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건수

    • 42,110건

전체

  • 인지기능 보조·증강을 위한 고해상도 하이브리드 뇌 인터페이스의 동물 적용 연구

    (1711072685)

    2018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최한경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10000000 (110000000)

    ■ 신규 하이브리드 뇌 인터페이스와 두뇌 조직의 접속 및 활용 프로토콜 개발 ○ 신규 하이브리드 뇌 인터페이스의 두뇌 접속을 위한 외과적 수술법 확립 ○ 경쟁 기술과의 성능 비교를 통한 기술적 우위 확보 ○ 신경세포 수준에서 분자세포생물학적 혹은 전기생리학적 활성 검증 ○ 장기간 이식에 따른 부작용 확인 및 최소화 방안 연구■ 깨어있는 소동물에서 하이브리드 뇌 인터페이스에 의한 인지 증강 연구 ○ 인지기능 연구를 위한 동물 행동 검사 기법 확립: 특정 감각 기반 학습 기법 및 종합적 인지 기능 검사 기법을 중심으로 뇌 인터페이스에 의한 인지증강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동물 행동 검사 기법을 확립 ○ 뇌영역별 변조 프로토콜 최적화 및 이를 활용한 인지 증강 연구: 감각피질, 연합피질, 피질하구조 등을 대상으로 뇌 인터페이스에 의한 지역별 신경활성 조절 검증 및 프로토콜을 최적화 함.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동물 행동 검사에 적용하여 인지 증강 효과를 도출 ○ 다중 뇌영역 동시 통제 프로토콜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인지 증강 연구: 여러 피질 부위의 동시 조절, 피질-피질하구조의 동시 조절 기술을 확립하고, 나아가 인지 기능 증강 기법 개발■ 하이브리드 뇌 인터페이스를 통한 뇌질환 동물모델의 인지 장애 개선 연구 ○ 인지장애 동물모델 구축: 대표적인 인지 장애 유발 뇌질환인 치매와 자폐증의 동물 모델을 구축하고, 기구축한 동물 행동 검사 기법을 활용하여 인지 장애를 개선 기법 연구개발 ○ 뇌 인터페이스를 통한 뇌영역별 뇌활성 조절에 의한 인지기능 개선 연구: 프로토콜이 기구축된 피질 영역 및 뇌심부 영역을 뇌 인터페이스 활용하여 활성 조절 시 인지 장애 뇌질환 동물 모델에서 인지기능 개선 효과 도출 연구. 나아가 다중 뇌영역에 대한 동시 조절을 시도하였을 때 인지기능의 개선 효과가 강화될 수 있는지 연구

  • 인지기능 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평가 및 인지 증진 의료기기 개발

    (1415151322)

    2017

    전자시스템산업핵심기술개발

    신대석

    (주)마이다스아이티

    산업통상자원부

    480000000 (665052000)

    1차년도에는 인지기능 평가 프로그램/컨텐츠 개발과 평가/훈련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렉션 기반기술을 개발함.1차년도에 개발한 프로그램/컨텐츠를 기반으로 2차년도부터 순차적으로 통합 평가/훈련 시스템을 개발/구축하며, 3차년도부터는 강남치매지원센터 등을 통해 시범적용, 개선할 계획임. 통합 인지평가/훈련 시스템의 기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시선 추적 모듈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함. 본 과제의 개발목표에 적합하게 기존 MMSE를 개선/대체할 수 있도록 MMSE 기반의 인지기능 평가 프로그램/컨텐츠를 만들고, 인지기능 장애 정도에 대한 측정/평가 기준을 수립함. UI/UX 개발의 상세 시나리오와 인터랙션에 대한 기획을 진행하여 본 과제의 개발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UI/UX와 디자인적인 요소를 개발함. 인지기능 장애자의 사용과 인지평가/증진 프로그램에 적합한 음성인식 기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음성인식 모듈 엔진을 개발함.

  •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상지움직임 패턴 기반 인지기능 저하 예측 시스템 개발

    (2710067138)

    2024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이주현

    백석대학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76383000 (76383000)

    본 연구기간은 총 3년으로, 1년차에는 센서 움직임 분석 문헌리뷰를 통하여 분석 요인들을 파악하며, 전반적인 인지기능, 기억력, 집중력 및 실행기능 저하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상지 움직임 과제를 선정하고, AI 소프트웨어를 통한 상지 움직임 분석을 위한 최적의 자세 및 방법을 정의하는 것임. 2년차에는 정상, 경도인지장애 노인 약 200명에 대해 상지 움직임 및 인지 평가 분석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대상자에 따른 상지 움직임 및 인지기능 분석결과를 요인별로 정리하여 데이터 셋을 구축하며, 각 집단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유의미한 feature 값을 선별하는 작업을 진행함. 3년차에는 선별된 feature 값으로 Deep Learning method 별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생체표지를 발굴하며, 인지저하 예측 요인이 탑재된 프로그램 시작품 개발 및 인지저하 선별도구인 K-MMSE와의 유용성 검사를 진행함.

