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건수

    • 8,261건
  • 대역단어

전체

  • 뇌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삼투압으로 세포내이입을 카비올레로 보내는 폴리만니톨유전자전달체를 이용한 알츠하이머의 beta-secretase siRNA 치료

    (1711019521)

    2014

    신진연구자지원

    조종수

    서울대학교

    미래창조과학부

    50271000 (50271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

    1) 1차년도 (2014-2015) 가) 뇌세포 특이성 및 삼투압 활성기가 도입된 다기능성 고분자 전달체(polymannitol gene transporter-RVG peptide)의 설계 및 합성 나) 모델 siRNA/전달체 복합체에 대한 물리화학적 성질, in vitro에서의 세포독성 및 gene silencing을 측정 2) 2차년도 (2015-2016) 가) ß-secretase (BACE1) siRNA/고분자 복합체의 In vitro 평가와 메커니즘 규명 나) 효과적인 유전자전달에 의한 알츠하이머 질병 치료효과 규명 (나노입자의 뇌세포인식능, 라이소좀 회피 효율 확인) 3) 3차년도 (2016-2017) 가) BACE1 siRNA /고분자 복합체의 In vitro BBB 통과 효율 평가 나) BACE1 siRNA/고분자 복합체의 in vivo 평가 (mRNA, 단백질 수준에서 평가

  • 와버그 효과 조절을 통한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

    (1465026765)

    2018

    질환극복기술개발(R&D)

    이종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267134000 (267134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4)

    1차년도: 비유전적, 유전적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Warburg 효과와 알츠하이머 질환의 상관관계 분석□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Warburg 효과 발생 부위와 비발생 부위의 Whole brain imaging을 통한 MRI 분석 유효성 확인□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Warburg 효과 발생 부위의 알츠하이머 특이 단백질의 상관관계 규명2차년도: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Warburg 효과의 조직-병리학적 특성 분석□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Warburg 효과가 나타난 뇌부위 내 당질대사 연관 표지자의 발현 이상 분석□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Warburg 효과가 나타난 뇌부위 내 신경세포체 내 세포소기관의 조직학 이상 소견 분석□ Warburg 효과가 나타난 뇌부위 내 시냅스 연접 이상 분석3차년도: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Warburg 효과의 생화학적 특성 분석, 뇌대사 반영 신경심리평가 기법 개발□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Warburg 효과가 나타난 뇌부위 내 단백질체 분석□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에서 Warburg 효과가 나타난 뇌부위 내 분비단백질체 분석□ 전임상 동물모델에 적용가능한 신경심리평가 기법 제시

  • 광유전학적 뉴로-피드백 기법을 통한 알츠하이머 질환 동물 모델 해마에서의 비정상 뇌파 제어 기술 개발 및 치료 연구

    (1345260122)

    2017

    BK21플러스사업(0.5)

    박결

    고려대학교

    교육부

    15000000 (15000000)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음○ 알츠하이머 질환 및 Aβ에 의한 해마 내 비정상 뇌파 현상 및 기전 연구- 다중 전극을 이용해 알츠하이머 질환 및 Aβ에 의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해마 뇌파 특성 연구 - 전기생리학적 방법 및 면역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및 Aβ에 의해 손상되는 시냅스 및 세포 종류 규명 ○ 실시간 신경세포 활성 분석 및 광유전학적 신경세포 활성 조절이 가능한 뉴로-피드백 기술 개발- 실시간으로 시냅스 전 신경세포의 활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시냅스 후 신경세포의 활성을 예측하는 신경신호 분석 및 예측 알고리즘 개발- 특정 신경세포 종류의 활성 조절을 위한 광유전학적 기술 구축- 실시간 신경세포의 활성 분석 알고리즘과 광유전학적 기술을 적용한 뉴로-피드백 인터페이스 구축○ 뉴로-피드백 기술을 이용하여 비정상 해마 뇌파의 회복 가능성 연구- 실시간 신경신호 분석 및 신경세포 종류별 선택적 활성화가 가능한 광유전학 기반 뉴로-피드백 기술을 이용한 손상 신경세포의 활성 회복 연구- 실시간 신경신호 분석 및 광유전학 기반 뉴로-피드백 기술을 통하여 뇌파 조절 및 비정상 뇌파의 회복 연구

  • 최보영

    (가톨릭대학교)

    석사

    의학물리학

    논문 (713/714)

    지식재산권 (9/52)

  • 김세권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한국과학기술한림원)

    석사

    식품공학

    논문 (265/319)

    지식재산권 (72/138)

  • 함승주

    (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한국공학한림원)

    박사

    공학

    논문 (115/198)

    지식재산권 (55/207)

  • 알츠하이머 질병의 원인인자인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들의 진단을 위해 형광성을 지닌 찰콘 모방 화합물의 개발

