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건수

    • 21,104건

전체

  • 돼지 모델을 이용한 생식세포에 의한 자성생식기관 내 염증반응 조절기전

    (1711111155)

    2020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박춘근

    강원대학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00000000 (100000000)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을 위하여 3년간 수행할 계획이며, 각 차년도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 연구에서 돼지의 정자에 의한 자성생식기관내 염증반응 조절 및 이에 의한 정자의 성상변화를 구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Percoll에 의한 성상에 따른 정자의 분리를 실시 한 후 자궁 및 난관세포와 공동배양하여 세포에서 발현되는 염증성 cytokine 및 백혈구의 주화성을 유도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정자의 성상에 따른 단백질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자로부터 추출한 단백질을 자궁 및 난관세포에 처리하여 cytokine 및 백혈구 주화성 유발인자의 발현을 확인하고,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정자 내 특이 단백질의 발현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정자에 의한 염증반응의 조절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자와 세포의 공동배양 동안 signaling inhibitor를 처리한 뒤 염증관련 인자의 발현을 확인하고, 정자 내 선발 단백질의 발현위치를 구명하고자 한다. 2차년도 연구는 수정 및 초기배아발달 동안 난관 내 염증반응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자, 난자 및 수정란과 난관 조직 및 세포를 공동배양하여 cytokine 및 백혈구 주화성 인자 등 염증관련 인자의 발현차이를 확인하고, 난관세포의 유무에 따른 정자와 난자의 체외수정 능력 및 초기 수정란의 발달률과 세포손상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난관세포에서 발현되는 cytokine과 백혈구 주화성 유발인자의 발현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염증반응 조절기전을 구명하기 위하여 공동배양 중 signaling inhibitor를 처리하여 세포 내 염증관련 인자의 발현을 비교하고, cytokine 및 염증반응이 유도된 난관세포 배양액에 의한 정자, 난자 및 수정란의 세포손상을 구명하고자 한다. 최종 3차년차 연구를 통하여 3차원 배양기술을 이용한 돼지와 사람의 착상모델을 확립하고, 영양외배엽 세포와의 공동배양 모델을 이용하여 착상 동안 자궁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세포외기질 단백질을 이용하여 자궁세포의 3차원 배양체계를 확립하고, 영양외배엽 세포와 공동배양 하여 cytokine 및 착상 관련 integrin 및 기질분해효소의 발현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cytokine 및 염증반응이 유도된 자궁세포 배양액에 의한 영양외배엽 세포의 손상 및 증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확립된 3차원 배양 및 공동배양 모델을 사람 자궁세포주에 적용하여 사람착상모델을 확립하고, cytokine 처리로 인위적인 염증반응에 따른 배아 부착률, 세포손상 및 증식의 변화를 확인하여 임신률 향상 및 예측을 위한 체외배양 모델을 확립하고자 한다.

  • 위험신호분자 HMGB1의 다이머화 조절을 통한 염증반응 조절

    (1345333413)

