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년도는, 아토피피부염에서 시작하여 천식, 알레르기 비염으로 발전하는 알레르기행진에 대한 동물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hairless 마우스에 알레르겐(ovalbumin)을 경피를 통하여 감작한 한 후, 호흡기를 통하여 같은 항원을 유발시켜 천식 유도 효과를 관찰한다. 필수지방산 결핍(EFAD) 사료 급이를 통해 피부장벽 손상 모델을 확립하고, 손상된 경피를 통해 알레르겐을 감작시켜 아토피피부염을 거쳐 천식유발을 관찰한다. 천식발생의 평가를 위해 기도과민성을 비롯한 기관지폐포세척액 염증세포분획, 폐조직 분석 등을 조사하고, TSLP, Th17/Th1/Th2 세포의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농도와 전신 면역글로불린 (혈청내 IgE/IgG1/IgG2a, 항원특이-IgE/IgG1/IgG2a,) 농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알레르기행진에서의 관련 싸이토카인들의 변화 관찰을 통한 기전 연구를 함께 실시한다. 2차년도는, 완성된 알레르기행진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최근 알레르기질환에서의 역할이 논란이 되고 있는 TSLP, Th17를 포함하여,Th1/Th2 사이토카인의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농도와 면역글로불린 (혈청내 IgE/IgG1/IgG2a, 항원특이-IgE/IgG1/IgG2a,) 농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알레르기행진에서의 관련 싸이토카인들의 변화 관찰을 통한 기전 연구를 함께 실시한다. 2차년도는, 완성된 알레르기행진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최근 알레르기질환에서의 역할이 논란이 되고 있는 TSLP와 Th17를 이용하여, 알레르기행진의 기전을 규명한다. 구체적으로, 알레르기행진 마우스에서 anti-TSLP Ab와 anti-Th17 Ab를 주입한 후, 1차년도 연구에서의 천식 유발 평가 항목과 싸이토카인 연구 평가 항목을 동일하게 조사하여 TSLP 및 Th17이 관련이 있는지를 규명한다. 3차년도는, 1,2차년도에서 밝혀진 알레르기행진의 기전을 차단하기위한 근본적 면역치료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TSLP를 포함한 알레르기질환의 기전에 관련된 많은 인자들을 매개한다고 알려진 수지상세포를 이용하여 면역치료를 개발한다. 구체적으로, "위생가설“에 근거한 면역조절 기능이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를 수지상세포와 함께 배양하여 성숙을 유도하여 in vivo로 투여하여 전년도와 동일한 천식유발 평가 항목들과 싸이토카인들을 측정하여 그 효능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