  • 윤정한

    (한림대학교/한림대학교)

    박사

    영양학

    논문 (340/340)

    지식재산권 (12/12)

  • 정진호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대한면역학회/한국과학기술한림원/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논문 (283/287)

    지식재산권 (13/73)

  • 이수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KAIST/KAIST/한국공학한림원)

    박사

    물리전자

    논문 (230/270)

    지식재산권 (27/59)

  •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실험동물의 당뇨성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개선효과

    2017

    학술지

    권봉석; 강정은; 강진용 더 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2017.12.01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를 통해 유도되는 혈당 상승과 이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PA)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킨 실험동물에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을 식이를 하였을 때, 공복혈당을 낮추었고 인슐린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한 내당능 시험에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동물의 혈액을 이용한 혈청분석 결과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TCHO)과 저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과 같은 지방질 대사 수준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행동학적 시험(Y-maze, passive avoidance, Morris water maze tests)을 통해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확인해본 결과, 공간인지 능력, 단기 학습 능력, 장기 기억 능력이 고지방 식이군(HFD)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또한 동물 행동 실험 후 적출된 뇌 조직에서 산화방지 효소인 초과산화물제거효소(SOD)의 함량과 지방질과산화 정도(MDA level)를 측정해본 결과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이 조직에서의 산화방지 능력을 증가시켜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지능력에 영향을 주는 아세틸콜린(ACh)과 아세틸콜린 가수분해효소(AChE)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본 결과, 아세틸콜린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었고 그 결과 아세틸콜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유도되는 혈당 상승 및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QTRAP LC-MS/MS를 시행한 결과, 주요 물질은 kaempferol-3-O-glucoside로 동정되었고 이 이외에 caffeolyshikimic acid, quercetin-3-O-glucoside, kaempferol-3-O-rutinoside 등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캠페롤(kaempferol) 등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류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고사리 아세트산에틸 분획물(EFPA)은 고지방 식이로 인한 혈당 상승과 이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사회적 교류와 노인의 인지기능: 연령에 따른 차이

    2019

    학술지

    류한소; 이민아

    한국인구학

    2019.02.01

    이 연구는 사회적 교류와 노인의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사회적 교류가 인지기능에미치는 영향이 노인의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지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2017년 노인실태조사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교류는 친구나 이웃과의 교류빈도와 형제, 자매를 포함한 친인척과의 교류빈도로 측정되었으며 인지기능은 치매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 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로 측정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친구나 이웃과의 교류빈도와 친인척과의 교류빈도 모두 노인의 인지기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관계를 가졌다. 즉, 사회적 교류가 활발할수록 노인의 인지기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사회적 교류의 효과는 연령에 따라 달라졌다. 두 가지의 사회적 교류 변수와 연령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회적 교류의 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증가에 따른 인지기능의 저하수준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타인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화될 수 있는 인지기능의 쇠퇴로부터노인을 보호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 사회적 교류와 노인의 인지기능: 연령에 따른 차이

    2019

    학술지

    류한소; 이민아

    한국인구학

    2019.12.01

    이 연구는 사회적 교류와 노인의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사회적 교류가 인지기능에미치는 영향이 노인의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지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2017년 노인실태조사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교류는 친구나 이웃과의 교류빈도와 형제, 자매를 포함한 친인척과의 교류빈도로 측정되었으며 인지기능은 치매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 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로 측정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친구나 이웃과의 교류빈도와 친인척과의 교류빈도 모두 노인의 인지기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관계를 가졌다. 즉, 사회적 교류가 활발할수록 노인의 인지기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사회적 교류의 효과는 연령에 따라 달라졌다. 두 가지의 사회적 교류 변수와 연령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회적 교류의 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증가에 따른 인지기능의 저하수준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타인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화될 수 있는 인지기능의 쇠퇴로부터노인을 보호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표/그림

  •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신체활동으로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구명
    알츠하이머병 모델에서 Ganglioside의 일종인 GQ1b의 신경세포보호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 연구
    Ginsenoside Rg 5 , Rk 1 을 고농도로 함유한 인지기능 개선 표준화 기능성식품 개발
    Ginsenoside Rg 5 , Rk 1 을 고농도로 함유한 인지기능 개선 표준화 기능성식품 개발
  • 기능을 향상시키는 비침습적 뇌자극 기법 개발

    2009

    김연희

    성균관대학교

    생명해양

    ... 연구팀은뇌신경망의 회복 속성에 따른 다양한 뇌부위 자극을 시도하고 뇌졸중 환자에서 뇌자극이 운동기능인지기능에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를 파악하고 있다. 또한 기능적 뇌영상을 통해 뇌자극 후 나타나는신경활성의 ... 신경전자의료기기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고 부가가치를 확보하여 국가경쟁력에도 보탬이 될 수 있다.[인지기능 회복에 학습능률 향상까지]비침습적 뇌자극기가 실용화된다면 뇌질환 환자들의 인지 기능을 회복할 ...

  • 정신분열증 발병과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 연관성 규명

    2011

    박상기

    POSTECH

    생명해양

    정신분열증 원인유전자와 미토콘드리아의 밀접한 상호작용[미토콘드리아 기능과 정신분열증 분자적 연결고리에 대한 새로운 제시]정신 분열증(Schizophrenia)은 환청, 환시, 망상, 비논리적 언행, 사회적 관계의 결여, 정서적 둔화 그리고 다양한 인지기능 장애(학습과 기억, 집중력(attention) 및 판단력 저하)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정신질환으로, 세계적으로 ...

  • 반응성 교세포 조절기반 신규 치매치료제 개발

    2018

    박기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해양

    ... 성상교세포(Astrocyte)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를 생성·분비함으로써 기억력 및 인지장애가 발생함을 밝혔고(Nature Medicine, 2014), 이러한 원인기전을 바탕으로 ... 및 수동회피실험(Passive avoidance)을 수행한 결과, 알츠하이머 실험용 쥐의 인지 기능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고, 낮은 용량(1mg/kg)에서도 월등히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