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

  • 검색건수

    • 510,557건

전체

  • C-Zreo 바이오플랫폼용 2,3-부탄 다이올 및 유도체 생산기술 개발

    (1415115943)

    2011

    바이오의료기기산업원천기술개발

    이희종

    한국바이오연구조합

    지식경제부

    50000000 (50000000)

    - 선택된 균주의 in silico 대사회로 분석- 돌연변이를 이용한 균주 개발 (2,3-BDO 생산량 20 g/L 이상)-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2,3-BDO 발효 공정 최적화- 발효 및 회수 연계공정 연구- 2,3-BDO유도체합성 촉매 성능개선(2건 이상)- 2,3-BDO유도체합성 공정요소기술 개발(수율 50% 이상)- 바이오 2,3-BDO 로 레진합성

  • (총괄)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개발

    (1415178444)

    2022

    바이오산업기술개발

    박용철

    한국바이오연구조합

    산업통상자원부

    100000000 (110000000)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관련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진행(매년)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관련 수행기관의 기술·시장동향 의견 수렴을 통한 주요 키워드 업데이트(1차년도 내용 기준) - 키워드 기반 항목별 글로벌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진행(분석 보고서 형식) - 해당 키워드 기반 기술 및 시장동향 분석 보고서 작성 후 세부과제에 제공함으로써 연구개발 지원□ 수행기관 참여연구원의 기초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가세미나 개최(매년) - 수행기관 참여연구원의 R&D 과제 수행/관리를 위한 규정, 법률 등 정보 제공 - PMP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계획서 및 보고서 작성 방법, 응용기술(빅데이터, AI 등)의 이해 관련 기본교육 제공 - 이 외 설문조사를 통한 수행기관 실무자 니즈 기반 바이오 R&BD 관련 교육 프로그램 구축(차기 전문가세미나를 통해 해당 교육 제공)□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개발 로드맵 수립 - 실무위원회 내 연구회를 통해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관련 차기 품목 및 프로젝트에 대한 개발 로드맵 내용 업데이트 - 연구회를 통해 도출한 개발 로드맵 정리 및 제출□ 연구수행자간 성과 및 기술교류를 위한 워크샵 개최(매년) - 세부과제별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기술 개발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 및 극복 노하우 등을 공유하고, 유기적인 협력연구 추진을 통해 효율적인 연구개발 지원 -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고도화 소재 관련 외부전문가 특별강연 등을 통한 기술교류 추진□ 효율적인 세부과제 성과 도출을 위한 실무위원회/운영위원회 진행(매년) - 과제의 기본방향, 추진내용 및 일정, 주요변경 사항 등을 검토하고, 세부과제 추진 방향, 방법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 기술적 자문 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도록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위원회 운영. - 세부과제 성과를 수시 모니터링하고, 과제에서 해결해야 할 현안에 대한 토의 및 해결방안 공동 모색을 위해 수행기관 책임자로 구성된 실무위원회 운영. - 실무위원회를 통해 과제팀과 정부부처 및 전담기관 간 소통창구 역할 수행 - 실무위원회 내 수행기관 니즈 기반의 시장동향 키워드 및 개발 로드맵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연구회 구성 및 운영□ 연구 성과 및 결과 홍보 진행 - 세부과제 연구개발 성과에 따라 국내외 학회 및 글로벌 컨퍼런스 참여를 통한 성과 홍보 지원□ 성과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소회의체 및 SNS 기반 행정 지원 체계 구축(매년) - 세부과제 성과를 수시 모니터링하고, 과제에서 해결해야 할 현안(연구 진행사항, 위험요소 등)을 논의하는 소회의체 수시 운영 - R&D 과제 협약 변경, 사업비 관리, 주요 규정 개정사항 안내 등 과제 수행 및 관리와 관련한 전 범위 행정 지원체계 구축 - 과제의 원활한 관리를 위한 SNS 기반 네트워킹 체계 구축

  • 바이오기반 체외진단기기 사업화 지원

    (1711029005)