    2021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곽만섭

    연세대학

    교육부

    52500000 (525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 특허(1)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과제의 “활성화산소에 의한 HMGB1 구조변화(다이머화)가 방사선조사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과제번호: 2019R1I1A1A01058308)”의 후속연구내용으로, 기 수행된 연구내용에서 HMGB1은 방사선조사시 활성화산소에 의해 다이머화 되고 DNA 손상을 방지하여 세포 사멸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음. 이 연구과제 수행과정에서 마우스 전신에 활성화산소를 유발시키기 위해 LPS를 주입하였더니, 놀랍게도 패혈증 유발인자로도 잘 알려진 HMGB1이 세포 밖 환경에서도 다이머화가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1) LPS를 비롯한 다양한 PAMP 분자와의 결합 혹은 세포 밖 어떠한 환경에 의해 HMGB1이 다이머화가 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다이머화 작용 기전을 밝히고자 함. 2) 또한, 다이머화 된 HMGB1이 염증유발 관련 수용체와의 결합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염증 유발에 증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계획임. 3) 마지막으로, HMGB1 다이머화 억제가 염증 반응 감소로 귀결되는지를 확인하여, 관련 있을 경우 HMGB1 다이머화 억제 물질 및 단백을 발굴하여, 결국 HMGB1 다이머화 조절을 통한 염증질환 치료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1차년도: 세포 밖 환경에서의 HMGB1의 다이머 확인 및 다이머화 원인 분석.- 염증유발 마우스 조직 및 혈액에서의 HMGB1 다이머화 확인.- 염증유발 관련 인자 PAMP 등에 의한 HMGB1 다이머 확인.- PAMP외 세포 밖 환경에서의 HMGB1 다이머 확인.- 돌연변이 HMGB1 단백질을 통한 다이머 관련 모티프나 잔기 확인. - 다이머 유발 기전 규명.2차년도: HMGB1 다이머가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확인.- 다이머화 된 HMGB1 순수 분리.- 다양한 HMGB1 수용체들과 HMGB1 다이머와의 결합관계 확인.- 다이머 HMGB1이 수용체에 결합할 때 필요한 조건 확인.- HMGB1 다이머와 수용체 결합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확인.- HMGB1 다이머가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3차년도: HMGB1 다이머화 원-포인트 조절을 통한 염증반응 조절.- HMGB1 다이머화 억제가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확인.- HMGB1 다이머화 억제 물질 및 단백질 동정.- 다이머 억제 물질 및 단백에 의한 염증반응 억제 효과 확인.- 다이머 억제 물질을 이용한 염증 관련 질환에서의 질환 완화 효과 확인.

  • 감염병 대응을 위한 녹농균 면역조절 모방기반 염증반응 저해 및 세균제어 선천면역조절인자 연구

    (1711084112)

    2019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하운환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1736000 (21736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4)

    1) 1차년도(2016): 녹농균 유래 선천면역조절인자 조사- 녹농균 유래 염증반응 저해 및 세균제어 인자 조사 - 조절인자의 염증반응 저해 및 세균제어 효과를 선천면역 세포레벨에서 조사 - 조절인자에 의한 유전체 오믹스 분석2) 2차년도(2017): 선천면역조절인자와 세포상호작용 조사- 조절인자의 특성조사 - 조절인자의 분비기전 조사 - 조절인자와 상호작용하는 세포수용체 조사 3) 3차년도(2018): 선천면역조절인자에 의한 신호기전 조사 - 조절인자와 세포수용체 상호작용 검증 - 세포내 염증반응 저해 및 세균제어 신호기전 조사 - 바이러스 또는 세균 감염에 대응하는 조절인자의 효과조사

  • 녹각영지버섯의 MAPK/AP-1 경로 조절을 통한 염증반응 억제 활성

    2018

    학술대회

    박찬흠; 이강효; 신유수 더 보기

    2018년도 (사)한국버섯학회 하계학술대회

    2018.06.21

    본 연구에서는 녹각영지버섯이 lipopolysaccharid(LPS)/interferon-γ(IFN-γ)로 유발시킨 RAW 264.7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과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ctivator protein 1 (AP-1), inducible NO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interleukin-1β (IL-1β) 및 interleukin-6 (IL-6) 단백질의 발현 억제 활성을 측정 하였다. 실험결과, 녹각영지버섯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MAPK familie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c-Jun amino-terminal kinase 및 p38 MAPK)와 AP-1 전사인자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염증성 단백질(iNOS, COX-2, IL-1β, and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녹각영지버섯은 LPS/IFN-γ로 유발시킨 RAW 264.7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에 있어서 MAPK/AP-1 경로 조절을 통한 염증반응 억제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 되었다. 따라서, 녹각영지버섯 추출물은 항염증 기능성 식품의 신소재로써의 개발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 Senecio iscoensis Hieron. 추출물의 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한 염증반응 억제효과

