 정기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2014.10.27

    건강기능식품기능성은 인체적용시험 및 동물시험 자료 등의 과학적 근거를 입증하여야 하며, 현재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된 기능성의 종류는 총 31종으로 이 중 6종의 기능성은 산업체 제품 개발 시 경쟁력 강화와 심사자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가 마련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총 21개의 개별인정원료가 인정되어 있는 '면역기능 증진' 기능성의 평가 가이드 개발을 위해 해당 기능성의 시험관시험, 동물시험, 인체적용시험 바이오마커에 대해 인정된 원료의 근거자료, 논문, EFSA 보고서 등을 분석하여, 바이오마커의 적절성을 검토 조사하였다. 기 인정된 원료의 면역기능 향상 바이오마커로 비장세포 및 Lymphocytes 등 5건, 동물시험에서는 사이토카인 및 T 림프구 증식능 등 6건, 인체적용시험에서는 NK세포 활성능 등 5건이었으며, 이외에 33편의 면역기능 향상관련 논문과 EFSA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시험관시험은 TNF-α, NO 등, 동물시험에서는 IFN-γ, 비장세포 증식 등, 인체적용시험에서는 TNF-α, 대식세포 수 등의 분석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면역기능 기능성의 평가 가이드 마련을 위한 연구결과의 일부이며, 식품학, 의학, 약학, 독성 및 생화학, 임상시험기관의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의 '면역기능' 편을 마련할 예정이다.

표/그림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규격 평가 연구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전망 분석 및 발전방향 제시
    건강기능식품 시험법 공전 개선 연구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고시화를 위한 시험법 연구
  • 밀싹의 유용대사체 구명을 통한 건강기능식품 소재 원천기술 개발

    2021

    김현영

    국립식량과학원

    생명해양

    ... 추출물의 경우 뼈건강, 항산화능 및 항염(면역)활성 이라는 복합 기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우수한 기능성들은 각각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등을 통하여 건강기능식품 및 일반식품 소재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 가공제품으로만 활용되었던 우리밀이 밀싹의 원료가 되어, 이제는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성분 고함유 식품건강기능성 소재라는 인식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나아가 국민과 ...

  • 국내 자생 수국을 이용한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의 글로벌 산업화

    2021

    이선희

    코스맥스바이오(주)

    생명해양

    ...ea macrophylla subsp. serrata (Thunb.) Makino)을 피부건강 기능성 소재로 선정하였다. 이어 진행한 세포 및 동물시험에서 수국잎열수추출물의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 기능성 소재 발굴 및 제품 개발은 국산농산물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화장품에 이은 제2의 K뷰티로서 이너뷰티 식품시장에 도화선이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고유자원을 이용한 수면개선 기능성소재 연구개발 및 산업화

    2015

    조승목

    한국식품연구원

    생명해양

    ... 수면을 개선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앞으로 이렇게 달라집니다 [새로운 시장 창출을 통한 국내 식품의약품산업의 발전]국내 최초 수면개선 건강기능식품의 개별인정 획득 및 제품 출시로 국내 식품의약품산업에 ... 정도로 급 격히 증 가하고 있으며, 국 가보건차원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수면개선 건강기능식품을 통해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나아가수면장애로 인한 안전사고 및 업무능력 저하 등으로 발생하는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