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

  • 검색건수

    • 8,039건

전체

  • 기침이형천식에 대한 선폐정천탕 임상연구 프로토콜 개발

    (1465010362)

    2011

    한의약선도기술개발(국민건강기금)

    박양춘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20000000 (20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3)

    -한의학 호흡기질환 전문가 그룹을 통한 기침이형천식의 한의학 진단(변증)체계 개발-기침 평가도구로서 Leicester cough questionnaire (LCQ)를 번역과 역번역을 통해 최종본 제작-한의학기초이론 기반의 기침이형천식 효능평가 임상시험 계획서 개발 및 식약청 IND 승인-LCQ 한국어판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후속연구]-무작위배정, 이중맹검, 대조군연구의 임상시험을 통하여 선폐정천탕의 기침이형천식에 대한 임상적 효능 확인 (기침증상점수, 삶의 질 점수, 1초간 노력성 호기량, 최고 호기유속, 호산구수, eosinophil cationic protein) [후속연구]-진단(변증) 유형 및 개별 증상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선폐정천탕의의 임상적 투여목표 구체화 [후속연구]

  • 미세먼지와 저농도의 항원 투여로 인한 천식의 발생 유도와 이 과정에서 IL-23 의 역할 연구

    (1711095027)

    2019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이현승

    서울대학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75000000 (75000000)

    1. 1차년도 연구 -미세먼지와 저농도의 항원의 투여로 천식 발생 유도마우스 모델 확립과 IL-23 의 역할 확인 1) 미세먼지와 저농도 항원투여시 마우스 모델의 확립 및 기도상피세포에서의 IL-23 분비 변화 확인: 예비실험에서 저농도의 항원 (Der p 10ug/mouse) 과 미세먼지 (20ug/mouse) 를 2주 동안 intranasal route 로 투여함으로 천식마우스의 유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PM으로 인한 영향임을 증명하기 위해 PM 농도를 더 높여 2 dose 로 실험을 하여 dose kinetic effect를 보이는지에 대해 여러 평가지표를 살펴본다. Evaluation-1) 예비실험을 통해 관련성이 높게 보이는 DC activation, adaptive immune response 인 Th2, innate immune response 인 ILC2 가 타겟이며 관련 cytokine (IL-33, TSLP, IL-25..), DC activation 및 관련 cytokine (GM-CSF, IL-1a, IL-6..) 도 함께 살펴본다. Evaluation-2) 이 과정에서 기도상피세포에서의 IL-23 의 분비 변화 및 위의 언급된 cytokine (IL-33, TSLP et al...) 들의 발현도 함께 확인한다. Evaluation-3) PM 으로 인한 DC migration 영향을 확인한다.2) 확립된 마우스 모델에서 IL-23 억제의 영향 확인PM 농도가 확립된 마우스 모델에서 IL-23 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anti-IL23p19 antibody (R&D, 0.5ug/mouse) 를 intranasal route 로 함께 투여하여 Evaluation-1) 의 지표들의 변화를 확인한다.2. 2차년도 연구- 동물 모델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이에 관련된 기전을 기도상피세포수준에서 증명하고자 함. 가) Co-culture of bronchial epithelial cell with ILC2 or BMDC-가1) Bronchial epithelial cell line 배양 연구: 우선 mouse bronchial epithelial cell line 인 MLE12 cell 을 이용하여 PM (10-100ug/ml) + low dose HDM (Der p 1-10ug/ml) 자극을 주어 ① 수지상세포의 활성화에 관련된 인자들과 ILC2 의 활성화에 관련된 인자들을 측정한다. ② 이 과정에서 IL-23 or IL-23R siRNA 를 처리해 각각의 역할을 살펴본다. ③ IL-23 에 억제에 의한 위의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이 조절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여하는 signaling pathway 에 대해 전혀 연구된바 없으므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transcriptional factor 의 활성화를 각 phospho type 의 antibody로 western blot 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또한 ④ PM 으로 인한 tight junction disruption 에도 변화가 있는지 확인한다.이 후 ILC2 의 분리와 BMDC 의 분화를 거친 후 위 자극물질이 처리된 MLE-12 cell 과 co-culture를 시행한다. 3. 3차년도 연구-1~2차년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neonatal 마우스를 이용하여 어린 시기의 미세먼지와 저농도의 항원 노출시 시기별로 천식의 발생의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IL-23 의 억제 효과도 함께 규명하고자 함.1) neonatal 마우스를 이용해 어린시기의 저농도의 항원과 미세먼지의 노출로 인한 성장기 천식발생의 영향 확인 및 기도상피세포에서의 IL-23 분비 변화 및 억제의 영향 확인: 임신 마우스 (BALB/c) 를 구입해서 낳은 개체로 생후 7일째부터 PM 과 저농도의 Dp를 투여한다. 3주 투여 후 성장기 마우스 (4주령) 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IL-23 억제 (PM 과 저농도의 Dp 와 함께 투여) 의 영향을 함께 확인해 본다. 2) 어린시기의 저농도의 항원과 미세먼지의 노출이 성인 쥐에서의 항원의 memory response를 일으켜 잠재적인 천식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며, 역시 IL-23 억제의 영향을 함께 확인해 본다.