    2015

    바이오·의료기술개발

    이승규

    한국바이오연구조합

    미래창조과학부

    100000000 (1000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1) 산업계 기술개발정보(R&BD정보) DB 구축활동 : 산업계 R&BD정보 DB구축을 위해 조사대상에 대한 정보수집과 분석을 거쳐 보고서를 작성하고, DB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DB정보를 활용하여 연관성이 있는 기술(기관)이 발견될 경우 사업화를 위한 매칭 서비스를 지원2) 산·학·연 네트워크 연계활동 : 산업계 주체들의 주요 클러스터인 '체외진단협의회'와 200여개에 이르는 바이오연구조합 회원사, 보유 매체(바이오뉴스)를 활용한 산·학·연 네트워크 교류 및 홍보채널을 확보하여 사업화와 관련한 공동대응의 기반으로서 활용3) 사업화 지원활동 : 구축 DB와 네트워크 활동으로 확인된 정보기반 사업화/비즈니스 협력 매칭 지원(공동 IR 개최 등), 인·허가 관련 공동대응, 글로벌 파트너링 지원을 위한 국제행사 참여 등4) 전문적 단위과제 관리/지원활동 : 정확하고 객관적인 적시 지원을 목적으로 프로젝트 관리 국제표준 기반의 일정관리를 지원하고 성공적인 성과도출을 위한 지원회의체를 도입/운영하며, 성과확산을 위한 기술교류와 실무자 교육, 특허관련 경비를 지원

  • 최강열

    ((주)씨케이바이오텍/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 언더우드 특훈 교수/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박사

    생화학

    논문 (419/483)

    지식재산권 (74/130)

  • 정원교

    (한국조류학회/한국식품영양과학회/한국조류학회/부경대학교/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부경대학교/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한국해양바이오학회/한국과학기술한림원)

    박사

    생리활성물질영양학

    논문 (248/330)

    지식재산권 (14/144)

  • 김인산

    (경북대학교/한국과학기술연구원/주식회사 시프트바이오)

    박사

    생화학

    논문 (229/235)

    지식재산권 (24/145)

  •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안전성 유효성 평가 동향

    2018

    학술지

    이향애; 이향애

    2018년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과학 컨퍼런스

    2018.09.17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 및 만성질환의 증가로, 비교적 부작용이 적고 효과적인 바이오의약품 개발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개발된 의약품의 안전성 및 약효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또한 활발히 연구 되고 있다. 기존의 비임상시험 초반에 수행되는 대부분의 in vitro 시험의 경우, 시험수행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불멸화된 세포주(immortalized cell lines)를 배양접시에 2차원적으로, 주변 환경의 변화가 없는 정적인(static) 상태에서 배양하는 조건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인체 내 환경을 충분히 모사하지 못함으로써 실험결과 해석 및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실험동물 유래의 세포는 종간 차이(Species difference) 및 생명존중에 대한 윤리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거론되어왔다. 최근 다양한 줄기세포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인간 줄기세포를 체내와 유사한 3차원적 환경을 제공하여 비임상시험에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의약품 평가에 활용하기 위한 줄기세포 기반 오가노이드(organoid) 및 조직공학이 접목된 칩(chip) 기반 기술, 3차원 구조체 분석을 위한 바이오이미징(bioimaging) 기술 및 인실리코(in silico) 기반 예측모델들의 개발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 이러한 첨단기술들은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개선되어야할 부분들이 있지만, 향후 실험동물 대체와 고도화된 임상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혁신적인 의약품 개발을 지원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 스테인리스 스틸 쿠폰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쿠폰 표면에서의 Salmonella Typhimurium 바이오필름 형성