    2019

    학술지

    신진학; 김선숙; 이동근 더 보기

    미생물학회지

    2019.10.01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는 모낭과 모공 속에 존재하며 세포 찌꺼기, 피지 및 주변 피부 조직의 대사 부산물을 에너지와 영양소로 사용한다. 과도한 피지생성과 모낭의 막힘으로 피지 생성이 증가하면 P. acnes의 증식 및 성장을 유발할 수 있다. 모낭에 있는 P. acnes의 급속한 성장은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 손상, 신진 대사 부산물을 생성한다. 본 연구는 S. iscoensis Hieron. (S. iscoensis) 추출물이 P. acnes에 의한 염증반응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 신호 전달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S. iscoensis 추출물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서 P. acne에 의해 유도되는 IL-$1{\beta}$, TNF-${\alpha}$, iNOS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는 NF-${\kappa}B$와 NF-AT와 같은 전사 조절 인자의 활성화 저해를 통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MAPK 신호 전달 기전과는 상관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S. iscoensis 추출물이 여드름의 치료제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최초로 제안한다.

  • Senecio iscoensis Hieron. 추출물의 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한 염증반응 억제효과

    2019

    학술지

    신진학; 서수련

    미생물학회지

    2019.09.01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는 모낭과 모공 속에 존재하며 세포 찌꺼기, 피지 및 주변 피부 조직의 대사 부산물을 에너지와 영양소로 사용한다. 과도한 피지생성과 모낭의 막힘으로 피지 생성이 증가하면 P. acnes의 증식 및 성장을 유발할 수 있다. 모낭에 있는 P. acnes의 급속한 성장은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 손상, 신진 대사 부산물을 생성한다. 본 연구는 S. iscoensis Hieron. (S. iscoensis) 추출물이 P. acnes에 의한 염증반응을 조절할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 신호 전달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S. iscoensis 추출물은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서 P. acne에 의해 유도되는 IL-$1{\beta}$, TNF-${\alpha}$, iNOS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는 NF-${\kappa}B$와 NF-AT와 같은 전사 조절 인자의 활성화 저해를 통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MAPK 신호 전달 기전과는 상관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S. iscoensis 추출물이 여드름의 치료제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최초로 제안한다.

표/그림

  • 사후 인체 유래물을 이용한 염증반응 특이적 물질 간 효용성 연구
    염증반응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 E3 ligase, MARCH5의 기능 연구
    염증반응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 E3 ligase, MARCH5의 기능 연구
    사후 인체 유래물을 이용한 염증반응 특이적 물질 간 효용성 연구
  • 지방조직 리모델링에 의한 대사증후군 발병기전 연구

    2017

    김재범

    서울대학교

    순수기초인프라

    ... 연구진은 비만 시 지방조직으로 침투하는 면역세포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대식세포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대식세포의 역할과 염증 조절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대식세포에서 특정 유전자를 변형한 생쥐모델을 통해 지방조직 리모델링 제어에 의한 염증반응 및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됨을 증명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지방조직 리모델링의 특성을 규명하고 대사증후군 발병기전을 ...

  • PCSK9이 LDL-Receptor를 분해하는 기전 규명 : 대사증후군 신치료제 개발 플랫폼 확립

    2021

    김효수

    서울대학교병원

    생명해양

    ... 변경되어 CAP1과 결합하지 못하기에 LDL-수용체를 파괴하지 못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그리하여 PCSK9-CAP1의 결합에 의해서 콜레스테롤치가 상승하며, 추가하여 독립적으로 단핵구의 염증반응 신호가 증폭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차단함으로써, 죽상동맥경화증과 염증에 기반한 성인병을 차단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보하였다. 이렇게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PCSK9의 나쁜 작용 기전을 ...

  • 세계최초 절단된 신경의 무봉합 연결과 효과적인 재생을 위한 광(光)가교 하이드로젤 의료접착제 개발

    2023

    차형준

    포항공과대학교

    생명해양

    ... 연결하는 정교한 문합술(neurorrhaphy)을 하는 것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의료진의 높은 숙련도, 오래 소요되는 시간, 봉합실이 관통할 때 가해지는 2차 손상과 염증반응 유도에 의해 신경 재생이 크게 방해될 수도 있다는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기술의 내용 및 성과의 차별성·우수성 - 신경의 접합과 재생이 동시에 가능한 무봉합 신경문합 기술 최초 제안본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