  • 차세대 염기서열분석을 활용한 한국인 천식 환자 맞춤형 진단 치료를 위한 마커 발굴

    (1465020839)

    2016

    양·한방융합기반기술개발

    정주호

    경희대학교

    보건복지부

    70000000 (70000000)

    ○ 정상인, 천식 환자의 유전체 분석○ 정상인, 천식 환자의 약 3만개의 유전자 promoter 영역만을 분석 (N>50)○ 기존 천식 마커의 데이터 베이스화○ 유전체 분석프로그램인 Helixtree를 활용하여 천식 후보 마커 발굴 ○ 발굴한 천식 후보 마커의 validation (N>100명이상)○ 정상인, 천식 환자의 약 3만개의 유전자 exon 영역만을 분석 (N>50)○ 발굴한 천식 후보 마커의 validation (N>100명이상)○ 천식 임상정보에 따른 임상분류 작업 후 세부적인 유전체 추가 분석 실시○ 유전체 분석프로그램인 Helixtree를 활용하여 천식 후보 마커 발굴○ 기존 천식 마커의 한국인 천식 환자내에서의 검증○ 정상인, 천식 환자의 유전체 분석○ 발굴된 마커의 유전자다형성의 빈도를 비교를 위하여 타인종에서의 메타 분석을 실시하여 유효성 평가○ 최종 발굴된 천식 관련 유전적 마커의 임상 적용을 위한 유효성 평가○ 한의학적 변증에 따른 허증, 실증 천식환자의 한의학 약물 평가를 위한 약물대사 유전자분석실시○ 최종 발굴된 천식 관련 유전적 마커의 확인 프로토콜 완성○ 발굴된 마커의 다중 SNP 동시 검출 프로토콜 완성○ 검출기술의 최적화 : 민감도 및 재현성 평가○ 발굴된 타겟 유전적 마커의 천식과 관련한 기능 규명 계획을 위한 연구 계획 수립○ 발굴된 타겟 유전적 마커의 천식과 관련한 기능 규명 계획을 위한 연구

  • 부모에 의한 간접흡연 및 부모의 알레르기성 질환력과 소아 천식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09

    학술지

    이근복; 이원영

    농촌의학.지역보건

    2009.09.01

    이 연구는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을 고려해 간접흡연 노출과 소아 천식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농촌과 도시를 대표하는 두 개 지역 소재 3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 중 이 연구는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 중 평생 천명, 최근 천명, 의사진단 천식을 비롯해 간접흡연, 부모 알레르기 질환 여부에 응답한 2,301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천식 및 천명을 이 분형 종속 변수로 삼고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최근 1년간 간접흡연에의 노출과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이 천식 및 천명 질환에 미치는 독립 적인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알레르기성 질환 병력은 평생 천명, 최근 천명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천식 병력의 경우에는 의사 진단 천식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어머니나 아버지의 최근 흡연과 소아 천식과의 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과 간접흡연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부모알레르기 질환도 없고 간접흡연 노출도 없는 집단', '부모 알레르기 질환력은 없지만 최근 흡연 노출은 있는 집단', '부모 알레르기 질환력은 있지만 최근 흡연 노출은 없는 집단', 그리고 '부모 알레르기 질환도 있으며 간접흡연 노출도 있는 집단'을 비교해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과 간접흡연의 노출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어머니의 최근 흡연의 경우에 자녀의 최근 천명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아버지의 최근 흡연의 경우에는 평생 천명과 최근 천명에서 유의한 효과를 타나냈다.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과 최근 어머니의 흡연이 모두 없는 집단에 비해서 두 요인 다 있는 집단에서 자녀의 최근 천명이 나타날 교차비는 4.83배(95%CI:189-12.33)로 높았다. 또 아버지가 최근 1년간 흡연을 했으며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이 있는 집단에서는 아버지가 흡연하지도 않고 부모의 알레르기질환도 없는 집단에 비해 자녀의 최근 천명이 나타날 확률이 2.50배(95%CI:1.34-4.70) 높았으며 평생천명이 나타날 확률 역시 2.47배(95%CI:1.64-3.72)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이 있는 경우에는 간접흡연의 노출이 자녀의 천식 및 천명의 유의한 위험 요인이라는 사실을 보여 준다. 따라서 향후에는 간접흡연의 노출과 상호작용하는 특정한 유전자 군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또한 소아 천식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부모의 금연을 중심으로 한 간접흡연 노출을 줄일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며 나아가 부모가 알레르기질환이 있는 집단에 대한 집중적인 금연 교육이 소아 천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흡입스테로이드와 지속성 베타2 항진제의 병용요법으로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천식 환자에서 추가 montelukast의 효과