    2018

    학술대회

    박샛별; 김기영; 유진영

    2018 한국농업기계 추계 학술대회

    2018.10.19

    본 연구는 식중독 발생 원인균인 Salmonella Typhimurium (S. typhimurium)에 의해 형성되는 바이오필름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바이오필름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쿠폰을 tryptic soy broth 배지에 담가 7일간 37℃에서 배양하며 재질에 따른 쿠폰 표면의 바이오필름 형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형성된 바이오필름의 효율적인 회수 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바이오필름 탈리과정에서 glassbeads(GBs) 첨가한 후 강하게 교반하는 방법으로 쿠폰 표면에 부착된 세균을 회수하였고, 이를 일반세균수 시험법으로 회수된 균수와 비교하였다. HDPE 쿠폰과 스테인리스 스틸 쿠폰의 부착균수는 각각 4.56±0.13 log CFU/cm2와 4.68±1.01 log CFU/cm2이었고, 재질에 따른 S. typhimurium의 부착 정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HDPE 쿠폰의 GBs 첨가군과 비첨가군의 바이오필름 부착균수는 각각 4.46±0.37 log CFU/cm2와 4.65±0.88 log CFU/cm2이었고, 스테인리스 스틸 쿠폰의 GBs 첨가군과 비첨가군의 바이오필름 부착 균수는 각각 5.40±0.34 log CFU/cm2와 4.17±0.51 log CFU/cm2였다. HDPE 쿠폰의 경우 회수과정에서 GBs 첨가군/비첨가군 간의 부착 균수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p>0.05), 스테인리스 스틸 쿠폰의 경우 GBs 첨가군과 비첨가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바이오필름 탈리 과정에서 GBs 첨가가 회수 효율을 높인 것으로 판단된다.바이오필름의 경우 유사한 life cycle을 거쳐 형성되므로, 본 연구는 병원성 세균의 바이오필름과 관련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HDPE를 기반으로 한 신선 편이 가공 시설 및 기구의 안전성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 흐름주입식 바이오센서용 기직용액 자동희석 장치 개발

    2007

    학술지

    송대빈; 정효석; 정대홍 더 보기

    바이오시스템공학

    2006.01.01

    기존의 흐름주입식 분석에서 사용된 확산에 의한 용액희석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발효공정의 온라인 감시를 위한 바이오센서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기질용액 자동희석장치를 화학분석에서 시행되는 관행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증류수를 이용한 펌프 토출량 실험결과 상대오차는 전 실험 구에서 2.00% 이하로 나타났으며, 표준편차 역시 0.0030 이하로 나타나 구성된 희석장치는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종류(포도당, 젖산, 에탄올)의 기질용액을 사용한 자동희석 실험 결과, 포도당과 젖산의 경우 희석비율 1/10, 기질체적 70 ㎕, 80 ㎕에서 상대오차가 2.0% 이하로 나타났으며, 에탄올의 경우 희석비율 1/30, 기질체적 70 ㎕에서 상대오차가 역시 2.0% 이하로 나타나, 자동희석장치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실제 발효공정에 적용을 위해서는 장치구성, 공정제어, 자료수집 및 처리 등 여러 면에서 보다 많은 연구 및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그림

  • 전기방사 와 3D 바이오 프린팅된 하이브리드 나노 복합체 제조 기술 개발
    조현병 바이오타이핑을 통한 조기진단 및 치료기술 개발 연구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바이오매스/에너지 개발
    바이오 및 자원순환 핵심기술 개발
  • 의료용 바이오 플라스틱 PLGA 생산 미생물 개발

    2017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해양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바이오 생산기후 변화 대응을 위하여 국제적인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석유와 같은 화석 원료 대신 생물체가 만들어내는 유기물질인 바이오매스로부터(폐목재, 농업 폐기물, 잡초 등) 연료, 플라스틱, 각종 화학제품들을 생산하는 종합적인 기술인 '바이오리파이너리'가 부상하고 있다. 수입 원유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

  • 해양 바이오매스에서 만드는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2023

    정규열

    포항공과대학교

    생명해양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바이오 플라스틱, 원료 비용 절감이 가장 중요하다간편하고 맛있는 배달 음식. 하지만 음식을 먹고 난 뒤 쌓이는 플라스틱은 환경을 급속도로 오염시키며 우리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일명 '썩는 플라스틱'이라고 불리는 바이오 플라스틱이며, 다양한 물성을 가지는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지금보다 다양한 바이오플라스틱의 ...

  • 디젤 차량용 연료 바이오디젤 개발

    2006

    이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

    환경오염의 종합 해결사!대기오염을 막는 신개념 바이오 디젤을 만난다. 폐식용유를 사용한 보다 저렴하고 환경친화적인 경유 대체연료, 바이오디젤 개발에 성공하다[폐식용유를 바이오 디젤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다] 경유 차량에서 배출되는 공해물질이 환경오염의 주범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대기오염 물질과 지구 온난화 효과가 적은 바이오 디젤의 보급이 전 세계적으로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