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사전 사업성 조사 -수면장애, 불면증 관련 고객수요 및 사업가능성 타진 - 경제성 평가 및 사업 성공시 매출 계획 나. 사전 시장성 조사 -국내외 유사 건강기능식품 시장조사다, 사전 기술특허 분석 -기존 유사특허 조사 -회피전략 구성 -기술 분석라. 건강기능식품 등록을 위한 전주기 과제 프로세스 조사 및 사업기획마. 연구개발계획서 작성 및 연구개발 전략 구성 바. 세부 목표-전임상시험 본 연구의 목표는 Pentobarbital 유도로 인한 수면증진 소재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함과업이행계획 - 단독추출물 및 혼합물 비교우위시험 - 단독추출물간 시너지 효과시험 - 시험관시험을 통한 기능성 검증: 명확한 작용기전 규명 및 용량결정 - 동물시험을 통한 기능성 검증: Pentobarbital 유도로 인한 수면 시 소재의 수면개선 기능성을 평가하여 명확한 작용기전 규명, 섭취량 결정 및 기능성 확증1) 동물시험 디자인: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라인 적합2) 목표: 섭취량 결정In vivo 생화학적 분석 - 혈 중 melatonin - 뇨 중 6-Sulfatoxymelatonin - 조직 내 GABA함량측정 - 과산화지질 함량측정분자생물학적 분석 - 과학적 기전설명을 위한 분석 진행수면시간측정 - 정좌반사(Righting reflex)를 기준으로 수면 유도시간과 수면지속 시간 측정수면구조 및 프로파일 분석 - EEG/EMG 분석사) 세부목표 -임상시험 기획 본 연구의 목표는 수면다원 검사(polysomnography, PSG)와 수면설문검사를 통한 임상시험을 통한 인체적용 효능평가 과업이행계획1) 임상시험● 수면다원검사 (Polysomnography)● 다중 수면 잠복기 검사● (Multiple sleep latency test)● 안전도(electrooculogram, EOG), 근전도(electromyogram, EMG),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뇌파 검사, 호흡정도 및 호흡량 측정, 혈중 산소포화도 측정 등이 포함●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2) 인체시험 디자인: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라인 적합3) 목표: 개별인증 기준 적합한 데이터 확보1. 불면증 치료 및 수면 개선 효과를 보이는 천연물 및 한약재 탐색 및 확정 및 표준화 -하수오와 죽엽의 유전자 분석 및 지표물질 탐색 -원료물질 제형 선택- 추출방식, 건조방식, 분말화 방식 등에 대한 탐색 및 표준화 작업2. 최적의 복합원료 배합비의 근거 확보를 위한 기초 실험.3. In vitro 효능검증을 통한 세포단위 효능검증; In vitro 스크리닝 가. 수면은 매우 복잡한 생리현상으로 GABA, serotonin, histamine, adenosine 등 다양한 신경전달 물질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작용기작이 다른 다양한 수면제들이 현재 출시되었거나 개발되고 있다. 수면을 유도하는 성분을 찾기 위해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수용체에 대한 결합활성을 우선적으로 평가하고자 함. 나. 방사선 동위원소를 사용하는 radio-ligand binding assay로 수용체 결합활성을 측정. 다. 방사선 동위원소가 표지된 물질(기존의 알려진 결합물질, radio-ligand)과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을 경쟁적으로 수용체에 결합시키는 competitive binding assay 사용 Radio-ligand를 이용한 binding assay는 특정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가 다량으로 분포하고 있는 뇌 조직이나 발현된 세포의 membrane을 만들고 여기에 radio-ligand와 시험물질을 동시에 반응시킨 후 결합하지 못한 radio-ligand를 glass fiber filter를 이용하여 제거. 이후 liquid scintillation analyzer를 이용하여 radioactivity를 측정. 농도별 측정값으로부터 IC50을 계산하여 결합활성이 우수한 소재들을 스크리닝함. -수면증진 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인 GABA의 type A receptor에 대한 결합력을 측정.3. 동물 실험을 통한 전임상 실험 보완 및 효능 검증 가. In vitro 효능 검사에서 선별된 발효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 동물 효능 검증을 통한 수면 조절 물질 증명 나. In vivo 수면증진 기능성 평가 방법은 주로 설치류를 이용한 pentobarbital 유도수면 시험과 수면 구조 및 프로파일 분석.4. 임상실험 가. 수면다원 검사(polysomnography, PSG);뇌파(EEG),안구운동(EOG), 하악 근전도(Chin EMG), 다리 근전도(Leg EMG),심전도(EKG), 코골이(Snoring), 호흡(Respiratory Airflow), 호흡 운동(Respiratory Effort), 혈중산소포화농도(Oxymeter)를 측정 나. 수면설문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