    2007

    학술지

    최정희; 박해심; 이관호 더 보기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연구배경: 천식 치료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흡입용 스테로이드제에 대한 반응은 천식 환자마다 다양하다. 또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천식의 기도염증에서 중요한 매개체인 류코트리엔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베타2 항진제의 병용요법으로도 증상이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지속성 천식 환자에서 montelukast를 추가하였을 때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4주간의 준비기간을 거쳐서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베타2 항진제의 병용요법으로도 증상이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지속성 천식 환자 198명을 선정하여 8주 동안 montelukast 10mg 정을 1일 1회 취침 전 복용토록 하였다. ACQ 증상 점수와 $FEV_1%$ 치를 montelukast 치료 전후로 각각 측정하였으며, 치료 후에 환자와 연구자 각각 천식과 비염에 대하여 '호전되었음, 변화없음, 악화되었음' 중의 하나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결과: 8주간 montelukast를 추가한 후 ACQ 증상 점수의 평균 변화량은 -4.8점[95% CI (-5.7,-3.9)]으로, 유의하게 천식 증상이 호전됨을 보였다 (p$FEV_1%$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방문 2시점에서 시행한 천식에 대한 환자와 연구자의 종합 평가에서 각각 약 60%의 환자와 연구자가 '개선되었음'으로 평가하였으며(${\kappa}

  • 소아 천식의 가을철 악화와 집먼지 진드기 특이 IgE의 연관성

    2007

    학술지

    김유진; 김민지; 이준성 더 보기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2007.01.01

    목 적 : 천식의 가을철 악화의 원인으로 집먼지 진드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인자가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저자들은 가을철 천식 악화와 집먼지 진드기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을철에 심한 악화가 있었던 환아들과 이러한 악화가 없었던 환아들 사이에 Der p 특이 IgE 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 3세에서 15세의 천식 환아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 검토하여 천식 증상으로 입원이나 응급실 치료가 필요하였던 환아들을 심한 증상 악화가 있었던 군으로, 외래 치료만으로 유지가 되었던 환아들을 심한 악화가 없었던 군으로 정의하여 분류하고 두 군 사이의 UniCAP을 이용한 Der p 특이 IgE, 총 IgE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가을철에 천식 증상의 악화로 입원 및 응급실 치료를 받은 군의 Der p 특이 IgE, 총 IgE 가 같은 기간 동안 외래만 방문한 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높았다. 또한 이러한 가을철 입원 및 응급실 방문 군의 Der p 특이 IgE와 총 IgE는 다른 계절 동안의 입원 및 응급실 방문 군의 결과와 비교 시에도 역시 의미 있게 높았다. 결 론 : 가을철에 천식이 악화된 환아들은 악화가 없었던 환아들에 비하여 혈청 Der p 특이 IgE 농도가 높았으며 따라서 혈청 Der p 특이c IgE 가 높은 천식 환아들은 가을철 악화의 위험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표/그림

  • COPD/천식 등 만성질환 치료용 글로벌 천연물신약 연구사업
    비알레르기성 호산구 천식의 발생에 있어 IL-23 역할 규명
    비알레르기성 호산구 천식의 발생에 있어 IL-23 역할 규명
    지역사회 의료기관의 천식관리표준프로토콜(EAM) 사용에 따른 성과분석
  • 천식 치료효능을 갖는 천연물소재 개발

    2013

    오세량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해양

    ... 개발하게 되면 그 개발이익을 고스란히 국가이익으로 귀속할 수 있고 천 연물자원 재배부터 개발까지 신약소재 관련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산업화와 인구고령화로 인하여 만성 면역질환(천식, COPD, 아토피, 관절염 등)이 전 세 계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스테로이드 등 합성신약은 원인치료가 되지 않고 장기복용 에 부작용 또한 심각하다. 따라서 효능이 좋고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소재로 ...

  • 천식 등 면역계 만성질환에 효과적인 면역 억제 단백질

    2007

    박춘식

    순천향대학교

    생명해양

    잘 낫지 않는 만성질환, 속앓이는 이제 그만!면역 억제 단백질로 천식,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을 치료한다.[면역 기능, 균형 있는 결합이 핵심이다!] 면역 기능이 저하되면 감기 등 질병에 쉽게 걸리지만 반대로 지나치면 알레르기, 천식, 각종 자기면역질환등이나타날수있다. 즉면역기능이균형을이룰때비로소건강한삶을누릴수있다. 면역 기능은 T세포와 항원제시세포, 혹은 B세포가 ...

  •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천식의 치료제 개발

    2008

    이용철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생명해양

    천식 치료의 가능성을 열다!신호전달체계와 기관지 천식의 관련성을 밝혀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한다.[기관지 천식, 새로운 치료제가 필요하다] 암, 심장 및 혈관질환, 뇌허혈 질환과 같이 꾸준한 치료제 개발로 유병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질환과 달리 기관지 천식을 대표로 하는 만성 기도 손상질환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미국 등 선진국 에서 기관지 천식의 유병률은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