    2014

    학술대회

    정승진; 박용대

    2014년도 한국 방사선 산업학회 학술발표 대회

    2014.10.07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 질환으로서, 발병 초기에는 주로 최근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여러 인지기능의 이산을 동반하게 되다가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의 호발 연령은 65세 이후이나 40, 50대에서도 발생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정확한 발병 기전과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있지는 않지만, 현재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작은 단백질이 과도하게 만들어져 뇌에 플라크를 형성하면서뇌세포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발병의 핵심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알츠하이머병의 주 원인인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진단을 위해 찰콘을 모방하여 5개의 형광성 프로브를 합성하였고, 이들의 광학적 특징과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에 대한 반응들을 측정 하였다. 그 결과 프로브14c (Ex 438 nm, Em 640 nm, 93.6 fold increase, KD=0.85μM, Log P = 3.15) 가 베타 아밀로이드진단 프로브로서 가장 적합 하였다. 또한 프로브 14c 는 알츠하이머 형질 전환 마우스 (APP/PS1)의 뇌조직 절편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선택적으로 염색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혈액 뇌관문을 통과하여 브레인에 있는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반응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찰콘 프로브 14c 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원인 인자인 베타 아밀로이드를 진단할 수 있는 형광 진단제로 이용될 수 있을 거라 보여지며, 또한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 관련 연구에서도 유용하게사용될 수 있을 거라 여겨진다.

  • 운동 및 프로바이오틱스 중재가 뇌혈관 기능 이상과알츠하이머 질환 개선에 미치는 영향

    2024

    학술지

    이동현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2024.11.30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병리적 진행에 있어 장내 미생물 특성과 뇌혈관 기능이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퇴행성 뇌신경질환 개선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와 그 가능성을 정리하였다. 알츠하이머 질환은 뇌 조직 내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 축적과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로 인한 신경 퇴행성 손상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병리적 변화는 심혈관 기능 손상과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특히 장내 미생물 유래 대사산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조절을 통해 심혈관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규칙적인 운동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장내 미생물의 생태계에 유익한 변화를 일으켜 염증을 억제하고 혈관 기능을 향상시키므로 알츠하이머 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이에 본 연구는 장내 미생물 조절과 뇌혈관 건강 개선이 알츠하이머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비약물적 접근법으로유용하게 활용될 가능성을 제안하며 이를 입증하기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일련의 신경 심리학 테스트와 함께 순환 신경망을 사용하여 알츠하이머 치매에 대한 경도 인지 장애의 진행을 예측

    2024

    학술지

    박채윤; Gihun JooMinji Roh Seunghun ShinSujin YumNa Young YeoSang Won Park; 임현승장재원

    Journal of Clincal Neurology

    2024.09.02

    Background and Purpose The prevalence of Alzheimer's dementia (AD) is increasing as populations age, causing immense suffering for patients, families, and communities. Unfortunately, no treatments for this neurodegenerative disease have been established. Predicting AD is therefore becoming more important, because early diagnosis is the best way to prevent its onset and delay its progression.Methods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the stage between normal cognition and AD, with large variations in its progression. The disease can be effectively managed by accurately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MCI progressing to AD over several years. In this study we used the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dataset to predict the progression of MCI to AD over a 3-year period from baseline. We developed and compared various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models to determine the predictive effectiveness of four neuropsychological (NP) test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ata at baseline.Results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at the Preclinical Alzheimer's Cognitive Composite score was the most effective of the four NP tests, and that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NP tests improved over time. Moreover, the gated recurrent unit model exhibited the best performance among the prediction models, with an averag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0.916Conclusions Timely prediction of progression from MCI to AD can be achieved using a series of NP test results and an RNN, both with and without using the baseline MRI data.Keywords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neuropsychological tests; neural network models

표/그림

  • (비임상)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천연물 신약 ID1201 개발
    알츠하이머 질환 모사 줄기세포모델의 베타 아밀로이드로부터 유발되는 타우 병리 기전 연구
    알츠하이머 치매 염증병인기전 규명 및 염증억제제의 임상적용실현 기반구축
    알츠하이머 질환 모사 줄기세포모델의 베타 아밀로이드로부터 유발되는 타우 병리 기전 연구
  • 알츠하이머 치매 및 급성심근경색 조기진단용 초고감도 액침 실리콘 바이오센서 개발

    2020

    조현모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융합

    ... 실시간 질병 조기진단 기술 개발 시급치매질환, 급성심근경색 뿐만 아니라 급속히 유행하는 감염병 등 신종질병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기술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혈액에 존재하는 알츠하이머 치매 바이오마커는 극미량으로 1 pg/mL 이하의초고감도 측정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의 ELISA 기술로는 10 pg/mL 이하의 측정이 어려워 새로운 측정기술의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

  • 3차원 자동 유방 초음파 영상장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 폐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용 방사선 의약품

    2017

    이승훈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이전·사업화·창업

    ... 의료비용 절감 등 국민편익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있으며 본 기술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기존 유방암 검진분야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폐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용 방사선 의약품"연구개발의 핵심은 바로 이것 - 조기 진단을 위한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PET)용 방사성의약품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PET)은 질환별 ...

  • 알츠하이머치매의 새로운 조기진단 MR 영상마커개발

    2023

    문원진

    건국대학교병원

    생명해양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자기공명영상 (MRI)으로 인지장애에서의 맥락막총의 특징을 들여다보다현재 알츠하이머치매는 비정상단백질인 아밀로이드와 타우의 '과잉 생산'보다는 '청소(clearance) 장애'가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맥락막총(脈絡膜叢, choroid plexus)은 뇌실(ventricle)에서 발견되는 혈관과 세포의 네트워크로 혈액-CSF 장벽를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