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관련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진행(매년)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관련 수행기관의 기술·시장동향 의견 수렴을 통한 주요 키워드 업데이트(1차년도 내용 기준) - 키워드 기반 항목별 글로벌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진행(분석 보고서 형식) - 해당 키워드 기반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작성 후 세부과제에 제공함으로써 연구개발 지원□ 수행기관 참여연구원의 기초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가세미나 개최(매년) - 수행기관 참여연구원의 R&D 과제 수행/관리를 위한 규정, 법률 등 정보 제공 - PMP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계획서 및 보고서 작성 방법, 응용기술(빅데이터, AI 등)의 이해 관련 기본교육 제공 - 이 외 설문조사를 통한 수행기관 실무자 니즈 기반 바이오 R&BD 관련 교육 프로그램 구축(차기 전문가세미나를 통해 해당 교육 제공)□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개발 로드맵 수립 - 실무위원회 내 연구회를 통해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관련 차기 품목 및 프로젝트에 대한 개발 로드맵 내용 업데이트 - 연구회를 통해 도출한 개발 로드맵 정리 및 제출□ 연구수행자간 성과 및 기술교류를 위한 워크샵 개최(매년) - 세부과제별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기술 개발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 및 극복 노하우 등을 공유하고, 유기적인 협력연구 추진을 통해 효율적인 연구개발 지원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관련 외부전문가 특별강연 등을 통한 기술교류 추진□ 효율적인 세부과제 성과 도출을 위한 실무위원회/운영위원회 진행(매년) - 과제의 기본방향, 추진내용 및 일정, 주요변경 사항 등을 검토하고, 세부과제 추진 방향, 방법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 기술적 자문 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도록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위원회 운영. - 세부과제 성과를 수시 모니터링하고, 과제에서 해결해야 할 현안에 대한 토의 및 해결방안 공동 모색을 위해 수행기관 책임자로 구성된 실무위원회 운영. - 실무위원회를 통해 과제팀과 정부부처 및 전담기관 간 소통창구 역할 수행 - 실무위원회 내 수행기관 니즈 기반의 시장동향 키워드 및 개발 로드맵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연구회 구성 및 운영□ 연구 성과 및 결과 홍보 진행 - 세부과제 연구개발 성과에 따라 국내외 학회 및 글로벌 컨퍼런스 참여를 통한 성과 홍보 지원□ 성과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소회의체 및 SNS 기반 행정 지원 체계 구축(매년) - 세부과제 성과를 수시 모니터링하고, 과제에서 해결해야 할 현안(연구 진행사항, 위험요소 등)을 논의하는 소회의체 수시 운영 - R&D 과제 협약 변경, 사업비 관리, 주요 규정 개정사항 안내 등 과제 수행 및 관리와 관련한 전 범위 행정 지원체계 구축 - 과제의 원활한 관리를 위한 SNS 기반 네트워킹 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